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Greimas' Semiological Approach in Animation Character

그레마스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애니메이선 캐릭터 분석 -장편 애니메이션 "슈렉" 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9.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 of animation, , on the basis of Greimas' semiotic theory. Animation consists of activities between characters shown in narrative. The characters' activities show their value system and meaning. Hierarchical value system is created in the process that unrevealed, latent value is generated and character's thought and activity enlarge their meanings by creating various relationships with other character. Form this viewpoint, the study tried to analyze systematic characteristic shown in animation character and meaning structure shown in correlation through Greimas' model actant and semiotic square model.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작품 <슈렉>의 캐릭터를 그레마스 기호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애니메이션은 하나의 내러티브 속에서 나타나는 캐릭터간의 행위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캐릭터의 행위들은 캐릭터 가치체계와 의미를 나타낸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잠재적 가치가 발화되는 과정에서 서열적인 가치체계가 생성되고, 캐릭터의 사고 및 행동이 다른 캐릭터들과 다양한 관계의 망을 형성함으로써 의미를 확장해 나간다. 이러한 관점에서 캐릭터의 행위 구조에서 나타난 캐릭터의 체계와 의미를 그레마스 행위소 모델과, 기호학적 4각형 모델을 통해 애니메이션 캐릭터에서 나타난 체계적 특징들과 상호관계의 망 속에서 나타난 의미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도, 구조에서 감성으로, 고려대학교 출판부, pp.70-71, 2002.
  2. 김윤배,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호학적 생성구조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p.66, 2003.
  3. 블라디미르 프롭, 황인덕 역, 민담형태론, 예림기획, 1998.
  4. 김성도, 구조에서 감성으로, 고려대학교 출판부, pp.205-206, 2002.
  5. A. J. Greimas and J. Courtes, Semiotiotique - Dictionnaire raisonne de la theorie 여 langage(Paris:Hachette), p.139, 1979.
  6. 김성도, 구조에서 감성으로, 고려대학교 출판부, pp.214-215, 2002.
  7. 권명광, 신항식 공저, 광고 커뮤니케이션과 기호학, 문학과 경제사, pp.174-175, 2003.
  8. A. J. Greimas and J. Courtes, Dictionnaire, p.29, 1989.
  9. 로버트 스탬외, 이수길, 이우석, 문재철, 김소연, 김병철역, 어휘로 풀어읽는 영상 기호학, 시각과 언어, p.35, 2003.
  10. 김성도, 구조에서 감성으로, 고려대학교 출판부, p.208, 2002.
  11. W. Jerry, Pickering, Theatre, A Contemporany Introduction, Minesota West Publishing Company, p.156, 1978.
  12. 김성도, 의미에 관하여: 기호학적 시론, 인간사랑, 1997.

Cited by

  1. A Study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in Contemporary Fashion Subculture Using the Greimas Semiotic Square vol.67, pp.8, 2017, https://doi.org/10.7233/jksc.2017.67.8.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