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ervice Delivery Level of Employee in Travel Agency

여행업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서비스 제공 수준과의 영향관계

  • Published : 2009.05.28

Abstract

A considerable amount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conceptualization of emotional labor, as well as it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The field, however, is lacking consistency respect to theory building and empirical findings, which suggests the need for more programmatic research.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uild on prior research and further examine the theory, antecedents and consequences(service delivery level) of emotional labor,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In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I found that two antecedent variables, job-related characters and display rules, influenced significantly employee perceived emotional labor. And both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have been found to have a influence on employees' service deliverly level, deep acting is more likely than surface acting to lead to service attitude of travel service provider. In business practices, more attention is needed in organizations' incentive programme and training considerations in jobs that have high demands. Despite these results, current studdy has its limitations. So, it may be interesting to further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control variables.

현재 감정노동에 관한 수많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감정노동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정노동의 개념이나 영향요인과 결과요인에 대한 이론 확립이나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하므로 체계적인 접근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노동의 이론적 정립, 영향요인과 결과요인으로서 서비스 제공수준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영향변수인 직무관련 요인과 표현 규칙이 감정노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노동의 표면적 행동(SA)과 내면적 행동(DA)은 종사원의 서비스 제공수준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갖으며, 특히 DA는 여행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태도에 SA보다 영향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행업계에서는 직무환경 등을 고려한 회사차원의 인센티브 프로그램의 교육 훈련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한계를 갖게 되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감정노동과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변수들과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시도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A. R Hochschild, "Emotional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p.85, 1979.
  2. 김상표, "개인특성, 고객과의 상호작용 특성, 그리고 관리기제가 감정노동 수행전략에 미치는 효과", 경영학연구, 제36권, 2호, pp.355-384, 2007.
  3. 나태균, 박인수, 전경철, "외식산업에서 감정노동이 감정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내 패밀리 레스토랑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조리학회지, 제11권, 3호, pp.89-102, 2005.
  4. 김민주, "호텔종업원의 감정노동이 직무관련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21권, 2호, pp.129-141, 1998.
  5. 강재호. 여행업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 조절변수검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2007.
  6. 김민주, "감정노동의 결과에 대한 한국과 미국간의 비교연구: 호텔종업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 레스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 15권, 1호, pp.35-57, 2006.
  7. 고동우, 지선진, 송운강, "감정노동의 부정적 영향 과 지각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 호텔서비스직 종사원을 대상으로", 관광학연구, 제25권, 2호, pp.295-314, 2006.
  8. B. E. Ashforth and R. H. Humphrey,"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pp.89-90, 1993.
  9. J. A. Morris and D. C. Feldman,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4. pp.986-1010, 1996. https://doi.org/10.2307/259161
  10. A. Grandey,"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5 No.1, pp.95-110, 2000. https://doi.org/10.1037/1076-8998.5.1.95
  11. 박희진. 서구형 패밀리레스토랑 직원의 감정노동과 고객의 감정반응 및 행동의도와 관계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2007.
  12. C. M. Brotheridge and R. T.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6, pp.365-379, 2003. https://doi.org/10.1348/096317903769647229
  13. H. J. Kim, "Hotel service providers' emotional labor: the antecedents and effects on burnout,"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27, Issue 2, pp.151-161, 2008. https://doi.org/10.1016/j.ijhm.2007.07.019
  14. 구경원, 김판영, "호텔서비스 제공자의 감정노동과 영향요인 간의 관계 연구: 호텔 식음료 및 객실종사원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제11권, 제2 호, pp.57-763, 2008.
  15. J. M. Diefedorff, M. H. Croyle, and R .H. Gosserand,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6, pp.339-357, 2005. https://doi.org/10.1016/j.jvb.2004.02.001
  16. E. J. Austin, T. C .P. Dore, and K. M. O'Donovan, "Associations of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with display rule perceptions and emotional labou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4, pp.679-688, 2008. https://doi.org/10.1016/j.paid.2007.10.001
  17. J. A. Morris and D .C. Feldman. "Managing emotion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Vol.9 No.3, pp.257-274, 1997.
  18. C. M. Brotheridge and A. A. Grandey,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0, pp.17-39, 2002. https://doi.org/10.1006/jvbe.2001.1815
  19. T. M. Glomb and M. J. Tews, "Emotional labor: a conceptualization and scale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4, pp.1-23, 2004. https://doi.org/10.1016/S0001-8791(03)00038-1
  20. 안준수, 서비스 상호작용유형에 따른 감정노동 차원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004.
  21. 최정순, 호텔기업의 내부마케팅이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 박사 학위논문, 동아대학교, 2004.
  22. 김민수, 강원경, "감정노동 프로세스에서 감정 부조화의 역할에 대한 재고찰", 경영논총, 24집, 1 호, pp.1-17, 2006.
  23. P. Van Dijk and A. K. Brown, "Emotional labour and negative job outcomes: an evalu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dissonance," Journal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 Vol.12 No.2, pp.101-115, 2006. https://doi.org/10.5172/jmo.2006.12.2.101
  24. 윤세준, 김상표, 김은민, "감정노동: 조직의 감정 표현 규범에 관한 질적 연구", 산업노동연구, 제6 권, 1호, pp.215-254, 2000.
  25. 전명구, 보험산업에서의 감성노동 선행변수와 결과변수,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2005.
  26. 홍경완, 장헌주. "여행사종사원의 보상요인에 따른 직무만족이 서비스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2006 국제관광학술대회, pp.285-302, 2006.
  27. 원희룡, 호텔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서비스제공수준 및 성과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특1급 호텔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1992.
  28. 박태수,"호텔종사자의 자긍심과 직무만족이 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제 19권, 제3호. 303-314,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