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for Cancer Patients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

  • Yoon, Me-Ok (Department of Nursing, Woosuk University)
  • Published : 2009.06.0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for cancer patients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spiritual nursing care. Methods: In the study, there were 209 nurses involved who cared for cancer patients, and they were from Christian General Hospital in a city, Jeonju.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7 to 30 in 2008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search method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mean score of spiritual well-being of nurses was $63.41{\pm}10.32$ (range $20{\sim}80$) and that of spiritual nursing care was $26.96{\pm}7.05$ (range $15{\sim}60$).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of nurses and their spiritual nursing care (r=.353, P=.000). Conclusio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nursing care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he level of spiritual well-being of nurses was relatively significant, whereas that of spiritual nursing care was relatively low. Therefore, it is recommended, for spiritual nursing care that nurses responsible for cancer patients should pursue more spiritual growth, attend church services regularly, and should further be educated in their care and responsibility.

목적: 본 연구는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영적간호교육과 영적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전주시에 소재한 1개 기독교종합병원의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209명을 대상으로 2008년 9월 17일부터 30일까지 구조화 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PC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특성별 변수간의 관계는 t-test와 ANOVA, Duncan test, 변수간의 상관관계분석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영적안녕 정도는 평균 63.41 (도구범위: $20{\sim}80$점), 평균평점 3.17로 중상정도로 나타났고, 영적간호수행 정도는 평균 26.96 (도구의 범위: $15{\sim}60$점), 4점 만점에서 평균평점 1.80으로 중하 정도로 나타났다. 영적안녕의 하위영역 중 종교적 안녕은 평균 32.07 (평균평점 3.21), 실존적 안녕이 평균 31.34 (평균평점 3.13)로 종교적 안녕이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영적안녕과 하위영역인 종교적 안녕, 실존적 안녕 간에 모두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959, P=.000; r=.940, P=.000) 그 중에서 종교적 안녕과 더 높은 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안녕에서는 학력, 신앙생활기간, 예배참여정도, 종교가 삶에 미치는 정도, 믿음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간호수행에서는 연령, 결혼, 학력, 간호사역할, 임상경력, 신앙생활기간, 예배참여정도, 종교가 삶에 미치는 정도, 믿음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영적안녕과 영적 간호수행 간에는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r=.353, P=.000), 하위영역인 종교적 안녕(r=.331, P=.000), 실존적 안녕(r=.342, P=.000) 각각에서도 영적 간호수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영적안녕은 중상수준으로 비교적 높았으나 영적간호수행은 중하수준을 보여주었으며,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또한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은 교육, 신앙생활기간, 예배참여정도, 종교의 중요성, 믿음정도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간호사들의 교육수준을 높이며, 신앙적인 삶을 권장하고, 예배참여와 개인의 믿음성장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오복자.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중재와의 관계. 간호학탐구 1996;5(2):103-9.
  2. 강성례. 영적간호의 개념분석. 대한간호학회지 2006;36(5):803-12.
  3. Nee W. Spiritual man. New York:Christian Fellowship;1986.
  4. 이미라. 암환자의 영성개념분석: 기독교, 불교, 무교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2002.
  5. 김영순. 말기암환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조사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이화여자대학교;1989.
  6. 윤매옥, 박정숙. 말기암환자의 영성체험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3;14(3):445-56.
  7. Ross LA. Spiritual aspect of nursing. J Adv Nurs 1994;19(3):439-47.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4.tb01105.x
  8. Stoll RI. Guidelines for spiritual assessment. J Adv Nurs 1979;79(9):1574-7. https://doi.org/10.2307/3424688
  9. 윤매옥. 말기암환자를 위한 영적간호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기독교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대구:계명대학교;2004.
  10. 이원희. 영적간호. 대한간호 1988;27(1):21-7.
  11. Fish S, Shelly JA. Spiritual care: The nurse's role. Downers Grove, Illinois:Intervarsity Press;1978.
  12. Dyson J, Cobb M, Forman D. The meaning of spirituality: A literature review. J Adv Nurs 1997;26(6):1183-8.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7.tb00811.x
  13. Granstrom S. Spiritual care for oncology patients. Top Clin Nurs 1985;7(1):39-45.
  14. 윤매옥. 영적간호중재가 호스피스환자의 통증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익산:원광대학교;2001.
  15. Soeken KL, Carson VJ. Study measures nurses attitude about providing spiritual care. Health Progress 1986;7(3):52-5.
  16. Highfield MF. Spiritual assessment across the cancer trajectory:Methods and reflections. Semin Oncol Nurs 1997;13(4):237-41. https://doi.org/10.1016/S0749-2081(97)80017-4
  17. 한영미. 호스피스환자의 영적요구.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2000;3(1):39-48.
  18. Paloutzian RF, Ellison CW.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New York:John Wiley & Sones Inc;1982.
  19. 최상순. 일 지역 성인의 영적안녕, 희망 및 건강상태에 관한 관계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1990.
  20. 강정호. 암환자의 영적안녕 상태에 관한 조사연구[석사학위논문]. 부산:부산대학교;1996.
  21. Taylor EJ, Amenta M., Highfield M, Spiritual care practices of oncology nurses. Oncol Nurs Forum 1995;22(1):31-9.
  22. 윤현정.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영적안녕, 우울 및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석사학위논문]. 광주:조선대학교;2005.
  23. 김미자. 종양병동간호사의 영적안녕, 업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부산:고신대학교;2006.
  24. 최상순, 허혜경. 임상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996;2(2):109-20.
  25. 정정숙. 중환자실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과의 관계. 예수간호대학논문집 1999;12(1):95-100.
  26. 최애규. 간호사의 영적안녕이 영적간호중재에 미치는 영향. 선린대학논문집 1999;19:3-21.
  27. 신수정.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석사학위논문]. 서울:중앙대학교;2003.
  28. 이윤희.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공주:공주대학교;2006.
  29. 이영은, 박혜선, 강양희.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에 관한 연구. 호스피스학술지 2007;7(1):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