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Found in the Gyubang Culture of Joseon Dynasty

조선시대 규방문화에 표현된 색채특성

  • Kim, Eun-Kyoung (The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of Yonsei University) ;
  • Kim, Young-I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김은경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otor characteristics of Guybang culture (women's living in Joseon) relics which the life images and mental world of women in Joseon if expressed to prepare rotor data to be utilized in modern design and information for color identity establishment of Korean women cul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1. From 176 pieces of relic photos, total of 1380 color chips were extracted. For color analysis, 1368 units (99.1%) of color data excluding achromatic 12 units (0.9%) among 1380 units of colors were used. With the standard of 10 color wheel of Munsell Color System, the result of studying distributions according to frequency, red was the highest by 25.9%, yellow was 21.4% in women's goods in Joseon period which the ratio of red and yellow was 473%. Other than that, GY 14.6%, YR 11.3% and RP 11.1% followed next which is studied that the warm colors that conveys enjoyable and glamorous feelings composed 84.3%; 2. As a result of tone analysis, high value low chroma ltg color showed highest distribution of 20% and d was 12.2%, b was 11.7% and sf was 8.8%. Generally, it showed high frequency in high value cocors such as ltg, sf and b of 40.5%t and in low chroma (ltg) and medium chroma (d, sf) of 41% and colors in bright and calm image was used the most. 3.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hue & tone, the ltg tone of Y close to white in traditional color sensibilit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9.6% and ltg tone of GY(6.4%), b tone of RP(6.1%), and v(5.4%), b(5.4%), dp(5.3%) of R followed next.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oring, it showed that in case of coloring contrasting hues, it is adjusted similar tones and in case of coloring less contrasting hue, the difference in tone is adjusted to be rather large to make harmonized coloring. Moreover, in case of coloring similar hues, the ratio of using same tone and similar tone was large which the coloring of calm image and dynamic image is all used.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인 외 (2006). 한중일 색채의 기호학적 비교분석과 색채 공간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보고서
  2. 김영인 외 (1997). 색동의 색채와 배열 형식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보고서
  3. 김경미 외 (2005). 한국의 규방문화. 도서출판 박이정, p. 5
  4. 이미석 (2002). 조선시대 규방문화와 침선소품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최정임 (2004). 한국의 전통미와 규방공예의 현대적 이해.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정희 (2002). 규방용품의 형태를 응용한 금속노리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정봉례 (1999). 조선조 규방용풍을 응용한 장신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정순진 (2006). 규방문화디자인상품개발 현황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조선시대 규방공예품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보경 (2003). 규방공예의 전통 침선기법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조영선 (1999). 조선시대 규방공예의 조형미를 응용한 금속공예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수진 (2005). 조선 규방문화의 추상적 이미지 표현 연구: 기하학적 형태와 색채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지영 . 김문진 (2000). 규방공예. 컬처라인, p. 8
  13. 강숙자 (1987). 한국 전통사회 여성의 삶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0
  14. 김종헌 (1996). 한국 전통 거주에 있어서 안채와 사랑채의 분화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2), p. 83
  15. 태평양 장학문화재단. 태평양 여대생 논문집, 제1집('95-'97), p. 591
  16. 李時鎔. 朝鮮朝 士大夫의 閨房敎育. 인천교대 논문집 11, p. 40
  17. 昭惠王后, 內訓, 卷第一, 言行章 第一. 申貞淑(1970). 한국의 전통사회의 내훈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47, p. 113
  18. 김지용 (1976). 내훈(內訓)에 비춰진 이조 여인들의 생활상. 아시아여성연구, (7), p. 339
  19. 경기도 박물관 (2004). 박영숙. 허동화 소장 자수 특별전 실로 잣는 꿈 황홀한 우리 자수
  20.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2000). 한국의 자수 어제와 오늘
  21. 한국자수박물관 (2005). 이렇게 예쁜 보자기
  22. 한국자수박물관 (2006). 끈목 . 매듭
  23. 허동화 편저 (2004). 이렇게 소중한 보자기 역사. 한국자수박물관.
  24. 김지선 (2006). 한국 전통 꽃문양의 상징성과 형태 및 색채 특성에 따른 조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허동화 (2006). 우리 규방 문화. 현암사, pp. 275-276
  26. 김은경, 김영인 (2006). 한국인의 색채상징.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20(4)
  27. 한국문화상징사전 (1992). 동아출판사, p.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