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 The current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on inpatient care are important to make the of the national public health policy because distributions and the prevalence of disease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represen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society.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is increasing now in Korea as the socioeconomic condition is improving. We analyzed a part of genitourinary tract disease of the cross-sectional hospital discharge survey data in Korea collected recently to delineate the trend of genitourinary tract diseases. Methods : Korean nationwide hospital discharge survey for pediatric inpatients in the period from 2004 to 2006 was analyzed. Diagnoses in the data were coded using ICD-10 classification. Totally 826,896 cases were collected from the 85 training hospitals. Selected data of genitourinary tract diseases (belonging to N00-N99 by ICD-10) among 826,896 cases of final inpatients data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Results : Among total patients of 826,896, diseases of the genitourinary system accounted for 4.1%. and four diagnostic categories accounted for 92.8%. These were other diseases of the urinary system (N30-39), 45.8%, disease of male genital organs (N40-51),19.1%, glomerular diseases (N00-08), 17.3%, renal tubulo-interstitial diseases (N10-16), 10.6%, respectively. Conclusion : Genitourinary tract disease in pediatric inpatient shows decreasing tendency but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is increasing in Korea as the socioeconomic condition is improving. For further comprehensive analysis, regular and organized nationwide survey should be performed. Development of a new data collecting system will improve the performance of such nationwide survey.
목 적 : 경제 발전과 생활양식의 변화는 보건환경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이로 인해 소아청소년기의 비뇨생식기질환의 질병양상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아청소년의 비뇨생식기질환의 양상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한국의 소아 입원환자에 대한 단면적 연구(cross-sectional survey date)를 이용해 역학적 분석을 하였다. 방 법 : 전국 소아청소년과 85개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신 요로 질환으로 퇴원한 환자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자료의 지표는 ICD-10 의 진단체계를 사용한 최종진단명, 나이, 성별, 입원기간 등을 고려하여 비뇨생식기 질환의 퇴원 환자 현황을 분석하였다. 의료비와 소득손실을 나타내는 지표로 질병부담을 선택하였고, 이는 입원건수와 평균 재원일수를 곱하여 산정하였다. 결 과 : 총 826,896명의 퇴원 환자 중 비뇨생식기 질환으로 퇴원한 환자는 33,876명으로 전체의 4.1%로 1970년대와 비교할 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남녀 성비는 1.8:1이었고, 가장 많은 연령대는 생후 4주부터 1세까지의 영아기로 전체 소아 신질환의 32.3%를 차지하였는데. 이후 유아기, 청소년기, 학동기, 신생아기 순이었다. 가장 많은 질환은 요로감염으로 전체 비뇨생식기질환중 42%로 가장 많았고, 음낭수종이 13.2%, 신증후군이 5.1%의 순이었다. 결 론: 소아 비뇨생식기질환은 전체 입원환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는 않지만 요로감염의 경우 영유아기에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는 중요질환이며, 본 연구에서는 확인이 되지는 않았지만 요로감염이 신 반흔을 초래하게 되면 말기신부전증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중요한 건강문제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ICD-10에 의한 전국적인 자료 분석이기 때문에 효율적인 보건 정책의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지만, 더 실용적이고 정확한 소아청소년 비뇨생식기질환의 질병추이 관찰을 위해서는 입원 진단기준을 포함한 자료수집체계의 수정보완과 지속적인 조사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