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omen's Embroidered Handicrafts of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자수 규방공예품의 유형과 특성

  • Kwon, Su-Yeon (Dept. of Clothing & Textil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Jang, Hyun-Joo (Dept. of Clothing & Textile, Cheju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and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in women's embroidered handicrafts of Korea. It also aims to revive Korean traditional beauty,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design that has both modern beauty and practicality, and to develop Korean women's embroidered handicrafts. The types of women's embroidered of Korea include Jumoni (pouches), Bojagi (wrapping cloths), and other accessories made by sewing. Jumoni consisting of 55.51% of them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handicraft followed by Bojagi (8.66%), and other accessories (35.83%). In terms of the patterns used, animal pattern and plant pattern were used the most frequently. In addition, complex patterns using two or three patterns together(70.49) were more frequent than singular patterns (29.53%). Pictorial type of pattern arrangement (58.24%) was used the most frequently and dense type (39.76%) and sparse type (2.00%) were followed. In terms of the materials on which embroidery was used, Dahn (85.82%) was used th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wool (5.67%), cotton (4.26%), silk (3.55%), and Sa (0.70%). Various techniques of stitches were used such as outline stitch (40.56%), satin and running stitch (29.32%), French nut stitch (28.11%), long and short stitch (21.28%), double leaf stitch (20.88%), and so on. Among them, satin stitch (63.05%) was the most popular type of stitch techniques. Strings (23.56%), maedeup (Korean traditional knots, 8.62%), or tassels (9.77%) were also attached for the purpose of both practicality and of decoration. There were some cases that added cloissone or red-pepper shaped decorations.

Keywords

References

  1. 김종태, 김지아, 김지윤 (2004). 자수문양의 종류와 상징성 -국립민속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국립민속박물관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pp. 390-391
  2. 권미오 (2002). 전통문양을 응용한 문화상품의 개발과 홍보의 전개. 출판문화학회보 출판잡지연구, 10(1), p.161
  3. 자료검색일 2008.03.10, 자료출처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 = 34834300
  4. 김보경 (2003). 규방공예의 전통 침선기법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공예학과 석사학위논문, p. 32
  5.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초판3쇄). 서울: 미술문화, p. 343
  6. 자료검색일 2008.03.10 자료출처 http://100.naver.com/100.nhn?docid =75741
  7. 허동화 (2006).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규방문화 (개정판). 서울: (주)현암사, p. 247
  8. 권영대 역 (2007). 국역 국혼정례. 국학자료원, pp. 29-171
  9. 이미석 (2006). 우리규방문화와 침선소품, 경기도: 한국학술정보(주), p. 91
  10. 제주민속박물관, 제주대학교박물관.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경운박물관, 단국대 석주선 기념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사전자수 박물관
  11.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3). 우리옷과 장신구(초판2쇄), 경기도: 열화당
  12. 김영숙 (2002). 조선조 후기 궁중복식, 서울: 신유
  13. 국립중앙박물관 (1988). 한국의 아름다움. 서울: 통천문화사
  14. 국립대구박물관 (2002). 한국전통복식 2천년, 서울: 통천문화사
  15. 허동화, 박영숙 (1998). crafts of the inner court. 서울
  16. 한국자수 박물관 출판부; 경운박물관 (2003). 근세복식과 우리 문화.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17. 경운박물관 (2007). 보자기 예술로 승화된 실용.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18. 온양민속박물관 (2007). 여인의 향기. 충남: 온양민속박물관
  19. 김영숙(1998). 앞의 책
  20.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3) 앞의 책, p. 153
  21. 김영숙 (2002). 앞의 책, p. 198. p. 204
  22. 국립민속박물관. 앞의 책, p. 225. p. 251, p. 285. p. 293
  23. 국립중앙박물관 (1988). 앞의 책, p. 111
  24. 국립대구박물관 (2002). 앞의 책, p. 146.제주민속박물관 소장
  25. 국립민속박물관. 앞의 책, p. 149, p. 200, p. 238, p. 262, p. 268
  26. 허동화, 박영숙 (1998). 앞의 책, p. 48, p.59, p. 153
  27. 국립중앙박물관 (1998). 앞의 책, p. 173
  28.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3). 앞의 책, p. 153
  29. 김영숙 (2002). 앞의 책, p. 201
  30. 국립민속박물관 앞의 책, p. 200, p. 253, p. 287, p. 296, p. 311, p. 319, p. 329
  31. 김영숙 (2002). 앞의 책, p. 201
  32.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3). 앞의 책, p. 153
  33. 국립민속박물관. 앞의 책, p. 148, p. 173, p. 215, p. 238, p. 266, p. 288, p. 292, p. 293, p. 294
  34. 허동화, 박영숙 (1998). 앞의 책, p. 48
  35. 국립민속박물관. 앞의 책, p. 201, p. 219
  36. 국립중앙박물관 (1998). 앞의 책, p. 111
  37. 숙명여대박물관 (2005). 하루하나캘린더, 서울: (주)새순기획
  38. 국립민속박물관. 앞의책, p. 154, p. 165, p. 166, p. 168, p. 174, p. 222, p. 230, p. 239, p. 252, p. 277, p. 289
  39. 숙명여대박물관 (2005). 앞의 책
  40. 인천광역시립박물관 (2005). 인천 석남동 회곽묘 출토복식. 인천: 인천광역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p. 56
  41. 허동화, 박영숙 (1998). 앞의 책, p. 20, p. 21
  42. 국립중앙박물관 (1998). 앞의 책, p.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