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Activity Process of Gifted Students Shown in Field Trip Activity Emphasizing Open Inquiry

개방적 탐구를 강조한 탐방 활동에서 나타난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의 활동 과정 분석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Science field trip is a comprehensive learning activity in which students can solve problems by themselves, whose importance is emphasized in learning for the gifted. But because not much study has been done yet on this, and convergent activities such as solving too many problems or requesting given answers have generally been done, it has been criticized for not being enough to develop the abilities of gifted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activity process of the gifted through field trip to which open inquiry is adapted so that the demands of the gifted can be met, and the abilities of the gifted can be brought out. The study focused on 18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at Institute of Science Gifted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in the field trip process of the students, analyzed the types of establishment of inquiry problems and inquiry process,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gifted science students shown during field trip activity through field trip proceedings, transcript contents, poster materials, questionnaires, etc. As a result, more inquiry problems were established after than before inquiry, and the level of inquiry problems was also higher after inquiry. The solution process for inquiry problems of the gifted science students were done in the following order: planning, inquiring, follow-up inquiring and consolidating. But it proceeded to open inquiry process, the next stage being decid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Also, in the inquiry that the students did, diverse factors were revealed such as basic and integrative inquiries, and especially, the students were competent in analyzing the results after transforming and interpreting them. And the analysis of the interaction among the students showed many behavioral traits of talented science students.

과학 탐방 학습은 학생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종합적 학습 활동으로 영재 학습에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너무 많은 양의 과제를 해결하거나, 정해진 답을 요구하는 수렴적 활동이 주로 이루어져 영재학생의 능력을 개발하는데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영재의 지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개방적 탐구를 토대로 하는 탐방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이를 초등 과학 영재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고, 탐방 활동지, 상호작용 녹음내용, 발표용 포스터, 설문지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탐구문제 설정 유형 및 탐구 과정, 탐방 활동 중에 나타나는 과학 영재의 활동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탐방 전보다 탐방 후에 더 많은 탐구문제를 만들 뿐만 아니라 탐구문제의 수준도 더 높아졌다. 이를 해결하는 탐구과정은 계획하기, 탐구 수행하기, 후속 탐구하기, 정리하기의 순서에 의해 순환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상황에 따라 다음 단계를 결정하는 개방적 탐구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기초 탐구과정 및 통합 탐구과정 요소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결과를 해석하고 변환하여 분석하는 능력이 뛰어났다. 또한 탐방 활동 중에 나타난 학생들의 상호 작용을 분석한 결과 과학 영재의 행동적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치순, 김재영, 김남일, 임채성, 전영석 (2005). 초등과학 영재캠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5(5), 522-531
  2. 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4-1.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 김재우 (2000). 중학생의 과학적 탐구문제 설정 과정에 대한 사례적 분석. 서울대학 교 박사학위 논문
  4. 김주훈, 이은미, 최고운, 송상헌 (1996). 과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연구 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4). 영재교육학원론. 서울:교육과학사
  6. 박진홍 (2001). 야외 지질 학습장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의 암석과 지질구조 동정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7. 서혜애, 이윤호 (2003). 영재교육기관의 교수. 학습실태 분석.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 중동교육연구소, 51(2), 69-86
  8. 석경희 (2004). 영재과학캠프를 통한 학습자특성에 따른 학습 선호도 특성 및 학습모 형과의 관계분석.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심혜진, 장신호 (2007). 과학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창의적 과학 문제 해결 과정 에 대한 사례 연구.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5(5), 532-547
  10. 여상인, 강호감 (2002) 과학영재교육센터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인천교육 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4 집
  11. 유준희 (2004). 우리 역사 속 과학 탐방의 교육. 서울대학교과학교육연구소,
  12. 윤성효, 장정일, 고정선 (2005). 고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 지구과학교육학회지, 26(7), 611-623
  13. 윤혜경(1998). 한국 역사 속 과학 탑방의 실제 지도 방안. 98 과학교육자큰모임. 한국 과학교육총연합회
  14. 조한국, 한기순, 박인호 (2001). 프로젝트형 탐구학습을 통한 영재들의 과학하기. 영재교육학회지, 11(3), 23-44
  15. 한종하 (1985). 과학영재 변별을 위한 파학적성 검사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6. Falk, J. H., Martin, W. W., & Balling, J. D. (1978). The novel field trip phenomenon:Adjustment to novel settings interferes with task leam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5, 127-134 https://doi.org/10.1002/tea.3660150207
  17. Falk, J. H., & Balling, J. D. (1982). The field trip milieu: Leaming and behavior as afunction of contextual ev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6, 22-28
  18. Hackling, M. W., & Fairbrother, R. W. (1996). Helping students to do open investigation in science.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42(4), 26-33
  19. Orio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 as an a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6),325-331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3.tb12254.x
  20. Orion, N., & Hofstein, A. (1994). Factors that influence leam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on a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10),1097-1119 https://doi.org/10.1002/tea.366031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