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국민의 가계 금융부채에 대한 체감도 분석

Analysis of Stress level of Korean Household Members due to Household Debt

  • 오만숙 (이화여자대학교 통계학과) ;
  • 현승미 (이화여자대학교 통계학과)
  • Oh, Man-Suk (Department of Statistics, Ewha Womans University) ;
  • Hyun, Seung-Me (Department of Statistics, Ewha Womans University)
  • 발행 : 2009.04.30

초록

최근 금융위기의 요인이 되고 있는 가계부채에 대하여 가계구성원이 느끼는 부담감, 즉, 가계부채에 대한 체감도에 가계구성원의 속성들(주택점유형태, 가구주 학력, 가구주 연령, 월소득, 거주지역)이 미치는 영향을 2004년도 국민은행이 조사한 실제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체감도를 부채에 대한 부담감이 낮음과 높음의 이항자료로 구분하여 가계구성원의 속성들을 설명변수로 갖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적합도에 대한 우도비 통계량을 이용한 후진제거법을 사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자료를 잘 적합시키는 모형을 선택한 결과 2개의 2차 교호작용을 갖는 모형이 선택되었다. 선택된 모형에 대한 계수 추정치를 통하여 각 속성이 부채 체감도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가계부채의 유무에 대하여 가계구성원의 속성들이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하여 유사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가주택일수록, 월소득이 증가할수록, 가구주 학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가구주 연령이 낮아질수록 부채에 대한 체감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Korean household debt is one of the main sources of the current financial crisis. This paper studies the impact of household members' attributes such as a type of housing(self-own or rent), education, ag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head of household, and the area of residence, on the stress level of the household members due to household debt. We analyze a real data set collected by KB Kookmin Bank in 2004. We consider low and high stress level as a binary response variable and use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ith the attributes of household members as explanatory variables. A simple but well-fitting model is selected by backward elimination method based on the likelihood statistic for goodness-of-fit test, and the impact of the attributes on the stress level is studied from parameter estimates of the selected model. We also perform the similar analysis on a binary response variable which distinguishes households with no debt from the rest. From the analysis, the stress level tends to be low for households with self-own houses, high average monthly income, low education level, and young memb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민은행 (2004). 주택금융 수요실태조사, 부동산 Lab 보고서
  2. 김은혜 (2007). 가계부채 증가의 결정요인 분석,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청구논문
  3. 박태성, 이승연 공역 (1998). , 자유아카데미
  4. 윤소영 (2008), <2008년 2/4분기중 가계신용 동향>,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
  5. 조인호 (2004). , 2nd Edition, 영진 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