DOI QR코드

DOI QR Code

Usefulness of Web-based Education System as a Method Supporting Constructiv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구성주의 교사양성교육을 지원하는 방안으로서 웹 기반 교육 체제의 유용성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In this study, we applied a web-based education system to the teaching-demonstrations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d identified the usefulness of the system as a method supporting constructive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The pre-service teachers performed the web-based activities for the teaching-demonstrations, and we interviewed them after the teaching-demonstra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found three situations showing the usefulness of the web-based education system.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examined the materials on the constructive teaching-learning theories and constructed the related theoretical knowledge. At this point the web-based discussion board supported the environment where they thought deeply and investigated the theories carefully. Second, they experienced interaction with others and the academic adviser in the processes of preparing the teaching-demonstrations. This interaction was supported by web-based discussion board, and they were able to form the practical knowledge related to the planning and building constructive teaching. Third, they reflected on their own teaching after the teaching-demonstrations. At this point, the web-based discussion board was able to facilitate the interaction for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at the web-based education system could provide an effective environment where the pre-service teachers could learn constru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수업 시연에 웹 기반 교육 체제를 도입하고, 구성주의 교사양성교육을 지원하는 방안으로서 웹 기반 교육 체제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수업 시연을 위하여 웹 기반 활동을 하였고, 수업 시연이 끝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웹 기반 수업시연 과정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웹 기반 교육 체제의 유용성을 세 가지 상황에서 살펴 볼 수 있었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수업 시연 전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에 관한 자료를 살펴보고 관련된 이론적 지식을 구성할 수 있었다. 이 때 웹 기반 교육 체제의 토론방은 예비교사들이 이론들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탐색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해 줄 수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수업 시연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동료 예비교사들과 지도교수와의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은 웹 기반 교육 체제의 토론방을 통해 지원되었으며, 예비교사들은 구성주의적 수업을 계획하고 구성하는 것과 관련된 실천적 지식을 형성 할 수 있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수업 시연이 끝난 후 자신의 수업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이 때 웹 기반 교육 체제가 제공하는 토론방은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 과정을 위한 상호작용을 지원해 줄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웹 기반 교육 체제는 예비교사들이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방법들을 배울 수 있는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 권윤성 (2000).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 스타일에 따른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유형 및 토론능력 비교. 교육과학연구, 31(3), 145-164
  2. 강호선, 김영수 (2003). 생물 교육 실습생의 자기 수업에 대한 반성을 통한 수업 기술 개선 연구 -비디오 촬영과 자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1), 72-86
  3. 강훈식, 신석진, 차정호, 한재영, 노태희 (2007). 현행 예비 화학교사 교육과정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51(2), 201-212 https://doi.org/10.5012/jkcs.2007.51.2.201
  4. 김경연 (2007). 반성적 저널 쓰기 과제에서 질문 프롬프트의 제공여부와 메타인지가 지식의 구조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연구, 13(2), 257-280
  5. 김민경, 노선숙 (1999).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웹기반 게시판의 내용 및 사용실태 분석: 원격수학수업에서의 사례연구. 교육공학연구, 15(1), 219-239
  6. 김민정 (2001). 가정과 예비교사 교육에서의 웹기반 문제중심학습 과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7. 김병찬 (2000). 교사교육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교육행정학연구, 18(4), 275-304
  8. 김병찬 (2005). 구성주의 기반 교사교육 모형 탐색 연구. 교육발전연구, 21(2), 79-102
  9. 김영우 (1994). 교사교육 프로그램 연구. 한국교육학회, 32(4), 39-66
  10. 김정애 (2000). 인터넷 활용 협동학습에서 학습활동 계획∙반성 전략과 상호평가 전략이 학업성취와 상호작용 빈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정주, 장정애 (2007). 실습기간동안 이-멘토링 (e-mentoring)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경험과 변화과정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69-97
  12. 김정화 (2003). 구성주의 교사교육을 통한 예비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신념의 형성 과정. 한국교사교육연구, 20(2), 97-120
  13. 박인우 (1996). 학교교육에 있어서 구성주의 교수 원리의 실현 매체로서 인터넷 고찰. 교육공학연구, 12(2), 81-103
  14. 손은정 (2003). 반성적 사고와 전문가 교육. 학생생활연구, 28, 31-54
  15. 이건인, 김영태 (2006). 사범대학 교육과정 및 교 육실습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연구, 25, 323-345
  16. 이상수 (2003). 웹 기반 학습 환경과 면대면 학습 환경에서의 개별적 성찰 전략과 협력적 성찰 전략이 인지구조와 간주간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9(4), 55-73
  17. 이승희, 김동식 (2003).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협력적 성찰이 문제해결 수행 및 과정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9(1), 131-159
  18. 이영미 (2006). 웹 기반 토론에서 반성적 사고 능력 촉진을 위한 질문 생성 전략의 적용 효과. 교육방법연구, 18(1), 95-118
  19. 이원희 (1998). 교사교육의 구성주의 접근. 한국교사교육, 15(2), 56-78
  20. 이정선 (2005). 교사의 실천적 교수지식 및 형성방안. 교육인류학연구, 8(2), 211-239
  21. 이지연 (2005). 웹 기반 게시판을 활용한 협력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유형과 지식 형성 과정. 교육공학연구, 21(4), 29-58
  22. 이춘자 (2003). 웹 토론방의 수업사례 토론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전략 분석. 한국교육연구, 9(2), 40-64
  23. 정영수 (2000). 교사와 교육. 서울: 문음사
  24. 조순묵, 이기천, 최의창, 박종률 (2002).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반성성향과 수업운영전략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9(2), 102-123
  25. 조영남 (2003). 초등교사를 위한 구성주의 교수-학습 환경 개발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6(1), 179-205
  26. 조희형, 최경희 (2002).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20-836
  27. 주갑종 (2001). 웹기반 토론학습에서 게시판의 유형이 동료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주미경 (2006). 대학생 교사제의 효과 분석: 사범대학 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한국수학교육학회지, 45(3), 295-313
  29. 한정선, 오정숙 (2006). 교수자의 웹 기반 교육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요인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37(2), 127-157
  30. Brockband, A., & McGill, I. (1998). Facilitating reflec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Philadelphia: Buckingham
  31. Carnes, G. N., Shull, T. A., Brown, S. N., & Munn, W. G. (2002). Interacting with elementary interns about their perceptions of science teach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Teachers in Science, Charlotte, NC
  32. Duffy, T. M., & Cunningham, D. J. (1996). Constructivism: Implication for the design and delivery of instruction. In D. H. Jonassen (Ed.),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pp. 170-198). New York: Macmillan
  33. Elbaz, E. (1981).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Report of a case study. Curriculum Inquiry, 11(1), 43-70 https://doi.org/10.2307/1179510
  34. Guba, E., & Lincoln, Y.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Beverly Hills, CA: Sage
  35. Hendry, G. D. (1996). Constructivism and educational practice.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40(1), 19-45 https://doi.org/10.1177/000494419604000103
  36. Hewitt, J. (2001). Beyond threaded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lecommunications, 7(3), 207-221
  37. Ingram, A. L., & Hathorn, L. G. (2005). Analyzing collaboration in online communications. In C. Howard, J.V. Boettcher, L. Justice, K. Schenk, P.L. Rogers and G.A. Berg(Eds.) Encyclopedia of Distance Learning. Hershey, PA: Idea Group, Inc. Vol. 1, pp 83
  38. Lebow, D. (1993). Constructivism values for systems design: Five principles toward a new mindset.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1(3), 4-16 https://doi.org/10.1007/BF02297354
  39. Pajares, M. F. (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1), 307-332 https://doi.org/10.3102/00346543062003307
  40. Roth, W.-M., Tobin, K., Zimmermann, A., Bryant, N., & Davis, C. (2002). Lessons on/from the dihybrid cross: An activity theoretical study of learning in co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253-282 https://doi.org/10.1002/tea.10018
  41. Salmon, G. (2000). E-moderating: The key to teaching and learning online. London: Kogan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