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rocurement of Construction Materials in the HwaSeong Construction Project

화성건설공사에서 자재의 조달방법 연구

  • 김균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관리경제연구실)
  • Received : 2009.10.31
  • Accepted : 2009.11.30
  • Published : 2009.12.20

Abstract

HwaSeong (Suwon Fortress)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the Choseon Dynasty.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of HwaSeong can be found in Hwaseong Seongyeok Euigui.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Hwaseong Seongyeok Euigui based on construction management factor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HwaSeong construction project from a modern construction perspective by comparing and review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curement of construction materials of the time. For this, wooden and steel materials and tiles were analyzed by supply area, supply channel, type and price.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government used both private and official channels to supply materials. In particular, except for wooden materials that could be supplied from Bongsan, the supply of materials showed a high dependency on private channels. In terms of steel, it was almost 30 percent cheaper through private channels than when purchased through the official channel. Finally, materials vulnerable to damage like tiles were manufactured from the areas near the construction site. From this fac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government had a flexible procurement system, including manufacturing on the spot and external suppliers,depending on the property of the material. It is expected these analytical results will serve as key data to understand the management factors in constructing HwaSeong.

화성은 조선 정조 때 건설되었는데, 화성의 건설과 관련된 정보들이 화성성역의궤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화성성역의궤에 담긴 건설관련 정보들을 건설관리 요소별로 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화성성역의궤에 기록된 주요자재의 조달관련 정보들을 비교.검토함으로써, 화성성역을 현대 건설관리적 개념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목재, 철물, 기와를 대상으로 공급지역, 공급방법, 종류 및 가격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화성성역에서는 주요자재를 조달함에 있어서, 관급과 민간매입이 병행되었다. 특히 봉산에서 공급 가능한 목재를 제외하고는 민간으로부터의 조달에 크게 의존하였다. 또 민간으로부터의 자재를 구매하는 것이 비싸지 않았으며, 강철의 경우에는 황해도 등의 지방에서 직접 구입하는 것 보다 30% 저렴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와와 같이 손상되기 쉬운 자재는 원거리에서 운반해 오는 것 보다는 현장 인근에 생산시설을 구비하여 직접 생산하고 현장에서 소비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재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현장제작과 외부조달을 병행하는 유연성을 가지고 자재의 조달관리를 수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분석결과들은 화성성역의 공사관리 요소를 파악하는 데에 핵심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균태, 조선시대 화성성역의 공정관리 사례분석,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8권6호, pp.139-145, 2008.12 https://doi.org/10.5345/JKIC.2008.8.6.139
  2. 김균태, 조선시대 화성성역의궤의 건설관리적 의미, 한국건축시공학회2008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8권 제2호, pp.167-172, 2008.11
  3. 김균태, 팔달문 건설의 소요자원 산정을 위한 화성성역의궤 분석, 한국건축시공학회200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9권 제1호, pp.1-6, 2009.5
  4. 김동욱, 조선후기 건축공사에 있어서의 목재공급 체계-수원성곽공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8권 제117호, pp45-51, 1984.4
  5. 이태열, 이상해, 김예상, 조선시대 화성성역의궤에 나타난 건설관리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회, pp.341-346, 2001.11
  6. 이태열, 이상해, 현대 건설관리개념을 통한 화성성역의궤의 분석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10권 제3호, pp.61-76, 2001.9
  7. 화성성역의궤 국역증보판, 기전문화재연구원, 경기문화재단, 20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