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Individualization Wrong Answer Note Model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집단지성을 이용한 개별화 오답노트 모형 개발

  • 하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교육학과) ;
  • 김창석 (공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Published : 2009.04.25

Abstract

This dissertation about the wrong answer note model development which is individualized investigates a problem. The method which is used from here uses a group sincerity and adds wrong answer analysis leads and to the wrong answer person explanation note of the pattern which is similar refers a wrong answer note explanation. The result which this dissertation is principal will reach to the wrong answer where is not the explanation about right answer and the process which is incorrect and a wrong answer will seek will be able to arrange. There is a possibility of finding the solution which existing wrong answer note system is improved with the method which is proposed.

이 논문은 개별화된 오답노트 모형 개발에 관한 문제를 고찰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방법은 집단지성을 이용하여 오답노트해설을 추가하고, 오답분석을 통하여 유사한 패턴의 오답자 해설노트를 참조한다. 이 논문의 주된 결과는 정답에 대한 해설이 아닌 오답에 이르는 틀린 과정을 찾고 오답을 정리하는 것이다. 제안된 방법으로 기존 오답노트 시스템의 개선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기순, '웹기반 학원수강생 학습지원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금오공과대학, 석사학위논문, 2007
  2. 박병문, '오답노트를 활용한 형성평가 피드백이 수학학습에 미치는 효과 공간도형과 공간좌표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 박현주, '웹기반 수준별 학습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 신승희, '오답노트를 도입한 웹 기반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컴퓨터 활용능력 필기시험 문제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5. 이민정, '웹 기반 학습 평가를 위한 문제은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6. 진명선, '공신도 인정한 오답노트' [Online] Available:http://www.hani.co.kr/arti/society/chooling/314144.html
  7. 최선미, '문제제기 방법을 활용한 초등 수학 지도에 있어서 오답노트 작성 효과에 관한 연구-초등 4학년 기말고사 범위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7
  8. 황윤한, 조영임, '개별화 수업,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2005
  9. Anderson, L. W. (1995) Individualized instruction. In L. W. Anderson (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nd. ed.) (pp. 155-167). Cambridge UK: Pergamon
  10. Reynolds, R.G.; Stefan, J.M. (2003) Web services, Web searches, and cultural algorithm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Volume 4, 5-8 Oct.
  11. Schubert, W. H. (1986) Curriculum: Perspective, paradigm, and possibility.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