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upplemental Levels of Fermented Compost on the Early Stage Composting Process of Pig Manure

발효퇴비 첨가수준이 돈분퇴비화 초기과정에 미치는 영향

  • Jeong, K.H.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Heo, M.Y.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im, J.H.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wag, J.H.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Jeong, M.S.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ang, H.S.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정광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허미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재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곽정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정만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강희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e best way to treat livestock manure is to recycle as much as possible. The composting of livestock manure is a safe and economical treatment proces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decomposition effect of pig manure by adding fermented compost. The fermented compost was added in pig manure mixed with sawdust as an inoculator, and the mixture was fed to composting reactor. Supplemental levels of fermented compost on the pig manure mixed with sawdust were regulated at 5, 10, 15 and 20% (V/V)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all cases, PH range was between 7.6~9.05 during composting period. 2. The highest temperature and the long duration of thermophilic stage were observed in control treatment. 3. The number of microorganism reached at maximum on day 4, which recorded the highest temperature 4. Compost pile mixed with 10% of inoculator (fermented compost) showed the highest C/N ratio reduction.

본 연구는 기존 발효퇴비의 첨가 수준이 퇴비화 진행과정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과제 수행에 있어 지금까지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퇴비화 개시 2일 경과 후에 각 처리별 온도는 $67{\sim}71^{\circ}C$ 내외로 상승하였다. 발효퇴비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발쵸퇴비 5% 첨가수준의 두 개의 퇴비단에서 $71^{\circ}C$까지 상승하였으며 발효퇴비 15% 첨가수준에서 $67^{\circ}C$를 기록하여 온도 최고점이 제일 낮았다. 온도변화를 기준으로 볼 때 퇴비화 전 기간 동안 대조구의 발효속도가 타 처리구에 비해 느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 암모니아 발생양태는 온도변화 패턴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즉 발효온도가 높은 시기에는 암모니아 발생농도가 높고 뒤집기 이후의 퇴비단 온도상승은 암모니아 발생정도의 증가추세를 수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퇴비화의 진행초기에는 pH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퇴비화진행 초기단계에서 발생하였던 암모니아 농도 증가와 연관되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퇴비화가 진행되어짐에 따라 pH는 점차 낮아져서 본 시험의 퇴비화 후기에는 PH가 각 처리구별로 다소간의 차이는 있지만 약 7~8 사이로 낮아지는 추세를 나타냈다. 4. 퇴비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각 처리별 퇴비단의 C/N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각 처리구별 C/N 감소정도는 퇴비화 초기에 더 높게 나타났고 이러한 경향은 각 처리구에서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5. 퇴비화에 따른 미생물 수는 퇴비와 개시 후 증가하다가 퇴비단의 온도 감소와 함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전 처리구에서 공히 관찰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광백, 김영관, 윤주환, 임재명, 한무영, 강선홍, 김동진, 김진호, 독고석, 박철휘, 송장수, 조옥상. 2004. 폐수처리공학. 동화기술. 65-67.
  2. 류종원. 2008. 고수분 돈분 슬러리의 톱밥여과 퇴비화 현장적용 연구. 축산시설환경학회지 14(2): 129-138.
  3. 신완식, 이규승. 1996. 돈분 및 계분의 초기 퇴비화과정중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 활성 변화. 축산시설환경학회지 2(2):135-145.
  4. 이은경, 정재춘. 1994. 첨가제를 달리한 음식쓰레기의 퇴비화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16(8):953-962.
  5. 이성현, 윤남규, 김경원, 이인복, 김태일, 장진택. 2006. 양돈 슬러리의 암모니아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 축산시설환경학회지 12(1):7-12.
  6. 정준오, 안정희. 2001. 공기공급량이 음식폐기물의 퇴비화 반응에 마치는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3(6):1013-1021.
  7. 홍지형, 박금주. 2009. 유용미생물 처리 음식물 쓰레기와 계분혼합물 퇴비화 특성. 축산시설환경학회지 15(1):59-68.
  8. 황규대, 조영무. 2004. 축산폐수 전처리를 위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운전조건이 암모니아 제거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환경학회지 20(1):86-92.
  9. AOAC. 2007.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OAC INTERNATIONAL.
  10. Cardenas, R. R. and L. K. Wang, [cited by E. I. Jimenez and V. P. Garcia. 1989. Evaluation of city refuse compost maturity : A review. Biological wastes., 27:115-142. https://doi.org/10.1016/0269-7483(89)90039-6
  11. Pancholy, S. K. and E. L. Rice. 1973. Soil enzymes in relation to old field succession: amylase, cellulase, invertase, dehydrogenase and urase.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proceedings., 37, 47-50. https://doi.org/10.2136/sssaj1973.0361599500370001001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