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anure Management and Effectively Utilization

가축배설물 처리.이용 평가 및 효율적 활용방안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A survey questionnaire that addressed the issues to manure compost producers and users was prepared. The questionnaire addressed three main topics as follows: 1) types of manure treatment and composting facilities are being operated, 2) quantity of manure compost produced and used, 3) problems experienced in producing and using manure compost. A total of 30 manure compost producers and 10 manure compost users were interviewed. Solid manure are applied to composting. Slurry and wastewater are simplified aeration method to produce liquid fertilizer. The open elongated type manure composting are generally used on manure compost centers jointly used by several farms. The amount of annually manure compost production was most common in the range of $5{\sim}10$ thousand tons per manure compost center. The manure compost utilization and cucumber yield were mostly $6{\sim}15$ tons and $20{\sim}27$ tons per 10a of cucumber farmland, respectively. Environmentally friendly use both of manure compost and chemical fertilizer are recommended for natural recycling agriculture.

축분 퇴비 생산은 축분 종류, 처리방법, 부자재 종류 등에 따라서 비료성분과 품질이 다양 하고 축분 퇴비 이용은 축분 퇴비 종류 및 채소, 과수, 일반밭작물, 수도작 등의 재배작물에 따라서 시비량이 차이가 있으므로, 축분 퇴비 생산과 이용은 지역 농업의 축산업 및 작물재배 특성에 부합된 축분 퇴비 생산 및 이용시스템을 확립해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분 수분조절용 부자재는 77%가 톱밥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축분 공동처리는 유료가 82%로서 퇴비화 처리 비용(원/톤)은 $2{\sim}4$만원 정도였다. 퇴비화처리설비는 지붕 있는 통기 퇴적방식 및 개방형 로터리(또는 스크푸) 교반방식이 많았다. 축분 퇴비 재료의 연간처리량(톤/년)은 $0.5{\sim}1$만 톤 이하가 많았으며, 생산된 축분 퇴비의 운영관리비(원/톤)는 $5{\sim}10$ 만원 범위를 나타내 보였고, 경영수지 적자가 30%, 수지 보합이 20% 이였다. 축분 퇴비 이용은 채소와 과수 농가가 60% 이상이며, 비 포대용 퇴비판매가격은 축산농가 및 농협에서 생산된 축분 퇴비의 품질, 생산 상황, 경종농가와 관계 등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퇴비 판매가격이 2톤 차 1대당 8만원에서 16만원 범위로 퇴비 숙도에 따라서 다양 하였고, 포대용 축분 퇴비 1포대(원/20kg) 가격은 $2,000{\sim}4,000$원 범위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시설오이재배 농가에서 축분 퇴비 시비량은 평균 10톤/10a이고, 화학비료 시비량은 평균 70kg/10a 이었으며 이때에 수확량은 23.5톤/10a 등으로 나타났다. 사용 퇴비 종류는 우분, 돈분 및 계분 등의 축분 퇴비가 76%를 차지하였으며, 시설재배보다 노지재배에서 80% 이상 많이 활용 되었으며, 퇴비 이용 상에 문제점은 노동력 부족으로서 포대퇴비 이용보다는, 대부분이 퇴비제조 업자를 통하여 벌크퇴비 상태로 포장에 시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촌진흥청. 2002. 친환경 농업을 위한 퇴비 제조와 이용. 표준 영농교본-89. pp. 76-82.
  2. 농촌진흥청. 2001. 축산분뇨 처리기술. 표준 영농교본-109. pp.47-51.
  3. 농협중앙회. 2004. 축산분뇨처리우수사례. pp. 57-109
  4. 축산연구소. 2004. 축산분뇨 발생 및 처리실태 동향분석. pp. 12-20.
  5. 홍지형, 박금주 외 2인. 1999. 축산폐기물 자원화, 도서출판 동화기술, pp. 47-60.
  6. 홍지형. 최병민. 2007. 순천시의 가축배설물 발생 특성 및 처리작업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환경학회지 7(2):55-60.
  7. 홍지형. 2006. 축분 퇴비화 운영실태 및 퇴비 부숙도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환경학회지 6(2):13-19.
  8. 홍지형. 2005. 순천시의 가축배설물 처리 및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도시환경학회지 5(2):29-37.
  9. 허덕, 김창길, 정민국. 1998. 축분 비료의 생산 및 이용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 R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