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in the fertility rates and the determinants of birth interval of Korean women

한국여성의 출산율 변화와 출산간격 영향요인

  • 류기철 (충북대학교 경제학과) ;
  • 박영화 (충북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is paper uses a survey data to analyze the age-specific fertility rates, age-specific cumulative fertility rates, and ages of marriage of the five birth cohorts of Korean women born in the 1940s and thereafter. It was found that later cohorts reach their highest age-specific fertility rate at higher ages than earlier cohorts. The age-specific cumulative fertility rates of the 1950s and 1960 cohorts were found to be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cohorts, while those of the 1970s and 1980s cohort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1960s cohorts. Women belonging to later cohorts were found to get married at relatively higher ages.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hazard model show that women belonging to later cohorts and those with more schooling have a tendency to get married at higher ages. The effect of the birth cohorts is thought to be due to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Korea during the late 50 years or so. The time interval between a woman‘s marriage and first birth was found not to be affected by either the year of marriage or that of her birth. Also, those who remained employed for some time around their marriage and those with low schooling were found to have a lower first child birth hazard, which implies that married women’s employment status and family incom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ir decisions on childbirth.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1940년대 이후 출생한 우리나라 여성들의 연령별 출산율, 연령별 누적출산율, 결혼연령을 5개의 출생코호트별로 살펴보고 위험도 모형을 이용하여 결혼연령 및 결혼 이후 초산까지의 간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각 분석하였다. 먼저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출생시기가 늦은 코호트일수록 출산율이 최고수준에 이르는 연령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령별 누적출산율은 50년대 코호트와 60년대 코호트의 경우 각각 직전 코호트에 비해 누적출산율이 크게 하락하였으나 70년대 코호트나 80년대 코호트는 60년대 코호트에 비해 누적출산율에 있어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혼연령을 보면 최근의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결혼연령이 높아졌다. 한편, 결혼 위험도 모형을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여성의 출생시기가 늦을수록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연령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출생시기의 영향은 그간 진행된 여성의 취업기회의 확대와 여성의 상대적 지위의 향상 등 경제적 및 사회문화적 변화를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결혼 이후 첫 자녀의 출산 위험도의 경우에는 출생시기나 결혼시기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결혼 이후에도 상당기간 취업상태를 유지한 여성의 경우 출산 위험도가 크게 낮았으며 또한 중졸 이하 학력을 가진 여성은 여타 수준의 학력을 가진 여성에 비해 출산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의 취업이나 낮은 가구소득이 출산율을 낮추는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가진다.

Keywords

References

  1. 민희철 (2008) '임금 및 소득이 출산간격에 미치는 효과의 분석' '재정학연구' 1(1): 41-61
  2. 은기수 (2001) '결혼연령 및 결혼코호트와 첫 출산간격의 관계' '한국사회학' 35(6): 105-139
  3. 이삼식, 신인철, 조남훈, 김희경, 정윤선, 최은영, 황나미, 서문희, 박세경, 전광희, 김정석, 박수미, 윤홍식, 이성용, 이인재 (2005) '저출산 원인 및 종합대책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2)
  4. 전광희 (2002) '한국의 저출산: 추이와 전망' '사회과학연구'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2): 305-323
  5. 조병구, 조윤영, 김정호 (2007) '출산지원정책의 타당성 및 지원효과 분석' 'KDI 연구보고서' 한국개발연구원
  6. 최경수 (2003) 'ㅊ'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I)' 최경수, 문형표, 신인석, 한진희 편 한국개발연구원 12: 28-81
  7. Heckman, J. and J. Walker (1990) 'Relationship between Wages and Income and Timing and Spacing of Births: Evidence from Swedish Longitudinal Data', Econometrica 58(6): 1411-1441 https://doi.org/10.2307/2938322
  8. Merrigan, P. and Yvan St. Pierre. (1998) 'An Econometric and neoclassical analysis of the timing and spacing of births in Canada from 1950 to 1990'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11: 29-51 https://doi.org/10.1007/s001480050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