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Kitchen Design of 20 century's Korea and Europe - Centered on Park Gil-Yong's improved kitchen and German Frankfurt kitchen -

20세기 초 한국과 유럽의 부엌 계획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박길용의 개량부엌과 독일 프랑크푸르트 부엌을 중심으로 -

  • 정찬미 (경원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 김현정 (현대산업개발 주택설계팀)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change of idea about overall politics, society, technology, and culture in 20th century led to the change of kitchen which is the central space of household affairs as well. Frankfurt kitchen of Margarete Schuette Lihotzky which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at Germany International Trade Exhibition in 1927 functionally designed small space of $6.5m^2$ with considering move-line and convenience. This is the beginning of kitchen type which has built-in sink and cupboard that is regarded as an universal option these days, and this has extensively been applied to kitchen system throughout the world after the repetitive development in America, Sweden and Switzerland. And improved kitchen of Park Gil-Yong which was influenced by rationalism introduced from the house improvement campaign and the opening of a port which were progressed in Korea in $1919{\sim}1930$ is the first stand-up kitchen which improved the inefficiency of Korean conventional kitc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nge aspect of kitchen through the rationalization in each country by comparing the introduction background of the times, change of space for residence and kitch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kitchen plan which had influence at the turning point on the kitchen in Korea, Europe on the side of efficiency at the same period, take into consideration of our residing-culture which has rapidly been changed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to see the direction of kitchen design which copes with the unique residential environment.

Keywords

References

  1. 주남철, 이조 말부터 1945년도까지의 한국의 주택변천, 대한가정학회지 14:38, 1970
  2. 황종수, 개항이후 한국 재래 부엌의 변천에 관한 연구, 부산대 석사논문, 1990
  3. 곽용재, 한국 근대도시 주택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석사 논문, 1990
  4. 금성중, 한국인 건축가에 의한 근대주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석사 논문, 1981
  5. 최순애, 박길용의 생애와 건축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1981
  6. 이미혜, 한국 현대 부엌가구의 변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5
  7. 고용화, 우리나라 주택주방 변천에 관한 연구, 청주대 석사논문, 1994
  8. 이영주, 개화기 이후 한국재래주택의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 석사논문, 1986
  9. 금정아, 일제시대 주택개량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1991
  10. 서은진, 서울 생활권 소재 중.대형 공동 주택 단위세대 계획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 디지털 정보대 석사논문, 2003
  11. 이영훈, 바우하우스 조형 이론과 현대 디지털 디자인 이론의 상관 관계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4
  12. 정신원, 1920년대 유럽의 주거공간과 강관 의자디자인의 비교 연구, 경원대 석사논문, 1998
  13. 정신원.신홍경, 1920년대 유럽의 집합주택에 적용된 강관의자디자인의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 문집, 1998
  14. 이란표, 초창기 모더니즘 여성 건축가 마가레테 쉬테-리호츠키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5
  15. 함한회, 부엌의 문화사, 살림출판사, 2005
  16. 백영흠. 안옥희, 한국 주거역사와 문화, 기문당, 2003
  17. 전남일 외, 한국 주거의 사회사, 돌베게, 2008
  18. 노버트 쉐나우어, 집, 다우, 2004
  19. 한스 M. 빙글러, BAUHAUS, 미진사, 2001
  20. 윤재희 외, 바우하우스와 건축, 세진사, 1994
  21. 막달레나 쾨스터 외, 나는 미치도록 나에게 반한 누군가가 필요하다 (여성 예술가 8인의 삶과 자유), 들녘, 2004
  22. 한가람 디자인미술관, <부엌x키친展>, 200609
  23. 금호미술관, , 200809
  24. 폴 볼트, <프랑크푸르트의 새로운 건축물> 무성 9분, 1928
  25. http://www.poggenpohl.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