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tein Fractionation of Whole Crop Silages, and Effect of Borate-phosphate Buffer Extraction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Gas Production and Degradation

사료작물 사일리지의 단백질 분획 및 Borate-phosphate Buffer 추출이 In vitro 발효성상, Gas 발생 그리고 분해율에 미치는 효과

  • Shinekhuu, Judder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Jin, Guang-Lin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Ji, Byung-Ju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i, Xiangzi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Yanbian University) ;
  • Oh, Young-Kyo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Hong, Seong-Ku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Song, Man-Kang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 김광림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축산학과) ;
  • 지병주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축산학과) ;
  • ;
  • 오영균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 홍성구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 송만강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축산학과)
  • Received : 2009.06.15
  • Accepted : 2009.10.08
  • Published : 2009.10.01

Abstract

Protein fractionation was evaluated from whole crop silages of rye (RS), wheat (WS), triticale (TS), oat (OS), barley (BS), and rice straw silage (RSS), and in vitro trial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silage and extraction of soluble protein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otal gas production and degradation. Soluble protein of silages was extracted with borate-phosphate buffer,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gas production and degradation of silages were estimated by incubating anaerobically the mixed solution of strained rumen fluid and artificial saliva (1:1, v/v) containing dried and ground silages placed in nylon bag at $39^{\circ}C$ up to 48h. Soluble protein (SP) content was lowest for RSS as 2.11% in total CP compared to those for other silages. Highest A fraction (NPN) was observed from RS (74.33% of total CP) while those from TS and RSS were relatively low (48%). B2 fraction was relatively higher for RS, RSS and WS than for TS and BS. $B_3$ fraction was lowest in WS among silages. C fraction (27.07) in RSS was higher than in other silages (1.40~9.93%). pH in incubation solution was increased (P<0.01~P<0.001) for extracted silages up to 12h but decreased (P<0.01) at 48h for non-extracted ones. Contents of ammonia-N (P<0.001) and total VFA (P<0.01~P<0.001) were higher for non-extracted silages than for extracted ones. Acetate proportion was increased (P<0.001) in buffer extracted silages while those of propionate and butyrate were decreased (P<0.001) up to 24h incubation. Increased (P<0.001) total gas production was obtained from non-extracted silages up to 12h while gas production was increased (P<0.01) in extracted ones thereafter. In vitro degradation of dry matter and CP was increased (P<0.001) in non-extracted silages but that of neutral detergent fiber was increased (P<0.001) in extracted ones without difference among silages. Difference in mean values of degradability for each silage prior to- and post extraction with borate buffer, however, was not found among silages. It may be concluded that high NPN content of silages may reduce the protein availability in silages and borate buffer soluble components in silages can stimulate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본 시험은 여러 종류(호밀, RS; 볏짚, RSS; 소맥, WS; 트리티케일, TS; 귀리, OS; 청보리, BS)의 사일리지를 대상으로 단백질을 분획(fractionation)하고, in vitro 방법으로 buffer 추출 전과 추출 후의 사일리지를 배양하였을 때 반추위 미생물에 의한 발효성상, 가스발생량 및 분해율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사일리지의 가용성 물질은 boratephosphate 용액으로 추출하였으며, 반추위액과 인공 타액이 동일한 비율로 구성된 배양액을 혐기적인 조건에서 48시간동안 배양($39^{\circ}C$)하면서 발효 성상과 nylon bag을 이용한 사일리지의 in vitro 분해율을 조사하였다. 사일리지의 soluble protein (SP) 함량은 RSS에서 총 CP 함량 중 2.11%로 가장 낮았으며, RS와 BS 및 OS에서는 7% 이상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A fraction (NPN)은 RS에서 총 CP의 74.33%로 가장 높았으나 TS 및 RSS의 NPN 함량은 48% 정도로 비교적 낮았다. Buffer 불용성 단백질(IP) 중 B2 fraction은 RS, RSS 및 WS에서 총 CP의 7% 이상으로 비교적 높았던 반면 TS (1.45%)와 BS (2.13%)에서 매우 낮았다. 이와는 달리 $B_3$ fraction은 WS (4%)를 제외하고는 다른 사일리지에서 5.99~15.20%의 함량을 보였다. 체내 이용성이 매우 낮은 C fraction은 볏짚 사일리지(RSS)에서 27.07%로 다른 종류의 사일리지(1.40~9.93%)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수준이었다. 배양 12시간 까지는 추출 전에 비하여 추출 후의 사일리지 배양액에서 pH가 높았으나 (P<0.01~P<0.001) 48시간에는 오히려 추출 전의 사일리지 배양액의 pH가 낮았다(P<0.01). 배양액의 ammonia-N는 모든 사일리지에서 추출 전의 농도가 추출 후의 농도에 비하여 현저히(P<0.01~P<0.001) 높았으나 사일리지 종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모든 사일리지에서 추출 후에 비하여 추출 전의 VFA 농도가 현저히 증가되었다(P<0.01~P<0.001). Acetate의 조성 비율은 buffer 추출 전에 비하여 배양 24시간까지 추출 후 모든 사일리지에서 높았던 (P<0.01~P<0.001) 반면 propionate와 butyrate 비율은 배양 24시간까지 추출 전에 더 높았다(P<0.001). 배양 12시간까지는 buffer 추출 전의 사일리지로부터 더 많은(P<0.01~P<0.001) 양의 gas가 발생되었지만 그 후로(24~48시간)는 오히려 buffer로 추출된 후의 사일리지에서 발생량이 더 많았다(P<0.01). 추출 후에 비하여 추출 전 사일리지의 DM과 CP 분해율이 현저히(P<0.001) 높았으나 NDF 분해율의 경우 오히려 추출 후의 사일리지에서 높았다(P<0.001). 그러나 각 사일리지에 대한 buffer 추출 전 후의 평균치에서는 사일리지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시험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사일리지로 인해 현저히 증가된 NPN 함량이 사일리지의 단백질 이용율을 크게 낮출 것으로 보이며, 단백질을 포함한 buffer 가용성 물질은 사일리지의 초기 발효를 크게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91.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cal Chemists, Washington, D.C.
  2. Fawcett, J. K. and Scott, J. E. 1960. A rapid and precis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urea. J. Clin. Pathol. 13: 156-163. https://doi.org/10.1136/jcp.13.2.156
  3. Duncan, D. 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https://doi.org/10.2307/3001478
  4. Han, I. K. and Garrett, W. N. 1986. Improving the dry matter digestibility and voluntary intake of low quality by various treatment : A review. Kor. J. Anim. Sci. 28:199-213.
  5. Hungate, R. E. 1966. The Rumen and It’s Microbes. Academic Press. New York.
  6. Licitra, G., Hernandez, T. M. and Van soest, P. J. 1996. standardization of procedures for nitrogen fractionation of ruminant feeds. Anim. Feed Sci. Technol. 57:347-358. https://doi.org/10.1016/0377-8401(95)00837-3
  7. McDougall, E. I. 1948. Studies on ruminant saliva. I. The composition and output of sheep’s saliva. Biochem. J. 43:99-109. https://doi.org/10.1042/bj0430099
  8. SAS. 2002. SAS Procedures Guide release 9.0 SAS institute Inc., Cary, NC. U.S.
  9. Song, M. K. and Kennelly, J. J. 1989. Effect of ammoniated barley silage on ruminal fermentation, nitrogen supply to the small intestine, ruminal and whole tract digestion, and milk production of Holstein cows. J. Dairy Sci., 72:2981-2990.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89)79450-9
  10. Van Soest, P. J., Robertson, J. B. and Lewis, B. A. 1991. Methods for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non starch polysaccharides in relation to animal nutrition. J. Dairy Sci. 74:3583-3597.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91)78551-2
  11. 김원호, 서 성, 윤세형, 김기용, 조영무, 박태일, 고종민, 박근제. 2003. 사일리지용 우량 보리품종 선발: 2. 사료가치 및 TDN수량. 한초지. 23:283-288.
  12. 박형수. 황경준, 박남건, 최기준, 이종경, 천동원, 고문석. 2008. 제주지역에서 동계사료작물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초지사료지. 28:215-220.
  13. 윤승길, Kazuo, A. 2000. Triticale의 사료성분과 in vitro 건물 소화율에 미치는 생육시기의 영향. 한초지. 20:227-232.
  14. 이성철. 2000. 볏짚의 화학적 처리와 사일리지 제조가 화학성분 변화 및 한우 반추위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20:177-184.
  15. 이현준, 조광근, 김원호, 김현섭, 김준식, 강승하, 강상기, 우정희, 이홍구, 최윤재. 2002. 청예 사료작물과 볏짚을 이용한 완전배합발효사료의 제조와 영양적가치.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4:75-86.
  16. 이현준, 김현섭, 기광석, 정하연, 백광수, 김준식, 조광근, 조재순, 이홍구, 우정희, 최윤재. 2003. 청예사료작물과 볏짚위주의 완전배합발효사료 급여가 Holstein 착유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5:69-78.
  17. 이형석, 이인덕. 2006. 대전지역 추파 사료작물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한초지. 26:249-256. https://doi.org/10.5333/KGFS.2006.26.4.249
  18. 조원모, 조영무, 홍성구, 정의수, 이종문, 윤상기. 2000. 보리 총체담근먹이 급여가 거세한우의 발육, 사료이용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2:181-188.
  19. 황보순, 최순호, 김상우, 김원호, 손동수, 조익환. 2008.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 시에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육성기 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50:527-534.

Cited by

  1. Examination of Availability of Whole Crop Silage TMR for Late Fattening Hanwoo Steers in the Cattle vol.33, pp.2, 2013, https://doi.org/10.5333/KGFS.2013.33.2.131
  2.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Enzyme Supplementation on Fermentative Patterns of Ensiling Silages, Their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and Digestibility vol.36, pp.1, 2016, https://doi.org/10.5333/KGFS.2016.3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