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gional and Gender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Groups in Clothing-Wearing Motives, Casual Brand Preference and Actual Purchasing Condition

고등학생의 의복 착용 동기, 캐주얼 브랜드 선호 및 구매 실태에 나타나는 지역과 성별 차이

  • Park, Sang-Jin (Dept. of Textile & Fashion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 Cho, Yun-Jin (Dept. of Fiber Industrial Design, Jinju National University) ;
  • Chung, Ihn-Hee (School of Advanced Materials & Systems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박상진 (금오공과대학교 섬유패션공학과) ;
  • 조윤진 (진주산업대학교 섬유산업디자인학과) ;
  • 정인희 (금오공과대학교 신소재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regional and gender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groups in clothing-wearing motives, casual brand preference and actual purchasing condition. Using a $2{\times}2$ sampling frame, 100 responses were collected for each regional and gender group: male students in Seoul, females in Seoul, males in Gumi, and females in Gumi. In terms of clothing-wearing motives, Gumi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showed more highly extroverted motives than males and Seoul students, respectively. And three groups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clothing-wearing motives: the extroversion group, the introversion group, and the least clothing-cognizing group. Concerning the brand preference factor, female students showed more dispersed brand preference than males. Adidas and Puma were preferred by all 4 groups. Polo and Guess were preferred by Seoul students, and Clide, Banila B, and TBJ were preferred by female students. The determinants of brand preference were identified as quality, reliability, affirmative image, and some brand personas such as 'neat', 'natural' and 'polished'. The students from Seoul tend to pay more money for clothing than those from Gumi, and Seoul students' main purchasing place was identified as department store while Gumi students shop more at brand chain stores.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원. (1995).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2. 고애란, 진병호, 심정은. (2000). 청소년기 여학생의 의복 행동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연령, 지역 차이와 심리적 특성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한국의류학회지, 24(4), 475−486
  3. 고은주, 장남경. (2003). 연령과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의복 행동 연구를 통한 패션마케팅 전략 제안. 대한가정학회지, 41(12), 13-26
  4. 국가통계포털. (2008). 통계청. 자료검색일 2008, 7. 6, 자료출처 http://www.kosis.kr
  5. 권이종, 김용구. (2006). 청소년이해론. 서울: 교육과학사
  6. 김경원, 이은영. (1999). 소비자 평가에 기초한 의류 상표 자산. 한국의류학회지, 23(8), 1075−1085
  7. 김경희, 정성지. (2000). 중·고등학생들의 의복 동조와 의복태도와의 관련 연구-서울 거주자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4(3), 401−422
  8. 김민경, 정인희, 성화경. (2002). 의류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1), 1558−1569
  9. 박혜선. (2008). 국내 및 해외 유명 잡화 브랜드의 선호도와 성과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2), 190−200 https://doi.org/10.5850/JKSCT.2008.32.2.190
  10. 에이커, 데이비드. (1991). 브랜드자산의 전략적 관리.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역 (1992). 서울: 나남출판
  11. 이명희, 유경숙. (2004). 청소년의 의복 소비행동의 지역별 비교 연구. 복식, 54(5), 13−25
  12. 이현림, 김영숙. (2006). 인간발달과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3. 임경복. (2005). 여성 소비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관여도에 관한 연구-대도시와 중소도시 거주자의 비교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9(1), 68−78
  14. 정옥분. (1998). 청년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15. 정유진, 김동인, 박상진, 정인희. (2005). 패션 브랜드 지점조사를 통한 구미시 상권 구조 및 패션 동향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9(3/4), 511−522
  16. 정인희, 김상완. (2007). 브랜드 전환 매트릭스를 적용한 캐주얼웨어 시장의 유행 현상 분석. 복식문화연구, 15(3),525−540
  17. 정인희, 박상진, 권영일. (2001). 의복 착용 동기에 따른 의복 효용 감소에 대한 반응. 한국의류학회지, 25(7), 1332−1340
  18. 정인희, 이은영. (1999). 의복 착용 동기와 유행 현상의 상호작용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1), 128−139
  19. 정인희. (2004). 학교 상황에서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이미지 용어 지각 및 추구 이미지 지각 차원 차이. 복식문화연구, 12(2), 199−210
  20.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04). 의류 소비 실태 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1. 홀, 캘빈. (1973). 융 심리학 입문. 최현 옮김 (1985). 서울:범우사
  22. 황춘섭. (1999). 여고생의 자아개념에 따른 의복 구매 행동특성. 복식, 43, 169−186
  23. Chung, I. H. & Kim, I. G. (2008). Comparison of brand equity between two similar global and national brand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Cases, 10(3), 242−247 https://doi.org/10.5848/APBJ.2008.00044
  24. Habbo's second Global Youth Survey. (2008, April 3). Sulake. Retrieved October 9, 2008, from http://www.sulake.com
  25. Maslow, A. H. (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March), 379−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