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ing Web Contents for Rock-forming Mineral Observation under Polarizing Microscope

편광현미경을 이용한 조암광물 관찰 웹 컨텐츠 개발

  • Lee, Chang-Zi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eol-M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Ryu, Chun-Ryol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이창진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 박철모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 류춘렬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9.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he web contents about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rock forming minerals. The web content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fundamentally made up so as to show clearly the learning objective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nd to review one content easily and search for another content freely. In addition to the web contents, the photos and moving images of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rock forming minerals cit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are demonstrated for the students to recognize the mineral characteristics on the screen. The analysis on the quality level and teaming effect of teaching and teaming material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LSAM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web contents to the class, showed that most students evaluated were effective for understand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ck-forming minerals. About 62% of the students who used the web contents were able to identify the rock-forming minerals on the thin section under the polarizing microscope.

본 연구의 목적은 조암광물의 광학적 특징에 대한 웹 컨텐츠를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있다. 개발된 웹 콘텐츠는 학습 목표와 교수 학습 내용을 명료하게 보여주고 학습 내용의 접근과 항목간의 이동을 원활히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중고등 학교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8종의 조암광물에 대한 광학적 특징을 동영상과 사진으로 제시하여 학생들의 광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개발된 웹 컨텐츠를 수업에 적용한 후 MALSM를 이용한 교수-학습 자료로서의 질적 수준과 학습 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업목표, 학습내용, 수업전략, 화면구성, 이용의 편의성, 학습자료 항목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웹 컨텐츠를 이용한 수업을 받은 학생 중에서 약 62%의 학생들이 편광현미경으로 박편상의 조암광물을 동정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6,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 교육인적자원부, 109 p
  2. 교육인적자원부, 2007a, 과학과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별책 9), 81 p
  3. 교육인적자원부, 2007b, 탐구실험 중심의 초중등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연구개발 사업. 교육인적자원부 중등과학교육연구센터 2007년도 중간 발표회 중등 개발 과제발표 자료집, 238 p.
  4. 김경수, 2006, 광물의 광학적 성질 관찰을 위한 실험 기구 개발 및 예비 적용. 한국지구과학회 2006년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87-88
  5. 김중욱, 이윤종, 임성규, 정원우, 1999, 조암광물 실험키트의 개발과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0, 445-453
  6. 박인욱, 1996, 학교교육에 있어서 구성주의 교수원리의 실현 매체로서 인터넷 고찰. 교육공학연구, 12, 81-103
  7. 서울대학교과학교육연구소, 2008, 고등학교 2,3학년 지구과학 수업 지도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서울, 331 p
  8. 이창진, 이문원, 박수인, 김정률, 2000, 편광현미경으로 본 암석의 세계. 교육과학사, 파주, 185 p
  9. 이창진, 홍석의, 2003,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가상지질조사 웹 컨텐츠 개발 -제주도 송악산과 지삿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4, 172-180
  10. 위수민, 최준경, 2002, 고등학생들의 광물과 암석에 대한 홍미도. 한국지구과학회지, 23, 625-631
  11. 조미헌, 김민경, 김미량, 이옥화, 허희옥, 2004, e-learning 컨텐츠 설계. 교육과학사, 파주, 462 p
  12. 한국과학문화재단, 2007, 고등학교 과학. 교학사, 서울, 581 p
  1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교실수업과 사이버학습 연계의 커뮤니티 기반 교수. 학습 활동 안내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자료 TL2003-4, 159 p
  14. 한병래, 2002,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동기 지속을 위한 온라인퀴즈 게임형 학습시스템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6 p
  15. Badrui, H.K., 1997, Web based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Englewood Cliffs, NJ, USA, 480 p
  16. Crotty, T., 1995, Constructivist theory unties distance learning and teacher education. Education at a Distance, 9, 12-16
  17. McManus, T.F., 1995, Selected case studies in internet based post-secondary distance education. In Willis, D., Robin, B., and Willis, J. (eds.),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Annual 1995 (464-467). Charlottes ville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 VA, USA, 1080 p
  18. Wagner, M. and McCombs, B., 1995, Learner centered psychological principles in practices: Designs for distance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35, 3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