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Function using Changes of Land Use Area and Surface Temperature in Agricultural Field

용인시의 토지이용면적과 지표면 온도 변화를 이용한 환경보전 기능 변동 계량화

  • Ko, Byong-Gu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NAAS), RDA) ;
  • Kang, Kee-Kyu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NAAS), RDA) ;
  • Hong, Suk-You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NAAS), RDA) ;
  • Lee, Deog-Bae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NAAS), RDA) ;
  • Kim, Min-Kyeo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NAAS), RDA) ;
  • Seo, Myung-Chul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NIAS), RDA) ;
  • Kim, Gun-Yeob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NAAS), RDA) ;
  • Park, Kwang-Lai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NAAS), RDA) ;
  • Lee, Jung-Taek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NAAS), RDA)
  • 고병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강기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홍석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이덕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김민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서명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김건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박광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 이정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assess environmental conservation functions by analyzing the change of land use areas in agricultural fields between 1999 and 2006, and comparing land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between 1994 and 2006 in Yongin city. Land use maps of Yongin city were obtained from soil maps for 1999, Quickbird satellite images(less than 1 m) and parcel map for 2006. The land use area for Yongin city was in the order of forest > paddy field > upland > residence & building in 1999, and forest > residence & building > paddy field > upland in 2006. Decrease of paddy and upland fields reduced 34% and 41% of the capability of agricultural multifunctionality as to environment including flood control, groundwater recharge, and air cooling. Land surface temperature(LST) was derived from Landsat TM thermal infrared band acquired in September of 1994 and 2006 and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The results impplied that green vegetation in agricultural field and forest play an important role to reduce land surface temperature in warm season.

도시화로 인하여 농경지가 기속적으로 줄어듦에 따라 농업의 환경적 공익기능도 축소되고 있다. 따라서 농업의 공익기능 관련 실증 분석사례를 제공함으로써 식량안보 및 공업의 공익기능을 유지하고 농지보전 정책 논리를 제공하고자, 용인시를 대상으로 토지이용도를 이용한 연차별 농경치 이용면적과 변화를 분석하고 지표면 온도 추정을 통하여 환경보전 기능을 평가하였다. 최근 10년간 도시화가 현저히 진행된 용인시를 대상으로 세부정밀토양도에 기반한 1999년 토지이용 현황과 위성영상에서 추출한 농경지 지도와 지적도에 기반한 2006년의 농경지를 중심으로 한 토지이용 현황을 비교해 보면 논, 밭, 과수원 등 농경지와 산림의 분포가 현저히 감소한 반면, 주거 도심지의 면적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처인구에서 농경지 감소와 도심지 확장 현상이 눈에 띄게 나타났다. 토지이용 면적 및 지목별 변화를 보면 1999년 용인시 토지이용 면적은 산림 > 논 > 밭 > 주거 도심지 순으로 나타났으나 2006년의 토지이용 면적은 산림 > 주거 도심지 > 논 > 밭 순으로 바뀌었다. 논과 밭의 면적은 1999년에 비해 2006년에 각각 34%와 41%, 감소하였고, 주거 도심지 면적은 245% 증가하였다. 논이 주거 도심지로 전용된 면적이 1,751.1 ha이며, 밭이 주거.도심지로 전용된 면적이 1,242.1 ha로 나타나 전용된 면적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시의 농경지 면적 변화에 따른 농업의 환경적 기능변화에 대하여 계량화한 결과는 논 면적이 1999년에 8,063.3 ha에서 2006년에 5,309.3 ha로 감소한 결과, 농경지의 환경적 공익기능이 3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밭 면적이 1999년에 3,572.1 ha에서 2006년 2,112.5 ha로 줄어듦에 따라 환경적 공익기능이 41%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나. Landsat TM 열상의 열 적외광을 이용하여 용인시의 두시기별 지표면 온도 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1994년 9월에는 $20^{\circ}C$ 이하가 대부분이었으나, 농경지 및 산림 감소와 도시 확장 이후인 2006년 9월에는 $25^{\circ}C$ 이상 되는 지역의 면적이 현저히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시기별 토지이용별 지표면 온도분포 비교를 하였을 때 1994년 9월 지표면 온도 영상에서 $25^{\circ}C$ 이상인 지역은 전체 면적의 0.3%로 나타났고, 2006년 9월은 11.2%로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9월에 지표면 온도가 $25^{\circ}C$ 이상 되는 지역에 분포하는 주거.도심지의 면적이 37.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논과 산림의 분포면적 비율이 각각 5.6%와 4%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여름철 고온기에 논과 산림이 주변의 지표면 온도를 낮춰주는 기후순화 기능이 크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엄기철, 성기석 (2001) 농업의 다원적 기능 평가 방법: 대체법을 이용한 농업의 환경 보전적 기능 계량화 평가, 농촌진흥청-농업경영관실
  2. Ahn, Y. S., Kim, E. J., Kim, Y. and Seo, J .H. (200S) Monetary valuation of the sociocultural commonweal functions from the rural communities in Korea,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15(1), 175-213
  3. 이상영, 신용광, 김영 (2004) 지속가능한 농촌지역 개발을 위한 환경자원의 가치평가. 농촌자원개발연구소
  4. Abler, D. (2001) A Synthesis of Country Reports on Jointness between Commodity and Non-commodity Outputs in OECD Agriculture, paper Presented to GECD Workshop on Mltltifunctionality
  5. 이용기 (2003) WTO와 농업의 다원적 기능성, 농업경제연, 44(4), 199-219
  6. 오세익, 김수석, 강창용 (2001) 농업의 다원적 기능의 가치 평가 연구. 농림기술개발사업 연구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Seo, M. C., Yun, H. B. and Kim, S. G. (2004)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function at paddy farming according to productional environmental conditions, Research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NIAST), RDA
  8.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NIAST) (2001) Soil Information System of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9. Hyun, B. K, Hong, S. Y., Jung, S. J., Sonn, Y. K. and Song, K C. (2008) Soil survey and land use analysis using satellite imagery. Research Report of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NAAS), RDA
  10. ERDAS (1997) Field Guide, 4th Edition, ERDAS Inc
  11. Hong, S. Y. (1999) Analysis on rice growth information and estimation of paddy field area by using remotely sensed data. Ph.D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2. 농업과학기술원 (2008) 농업의 다원적 기능 평가-연구성과 및 적용, 농촌진흥청
  13. Park, K. H. and Jung, S. K. (1999) Analysis on urban island effects for the metropolitan green space plmming. Korean J.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3), 5-45
  14. 용인시청 (2008) 용인시 통계연보, (http://yongin.e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