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zation and Sintering Behavior of Alumina Powder Prepared by Heat-treatment of Artificial Marble Waste Containing $Al(OH)_3$ Powder

$Al(OH)_3$ 함유(含有) 인조대리석폐기물(人造大理石廢棄物)로부터 제조(製造)된 알루미나 분말(粉末)의 특성(特性) 및 소결거동(燒結擧動) 연구(硏究)

  • 류성수 (요업기술원 엔지니어링세라믹센터) ;
  • 서성규 (요업기술원 엔지니어링세라믹센터) ;
  • 김형태 (요업기술원 엔지니어링세라믹센터) ;
  • 김형준 (요업기술원 엔지니어링세라믹센터) ;
  • 박준규 ((주)다산컨설턴트) ;
  • 양재규 (광운대학교)
  • Published : 2009.04.27

Abstract

Alumina powder was prepared from heat-treatment of artificial marble waste fine aggregate containing $Al(OH)_3$ for the purpose of the feasibility of its recycling. Artificial marble waste was heat-treated between $500^{\circ}C$ and $1000^{\circ}C$ and XRD, BET surface area, BJH pore size distribution and adsorption of As were analyzed for heat-treated powder. It was found that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A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phase composition of alumina powder rather than its physical characteristic. Heat-treated powder compact was sintered to produce the pellet. Alumina pellet with porosity more than 60% could be obtained after sintering below $1200^{\circ}C$ and also the addition of glass powder as a sintering aid had a positive effect on lowering sintering temperature, led to the high porosity near 60% and adsorption of As over 60% even at $900^{\circ}C$.

본 연구에서는 수산화 알루미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인조대리석 폐기물을 폐광산지역의 지하수 및 지표수 등에서 검출되는 유해중금속 제거용으로 재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폐기물을 $550^{\circ}C$에서 $1000^{\circ}C$ 온도범위에서 열처리하여 알루미나 분말을 추출하였으며, 이렇게 얻어진 열처리분말에 대해 온도에 따른 상변화를 XRD를 통해 분석하고, 비표면적 측정, SEM 분석 등을 통해 분말의 특성을 조사하고, 중금속인 비소의 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열처리된 알루미나 산화물 분말이 중금속 처리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열처리분말의 구성성분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열처리 분말 성형체를 소결한 결과, $1200^{\circ}C$ 이하에서 60% 이상의 높은 기공률을 가진 펠렛을 제조할 수 있었으며, 소결조제인 glass 분말의 첨가에 의해 $900^{\circ}C$의 낮은 소결온도에서도 기공률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높은 비소흡착률을 가지는 시편을 제조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Lee, J. H. et al. 2002 : J. Korean Ind. Eng. Chem., 13, 588
  2. Yang, Y. K. et al., 2004 : J. Korean Ind. Eng. Chem., 15, 786
  3. Lee, K. and Kim, H. S. 2003 : J. Korean Ind. Eng. Chem., 14, 622
  4. Kim, I. Kim, H. J. and Hong, I. K. 2000 : J. Korean Ind. Eng. Chem., 11, 220
  5. Eui-Hwan Hwang, Young Soo Koo and Jong-Ki Jeon, 2008 : J. Korean Ind. Eng. Chem. 14, 265 https://doi.org/10.1016/j.jiec.2007.11.002
  6. 김창은, 이종혁, 이해욱, 1991 : 한국세라믹학회지, 28, 568
  7. 이상진, 김해두, 2004 : 한국세라믹학회지, 41, 513
  8. 박병기, 이정민, 서동수, 2003 : 한국세라믹학회지, 40, 683
  9. 양재규 등, 2003 : 대한환경공학회지, 25, 853
  10. 정영욱 등, 1997 : 한국토양학회지, 2, 39
  11. 김선태 등, 1998 : 한국토양학회지, 3, 33
  12. 이기철 등, 1999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4, 25
  13. Welch, A. H. et al. 2000 : Ground Water, 38, 589 https://doi.org/10.1111/j.1745-6584.2000.tb00251.x
  14. Jain, A. Raven, K. P. and Loeppert, R. H. 1999 : Environ. Sci. Technol., 33, 1179 https://doi.org/10.1021/es980722e
  15. 김성연, 김연식, 1995 : 한국세라믹학회지, 32, 1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