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양순, 권점노, 손재경, 정창수, 홍석진, 공재열. 2003. 2002년 통영연안의 적조발생전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6:515-521 https://doi.org/10.5657/kfas.2003.36.5.515
- 강연식, 최휴창, 임주환, 전인성, 서지호. 2005. 동해 축산항 연안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조류학회지. 20:345-352
- 국립수산과학원. 2002. 2000, 2001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상황. 158pp
- 국립수산과학원. 2004. 2002~2003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현황. 273pp
- 김기영. 2005. 여자만 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분포특성. 여수대학교 산업대학원 이학석사학위논문. 60pp
- 김대일. 1999. 가막만 해양환경과 적조생물의 출현 동태. 여수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학위논문. 112pp
- 김소영, 문창호, 조현진. 2003. 한국 남해 연안 광양만 표층 적물의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 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과의 비교. 한국해양학회지-바다. 8:111-120
- 김재성. 2003. 한국 서∙남 연안해역에서 적조생물에 대한 원생동물플랑크톤의 포식압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학위논문. 230pp
- 김학균, 정창수, 임월애, 이창규, 김숙양, 윤성화, 조용철, 이삼근. 2001. 한국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변천. 한국수산학회지. 34:691-696
- 노일현, 윤양호, 김대일, 박종식. 2006. 가막만 표층퇴적물중 유기물량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1-13
- 문창호, 최혜진. 1991. 낙동강 하구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6:144-154
- 박종식, 윤양호. 2003. 와편모조류 Cyst 분포에 의한 한국 넘서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1. 가막만 와편모조류 Cyst의시ㆍ공간적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6:151-156 https://doi.org/10.5657/kfas.2003.36.2.151
- 박주석, 이삼근. 1990. 한국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괴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3:208-214
-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198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9:172-186
- 심재형, 신윤근, 여환구. 1991. 만경, 동진강 하구 표영생태계의 무생물 환경과 일차생산자 I.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한국해양학회지. 26:155-168
- 여환구, 강 헌. 1998. 인천연안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7:321-326
- 여환구, 허성회. 1999. 고리해역 표영환경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환경생물. 17:71-77
- 오석진, 이종석, 박종식, 노일현, 윤양호. 2008. 진주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천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1:98-104
- 유영두, 정해진, 심재형, 박재연, 이경재, 이원호, 권효근, 배세진, 박종규. 2002. 전북 새만금 남쪽 해역의 유해성 적조발생연규 1. 1999년도 여름-가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129-139
- 윤양호, 노홍길, 김영기. 1992. 제주북방, 성덕연안해역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특성. 제주대학교해양연구소 연구보고. 16:27-42
- 윤양호, 고남표. 1994. 금오열도 연안해역의 하계 미세조류(식물플랑크톤)의 분포 특성.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32:161-171
- 윤양호. 1995. 가막만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군집의 변동특성. 여수수산대학교 논문집. 4:1-15
- 윤양호, 고남표. 1995. 거금수도내 양식어장의 해양환경특성 I. 식물플랑톤 군집의 계절변동. 한국양식학회지. 8:47-58
- 윤양호. 1998a. 시아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특성. 환경생물. 16:403-409
- 윤양호. 1998b. 완도 신지도 연안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특성. 여수대학교 논문집. 12:651-664
- 윤양호. 1998c. 가막만 남부 화태연안해역의 식물플랑크톤군집구조 특성.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7:129-144
- 윤양호. 2000. 해창만의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 1.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및 분포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3:41-50
- 이준백, 고유봉, 좌종헌. 1990. 제주도 해안선 주변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와 동태. 한국조류학회지. 5:159-171
- 이진환, 이은호. 1999. 득량만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적조. 환경생물. 17:271-278
- 이진환, 윤수미. 2000. 여자만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군집. 한국조류학회지. 15:89-98
- 이창규, 김형철, 이삼근, 정창수, 김학균, 임월애. 2001. 남해안 연안에서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ikoides, Gyr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의 출현상황과 온도, 염분,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4:536-544
- 임월애. 2004. 한국남해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9pp
- 정해진, 박종규, 최현용, 양재삼,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김형섭, 조경제. 2000.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2. 1997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5:27-36
- 전라남도. 1993. 전남통계연보
- 조기안, 위인선, 최청일. 199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연구. 환경생물. 12:137-150
- 조현서, 최규정. 1995. 화태도 양식장 주변해역의 계절별 수질변동 특성.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4:17-30
- 좌종헌, 이준백. 2000. 제주도 문섬 산호서식지 주변의 생물 생태학적 특성 I.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한국해양학회지-바다. 5:59-69
- 추효상. 1993. 여수해역의 해양 기상학적 특성,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2:1-13
- 추효상. 1998. 가막만 남쪽 화태도 주변의 해황 특성.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7:145-157
- 飯塚昭二. 1986. 植物プランクトンの調査-試料採取, 固定, 濃縮, 計數, 同定-In "日本海洋學會編, 沿岸環境マニュ アル(底質∙生物編). 恒星社厚生閣, 東京", 144-147
- Abe TH. 1981. Studies on the family peridinidae an unfinished monograph of the armoured dinoflagellata. Academia Scientific Book Inc. Tokyo, 409pp
- Carreto JI, HR Benavides, RM Negri and PD Glorioso. 1986. Toxic red-tide in the Argentine Sea. Phytoplankton distribution and survival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onyaulax eccavata in frontal area. J. Plankton Res. 8:15-28 https://doi.org/10.1093/plankt/8.1.15
- Chihara M and M Murano. 1997. An illustrated guide to marine plankton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1574pp. (in Japanese)
- Cho HJ and JB Lee. 2002. Growth rates of a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Polykrikos kofoidii and its gamete-like organism. Bull. Mar. Environ. Res. Inst. Cheju Nat. Univ. 26:1-6
- Choi JK and JH Shim. 1986.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II. Phytoplankton composition, standing crops, Tychopelagic palnkton. The J. Oceano. Soc. Korea 21:156-170
- Cupp PE. 1943. Marine plankton diatoms of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Bull. Scripps Inst. Oceanogr. Uni. California, La Jolla, Tech. Ser. 5, 237pp
- Dodge JD. 1982. Marine dinoflagellates of the British Isles.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London, 303pp
- Frost BW. 1991. The role of grazing in nutrient-rich areas of the open sea. Limnol. Oceanogr. 36:1616-1630 https://doi.org/10.4319/lo.1991.36.8.1616
- Ignatiades L. 1979. The influence of water stability on the vertical structure of a phytoplankton community. Mar. Biol. 52:97-104 https://doi.org/10.1007/BF00390416
- Jeong HJ, SK Kim, JS Kim, ST Kim, YE Yoo and JY Yoon. 2001. Growth and grazing rates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Polykrikos kofoidii on red-tide and toxic dinoflagellates. J. Eukaryot. Microbial. 48:298-308 https://doi.org/10.1111/j.1550-7408.2001.tb00318.x
- Lalli CM and TR Parsons. 1993. Biological oceanography: an introduction. Pergamon Press, 301pp
- Matsuyama Y, M Miyamoto and Y Kotani. 1999. Grazing impacts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Polykrikos kofoidii on a bloom of Gymnodinium catenatum. Aquat. Microb. Ecol. 17:91-98 https://doi.org/10.3354/ame017091
- Morey-Gaines G and RH Ruse. 1980. Encystment and reproduction of the predatory dinoflagellate, Polykrikos kofoidii Chatton (Gymnodiniales). Phycologia. 19:230-232 https://doi.org/10.2216/i0031-8884-19-3-230.1
- Nybakken JW and MD Bertness. 2005. Marine Biology An Ecological approach (6rd ed.). Pearson Higher Education, 462pp
- Sampayo MAM. 1998. Polykrikos kofoidii Chatton predation on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and its effects. pp.182-183. In Harmful Algae (Reguera B, J Blanco, ML Feranadez and T Wyatt eds.). Xunta de Galicia and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of UNESCO 1998, Paris
- Shim JH and SJ Yoo. 1985. Phytoplankton community off the coast of Kunsan, Korea. The J. Oceano. Soc. Korea 20:31-42
- Tomas CR. 1997.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Academic Press, London, 858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