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disclosure and Privacy in the Age of Web 2.0 A Case Study

웹 2.0 시대의 프라이버시 청년 UCC 이용자들의 인식과 실천을 중심으로

  • Lee, Dong-Hoo (Dept. of Mass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ncheon)
  • Published : 2009.05.15

Abstract

With the advent of the so-called Web 2.0 age, the interconnections of various contents on the web, as well as the user-participatory services from blogs, web-based communities, picture sharing sites, and social networking sites, to the sites for collective knowledge productions, have been further vitalized. As the User Generated Contents(UGCs) are flourishing on the web, they have channeled users' desires for self-expression and social acknowledgement, and yet have created the new kinds of invasion of privacy. This study attempts to look at how the networked individuals' everyday perceptions of privacy have been reconstructed in the age of Web 2.0. By investigating how users have used the UGCs for their sociality on the web and how they have set the boundaries of the private and the public in these public or semi-public disclosures of self-expressions, it has traced the changing perceptions of privacy in everyday communication practices. For this study, it has interviewed Korean youngsters in their 10s and 20s who have grown up with the Internet and have received self-expressions and social communication on the web as everyday activities. Based on their interviews, it inquires into the concurrent notion of privacy and discuss its cultural implications.

인터넷 이용이 일상화되고 참여, 공유, 개방의 정신을 표방한 소위 웹 2.0 시대가 도래하면서, 프라이버시 침해나 보호의 문제가 자주 거론되고 있다. 이 연구는 UCC(User Created Contents) 활용을 통한 자기 노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웹 2.0 시대에 프라이버시에 관한 인식과 실천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를 질적 조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상적으로 UCC를 활용하는 10대 후반, 20대 초반 이용자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UCC를 통한 이들의 사회적 소통 방식과 이러한 소통 과정에서의 자신 노출 및 공사 구분의 방식, 그리고 여기에 나타난 프라이버시 인식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심층 인터뷰 결과, 인터뷰 참여자들은 콘텐츠를 선택하고 그 접근과 공유의 범위를 설정할 때 공사의 구분을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또한 UCC를 통해 낯선 이에게 자신의 이미지가 노출되고 감시당할 수 있는 점에 대해서 막연하게 불안감을 갖지만, 악의적인 반응을 얻지 않는 한 프라이버시와 연계시켜 문제의식을 갖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웹 2.0 시대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보다 복합적인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