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ends and Causes of Income Inequality Among Gender

성별 집단 내 소득불평등(inequality among gender)의 변화 추이 및 원인

  • Kim, Hye-Ye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
  • Hong, Baeg-Eui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 Received : 2009.02.24
  • Accepted : 2009.04.23
  • Published : 2009.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income inequality by gender since 1997 economic crisis and to investigate what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se changes for males and females.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nine waves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Income inequality is measured by the Gini coefficient and the mean logarithmic deviation(MLD) and the MLDs are decomposed into three components to quantify within- and between-group inequal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extent of income inequality is greater for women during the whole period and is fluctuated more widely. Women's income inequality is mainly affected by the family-related variables, such as age and marital status, while men's inequality i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labor market factors, such as employment status, industrial types and occupation status. These results imply that gender-sensetive welfare policies need to be implemented and that it is necessary to assist the poor women and men through the benefits from the income assistance programs and labor market programs.

본 연구는 남성과 여성을 동질집단으로 간주한 기존의 소득불평등 관련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외환위기 이후 소득불평등 변화의 추이와 원인을 성별 집단으로 구분하여 복잡 다양한 소득불평등 양상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1-9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소득불평등 변화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요인분해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기간 전체적으로 여성의 소득불평등 수준이 남성보다 높았으며 소득불평등도의 연도별 변화 폭도 여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불평등의 원인으로 여성의 경우 혼인상태, 연령 등이 중요했으나 남성은 종사상 지위, 산업, 직업 등의 노동시장 특성이 중요했다. 본 연구에 의해 소득불평등 완화를 위한 사회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성별 차이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함이 실증적으로 밝혀졌으며, 소득보장 및 노동시장 정책에서의 개선방안이 논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