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tective Way Improvement of a Crime Victim's Rights of Portrait

범죄 피해자의 초상권보호 개선방안

  • Published : 2009.04.28

Abstract

Became large a problem we were productive movement of information became large and occurring to diffusions of development of public media and Internet use. While the Internet became a generalization, public media had more influences and risks, and a crime to abuse anonymity became large in cyber space. In addition, damage is becoming expanded reproduction that infringe of ' crime victim's rights of portrait'. The point that is most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se points is recognition regarding the special situation of crime victim, and the ethic consciousness and independent operation regulation and regulation system that these point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public media and Internet operation that are an information producer is necessary, and Internet portal shall be included like Internet newspapers to the arbitration object of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Also, a legal system regarding personal responsibility shall have for protection of a crime victim's rights of portrait by personal information activity for protection in cyber space. Suggest to a portrait of a crime victim, and an individual and social rights security effort are required for activation regarding an infringement relief system.

전통적 형사법체계에서 범죄피해자는 실체적 진실을 파악하기 위한 심리의 대상으로 전락되어, 범죄로 인하여 인간의 기본적인 인권을 침해당했음에도 불구하고 범죄피해자의 권리는 간과되고 말았다. '잊혀진 존재' 또는 '주변적인 존재'에 불과 하던 범죄피해자에 대한 피해자학의 연구과제는 형사법체계에서 범죄 피해자가 인격적 자율성과 인간의 존엄성을 향유하는 것일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피해자에 대한 논의가 처음 등장한 것은 헨티히(Hans Von Hemtig)가 1948년 피해자 연구의 필요성을 역설한지 23년이 지난 후이며 최근에 와서 '범죄피해자 구조법',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범죄피해자 보호법'등 범죄피해자의 인권보장과 보호를 위한 제도의 보완이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현실에서 보면 제한적 범죄 내에서 피해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성과가 있었지만 현실적인 권리 구제와 보호는 아직 미흡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는 범죄피해자의 초상권 보호 개념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현행 구제 제도를 검토하여 그 개선방안을 찾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민, 범죄피해자대책론, 진리탐구, p.24, 2006.
  2. 오재환, "피해자학의 위치와 전망", 형사정책연구, 제2권, 한국형사정책연구원, p.28, 1991.
  3. 諸澤英道, "國際被害者學硏究會", シコリスト, 595號, 有斐閣, 1975, 86-89面.
  4. 민건식, "피해자학이란 무엇인가", 피해자학연구, 창간호, 한국피해자학회, pp.15-21, 1992.
  5. 지광준, 현재사회와 피해자, 더썬, p.34, 2006.
  6. 이재상, "피해자의 소송법상 지위", 고시연구, pp.8-33, 1988.
  7. 범죄피해자보호법 제3조 2항
  8. M. Peggy, Tobolowsky, Crime Victim Rights and Remedies, Carolina Academic Press, p.14, 2001.
  9. W. Kiefl and S. Lamnek, Soziologie des Opfers Theone : Methoden und Empirie der Viktimologie, W. Fink, S. 272ff, 1986.
  10. 宮澤浩一, "被害者學の現況", 被害者學硏究, 創刊號, 日本被害者學會, 3, 26-27面., 1992.
  11. 안상운, "초상권과 프라이버시권의 문제", 한국 TV카메라기자회, 한국카메라기자회보, 1996.
  12. 박종렬, "보도와 광고에서 초상권의 법적문제", 입법조사연구 통권 제254호, 1998(12).
  13. 팽원순, 매스커뮤니케이션 법제이론, 법문사, p.228, 1984.
  14. 한위수, "법관이 본 사법관련보도의 문제점과 제언", 언론중재, p.20, 1994
  15. 언론중재위원회, 연도별시정권고현황 2006.
  16. 한국언론재단, "언론수용자에 대한 의식조사결과", p.183, 2006.
  17. 한국언론재단, 2004년 조사자료, p.250, 2004.
  18. 헌법재판소, 헌재판례집, 제7권 2집, 헙법재판소, p.1, 1996.
  19. 제8조(출판물 등으로부터의 피해자 보호) 특정강력범죄중 제2조제1항제2호 내지 제5호 및 제2항(다만, 제1항제1호를 제외한다)
  20. 제21조(피해자의 신원과 사생활비밀누설금지)
  21. 언론중재법 제2조 제14호
  22. 박영상, "옴부즈맨 제도의 실태"-영국 제도를 중심으로, 언론중재, 1998.
  23. 언론중재위원회 홈페이지통계참조 (http://www.pac.or.kr)
  24. 한국광고주협회, 대중매체실태조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