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승삼, 1990, '일본의 Karst 지형,' 한국동굴학회지, 23, 38-55
- 서관호·신동원·조용호, 2009, 온달굴 지형지물에대한 관람 포인트 설정 및 관람루트에 관한 수치분석, 한국동굴학회지, 92, 52-58
- 서무송, 2005, '동강 유역의 석회암 동굴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66, 95-109
- 오종우, 1994, '고씨동굴의 내부지형에 관한 특성과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39, 14-33
- 오종우.홍현철, 1994, 단양 온달굴 지대의 인문사 회지리 환경, 한국동굴학회, 37, 68-80
- 정민채·한대호, 2009, '고수동굴의 관람루트에 대한 수치적 고찰,' 한국동굴학회, 93, 41-48
- 홍시환 외, 1990, '천동동굴의 동굴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24, 1-41
- 홍현철, 1993, 고수동굴의 교통 및 관광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33, 47-60
- 홍현철, 2008, 군집분석을 이용한 동굴 유형분류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84, 1-9
- 홍현철, 2008a, 동굴관광지의 관계적 입지특성 분석을 위한 그래프이론의 적용(1); 네트워크분석 기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동굴학회지, 86, 8-15
- 홍현철, 2008b, 동굴관광지의 관계적 입지특성 분석을 위한 그래프이론의 적용(2); 네트워크의 지위분석 기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동굴학회지, 88, 38-44
- 홍현철, 2008, '공개동굴 지형지물의 명칭 및 설명문에 대한 문제점 고찰,' 한국동굴학회지, 87, 23-33
- Cooper, C. P.(1981). Spatial and temporal pattern of tourist behavior. 'Regional Studies', 15(5): 356-371
- Crompton, J, L.(1992). Structure of vacation destination choice sets. 'Annals of Tourism Research', 19: 420-434 https://doi.org/10.1016/0160-7383(92)90128-C
- Field, D. R.(2000). Social groups and parks: Leisure behavior in time and spac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2(1): 27-31
- Gunn, C. A.(1979). Tourism Planning. Taylor&Francis. NewYork
- Leiper, N.(1991). The framework of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6(4): 403-415
- 高橋伸夫.菅野峰明.村山祐司.伊藤悟(1997) 新しい都市地理學. 東洋書林. 東京
- 足羽洋保(1994). 新觀光學槪論, ミネルヴァ書房. 京都
- 鶴田英一(1994). 觀光地理學の現狀と課題 : 日本と英語圈の硏究の止揚に向けて. '人文地理' 46(1): 6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