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ggestion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Patchwork Wapping Colthes (Jogakbo)

조각보 의미 분석을 통한 문화상품 개발 방안

  • Kim, Yeo-Ky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Ewha Womans University) ;
  • Hong, Na-Yo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Ewha Womans University)
  • 김여경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the product development through an organic link with multi-faceted analysis on the archetype of traditional costumes culture. In order to find ways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Jogakbo was selected, and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ing. 1. Analysis on the types of Jogakbo products sold in the market shows that there are not only living, stationary, and fashion items, but also DIY packages. In terms of materials used, most of these Jogakbo products were made of fabric or mixture of different materials. These products displayed similar tendency by reflect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Jogakbo. 2. This study analyzed the color, surface composition, material, manufacturing, and usage of Jogakbo. The rotor of Jogakbo is mostly composed of mono tone colors or Obangsac(five-element colors). The mono tone colors carries environmentally friendly meaning as it is using the natural color and Obangsac means harmony. Moreover, the surface composition of Jogakbo represents the expansion through connection and its material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is recycling. Manufacturing of Jogakbo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fortune-wishing characteristics, decorative function, it also gives a gratification of handcraft. The usage of Jogakbo is a multi-(unctional article whose form is determined by an item that is held inside it. 3. Through the analysis on Jogakbo, this study presents the baby wear in relation to the ere-friendliness of colors, brooch sets using the surface composition, dresses using recycling fabric, children's educational instruments with educational significance, as well as multi-functional packages in regards to usage of Jogakbo.

Keywords

References

  1. 채금석 (2007). 한복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9/10), p. 100
  2. 금기숙, 김민자, 김영인, 김윤희, 박명희, 박민여, 배천범, 신혜순, 유혜영, 최해주 (2002). 현대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p. 279
  3. 김소형 (2005). 패션문화상품디자인 개발-전통조각보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4. 김정미 (2006) 조각보의 조형성을 응용한 현대복식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4)
  5. 최윤혜, 은영자 (2005). 조각보의 면구성과 색채를 응용한 의복의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2)
  6. 김현호 (1984). 조선시대 후기 보에 나타난 색채의 고찰,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7. 김인자 (1994). 조각보를 모티브로 이용한 색과 면의 구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8. 이상영 (1997). 조각보 구성에 의한 현대자수의 조형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9. 이지은 (2000). 조각보를 소재로 한 타피스트리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10. 이은정 송미령 (2000). 조각보의 문양을 응용한 직물디자인 개발. 디자인포럼21, 3
  11. 이선화 (2003). 문화상품 패키지 디자인을 위한 전통색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2. 배영동 (2005). 문화컨텐츠화 사업에서 '문화원형' 개념의 함의와 한계. 인문콘텐츠 6, p. 41
  13. 김민수 (2005). 21세기 디자인 문화탐사, 서울: 솔, pp. 30-32
  14. 배영동 (2005). 앞의 책, pp. 43-44
  15. 위의 책, p. 40
  16. 김교빈 (2005).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 인문콘텐츠, 6. p.11
  17. 김교봉 (2006). 다중사회의 문화산업론. 서울: 박이정, pp. 21-22
  18. 문화관광부 (2002). 문화산업백서. 서울: 문화체육부, pp. 4-5
  19. 백승정 (2007). 문화컨텐츠시대의 디자인. 서울: (재)한국공예문화진흥원, p. 15
  20. 박덕규 외 (2006). 한국 전통문화 원형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보고서.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p. 9
  21. KOCCA Online. retrieved 2008. December 7, from http://www.culturecontent.com
  22. 심상민 (2004). 창작과 놀이가 곧 생업이 되는 미래문화 산업. 계간사상 봄호, p. 138.
  23. 연합뉴스 (2004. 7. 23) 씨네 21. 대만 <대장금>신드롬 한류 재연. 작성일 2004. 7. 23. 자료검색일 2008. 12. 20. 자료출처 http://www.cine21.com
  24.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Online. retrieved 2008, December 7, from http://www.nfm.go.kr Samsung Museum of Art Online. retrieved 2008. December 7, from http://hoam.samsungfoundation.org
  25. 윤주희 (2008. 8. 12). 우리세계, 전통 공예로 홈데코레이션시장 두드린다. 에이빙. 자료검색일 2008. 11. 24. 자료출처 http://media.daum.net/culture/fashion
  26. 윤주희 (2008. 8. 12). 앞의 글. Story Shop Online. retrieved 2008. November 24 from http://shopping.daum.net
  27. Woorikyubang Online. retrieved 2008, December 7, from http://www.woorikyubang.co.kr
  28. Seoul Museum of History Online. retrieved 2008, December 7. from http://www.museum.seoul.kr Woorikyubang OnlineOnline. retrieved 2008, December 7. from http://www.woorikyubang.co.kr
  29. Art Shop Korea Online. retrieved 2008, December 7, from http://www.artshopkorea.co.kr/
  30. Shop of Korea Online. retrieved 2008, December 7, from http://www.shopofkorea.com/
  31. Seoul Museum of History Online. retrieved 2008, December 7, from http://www.museum.seoul.kr/
  32. National Museum of Korea Online. retrieved 2008, December 7, from http://www.museumshop.or.kr/
  33. Vium Online. retrieved 2008, December 8, from http://www.vium.co.kr/
  34. Shop of Korea Online. retrieved 2008, December 7, from http://www.shopofkorea.com/
  35. 백승정 (2007). 앞의 책, pp. 178-179
  36. 위의 책, p. 54. 위의 책, p. 31.
  37. 허동화 (1988). 옛 보자기. 서울: 한국자수박물관출판부, p. 16.
  38. 허동화 (2001). 이렇게 고운색. 서울: 한국자수박물관출판부
  39. 온양민속박물관 (2007). 아름다운 우리 옛 살림-여인의 향기, p. 50. 위의 책, p. 40
  40. 허동화 (1997).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규방 문화. 서울: 현암사, pp. 289-290
  41. 소혜왕후 한씨. 송시열. 김종권 역 (1994). 내혼 . 계녀서. 서울: 명문당. pp. 7-12
  42. 정지영 (2007. 3). 보자기-문화를 잇는 다리, 월간 크라트. 작성일 2007년 3월호. 자료검색일 2008. 11. 24. 자료출처 http://moazine.com/magazine/
  43. 온양민속박물관 (2007). 앞의 책, p. 11
  44. 위의 책, p. 48. 위의 책, p. 14
  45. 허동화 (2001). 앞의 책, p. 73
  46. Seoul Design Olympiad Homepage Online. retrieved 2008, December 10 http://sdo.seoul.go.kr
  47. 김숙당 (1995). 조선재봉전서. 서울: 민속원, pp. 99-100
  48. 김정아 (2003). 1920-1950년대의 아동복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p. 46
  49. 온양민속박물관 (2007). 앞의 책, p. 36
  50. 위의 책, p. 30. 위의 책, p. 54.
  51. 금기숙 (1994).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 114
  52. 허동화 (2001). 앞의 책, p. 40
  53. 위의 책, p. 75
  54. 이어령 (2007). 우리문화 박물지. 서울: 디자인 하우스, pp. 123-125
  55. 이덕무, 김종권 역 (1993). 사소절. 서울: 명문당, p. 216
  56. 허동화 (2001). 앞의 책, p. 79
  57. 위의 책, p. 80. 위의 책, p.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