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echnology Trends for Implementation of Homeland Security

국토안보 구현을 위한 기술 동향 연구

  • Jeong, Seung-Hui (Dept. of Information Technology E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 Han, Jong-Wook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 Choi, Yong-Seok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 Oh, Chang-Heon (Dept. of Information Technology E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정승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정보기술공학부) ;
  • 한종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최용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오창헌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정보기술공학부)
  • Received : 2009.12.07
  • Accepted : 2009.12.30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Recently, many countries are developing and investing in various homeland security technologies against terrorism. The importance of homeland security has been growing because of nuclear weapon threat from North Korea, the burning of cultural assets, and violence crim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have described and analyzed the trends related to homeland security technology. The main techniques toward homeland security are aggregation technology, integration technology, collaboration technology, categorization technology, intelligence technology, and mining technology. Those are likely to become the growth potentials until fade out of threat. Therefore, we require more government policies to support a budget enlargement.

세계 각국에서 개인 및 공공의 안전을 위하여 보다 강화된 국토안보 기술의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우리의 경우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둘러싼 국제적 긴장과 이로 인한 안보위협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문화재에 대한 화재 및 강력범죄의 증가 등으로 인해 국토안보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강화되는 추세인 안전을 위한 국토안보 구현을 위해 관련 기술의 개발동향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국토안보에 활용되는 과학기술 중 주요 기술로는 집적기술, 통합기술, 협력기술, 분류기술, 지능기술, 마이닝기술로 분류할 수 있으며, 테러 위협이 존재하는 한 관련 산업의 성장 잠재력은 높은 편이다. 따라서 국내 관련 업체들이 모든 분야에서 단시간 내에 관련 기술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안보관련 기술의 적극적인 개발과 인력확보 및 지원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배영자, "국가안보 및 재난관리와 과학기술:9.11 테러에 대한 미국 과학기술계의 대응과 국토안보에서 과학기술의 역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자료 200-05, 2003.07,
  2. 김재필, 9.11 테러리즘과 한반도안보에 관한 연구. 국방대 국방관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 박지형, 국가 사이버안전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 NSRI, "미국 정부가 2005년 중점 투자할 R&D 부문 4가지," Security Radar, 5권 17호, 2005. 4.
  5. PCAST(2002), Report on Maximizing the Contribu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Within the New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Sept. 2002.
  6. Michael Scardaville and Jack Spencer, Federal Homeland Security Policy-A Nine Month Assessment, No. 1563, June 25, 2002.
  7. Jesus Mena, Homeland Security Techniques and Technologies. Charles River Media, Inc. Hingham. Massachusetts. USA. 2004.
  8. Jesus Mena, Investigative Data Mining for Security and Criminal Detection, First Edition, Elsevier Science. Burlington. Massachusetts, USA. 2001
  9. Jane Bullock, George Haddow, Damon P. Coppola and Sarp Yeletaysi, Introduction to Homeland Security, Third Edition: Principles of All-Hazards Response. Elsevier Science, Burlington. Massachusetts, USA,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