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and Forming Processes of Low Relief Landforms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평탄지의 유형분류와 형성과정

  • 박수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is research aims 1) to characteri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low relief landforms (plains) via analyses of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2) to classify plains according to morphological and genetic similarity, and 3) to develop a model to explain forming processes of plains in the Korean peninsula. Plains can easily be separated from high relief mountaneous areas by analyzing the DEM. The overall morphological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lains can be categorized into lava plains, fluvial-marine plains, erosional plains, intermontane basins, and higher ground plains. It is conclud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each plain type is decided by base-level changes caused by tectonic uplift and sea-level changes, and topological relationship of different rock types. Different plain types do not exist independently, but connected with each others along stream networks. The model developed is able to combin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ains with the channel network to conceptualiz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athways of plains in the Korean Peninsula.

이 연구에서는 한반도 전체의 수치고도모델 분석을 통해 평탄지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고, 평탄지의 유형을 분류한 뒤, 그 결과를 토대로 평탄지의 형성과정에 관한 일반모델을 제시하였다. 한반도에서는 산지와 뚜렷하게 대비되는 평탄지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 형태적 특성과 위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경우, 용암대지와 하해혼성평탄지, 구릉성평탄지, 산간분지, 고위평탄지, 하천주변평탄지 등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평탄지의 특성은 융기 및 해수면 변화와 관련된 기준면의 변동과 지질단위들의 위상관계에 의해 결정되며, 이들 평탄지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가 하천을 따른 삭박환경의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평탄지 형성의 일반모델은 과거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한반도의 평탄면과 각종 침식지형, 그리고 단구지형에 대한 연구들이 평탄지의 분포와 특성을 통해 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동희, 2007, 한국의 지형, 한울
  2. 권혁재, 1975, '호남평야의 충적지형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지리학, 12, 1-20
  3. 권혁재, 2005, 지형학, 법문사
  4. 김상호, 1961,' 한국 중부지방의 지형발달,' 서울대 논문집 (이공계), 10, 111-123
  5. 김상호, 1969, '조선전기의 수전농업연구-조방적 농업에서 집약적 농업으로서의 전환,'문교부 학술연구보고, 인문과학편
  6. 김상호, 1973,' 중부지방의 침식면 지형연구,' 서울대 논문집(A), 21, 85-115
  7. 김상호, 1980,' 한반도의 지형형성과 지형발달서설,' 지리학연구, 5, 1-15
  8. 김종욱, 1983,' 사천 와룡산 서쪽 산록면의 형상과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10, 359-369
  9.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10. 박노식, 1967, '한강 하류지형면의 분류와 지형발달에 관한 연구: 양수리에서 능곡까지,' 경희대학교 논문집, 5, 18-168
  11. 박병수.손명원, 1997, '안계분지의 지형발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1), 51-62
  12. 박수진, 2007, '한반도의 지반운동(I): DEM 분석을 통한 지반운동의 공간적 분포 규명,' 대한지리학회지, 42(3), 368-387
  13. 박수진.손일, 2008, '한국 산맥론(III): 새로운 산맥도의 제안,' 대한지리학회지, 43(3), 276-295
  14. 손명원, 2000,' 우리나라 침식분지의 경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6(2), 83-96
  15. 손일, 2008,' 산간분지의 형태기하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한반도 남부를 대상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5(4), 17-28
  16. 오건환.최성길, 2001, '한국의 해안단구,' 박용안.공우석(편), 한국의 제4기 환경, 서울대 출판부, 159-191
  17. 오경섭, 1996,' 한국 지형학의 50년 회고와 전망,' 대한지리학회지, 31(2), 106-127
  18. 윤순옥.사이토 코지.황상일.다나카 유키야.오구치 다카시, 2005,' 한국 선상지의 이론적 고찰과 분포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0(3), 335-352
  19. 이금삼.조화룡, 1998, '경상도 지역에 있어서 지질별 지형 특성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5(1), 1-19
  20. 이금삼.조화룡, 2000,' DEM을 이용한 한반도 지형이 경사도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3(1), 36-43
  21. 이민희.장재훈, 1984, '침식분지의 형성과 하천과의 관계,' 지리학연구, 9, 605-620
  22. 장재훈, 1966, '산록완사면 지형에 대한 연구-구례.제천.충주지역을 중심으로,' 지리학, 2, 35-42
  23. 장재훈, 1977,' 산록완사면의 기후지형학적 고찰,' 지리학연구, 2, 241-253
  24. 장재훈, 1985,' 한국의 침식분지에 관한 연구,' 응용지리, 8, 59-78
  25. 장재훈, 1986,' 한국의 지리적 환경과 취락의 입지,' 응용지리, 9, 39-51
  26. 장재훈, 1998,' 한국의 저기복 침식면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사진지리, 7, 17-31
  27. 장재훈, 2002, 한국의 화강암 침식지형,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8. 장호, 1995, '호남평야와 논산평야내의 충적평야 주변에 분포한 저구릉의 토양지형학적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2(2), 73-100
  29. 장호.박희두, 2001, '한국의 하안단구,'박용안, 공우석(편), 한국의 제4기 환경, 서울대 출판부, 193-236
  30. 조화룡, 1987, 한국의 충적평야, 교학연구사
  31. 조화룡.장호.이동남, 1987, '가조분지의 지형발달,' 한국제4기학회지, 1(1), 35-46
  32. 최성길, 1996,' 웅천천유역의 하성단구로부터 추정되는 구정선고도와 그 의미,' 대한지리학회지, 32(3), 613-629
  33. 최성길, 2007, '단구지형으로부터 본 한국 동해안의 후기갱신세 환경변화와 지구적 규모의 환경변화 비교,' 한국지형학회지, 14(1), 29-39
  34. 한국자원연구소, 1995, 1:1,000,000 지질도, 한국자원연구소
  35. 小林貞一, 1931,' 朝鮮半島地形發達史と近生代地史との關係にいての一考察(一) (二) (三') , 地理學評論, 第7卷, 523-550, 628-648, 708-732(권혁재, 2005에서 재인용)
  36. 吉川虎雄, 1947, '朝鮮半島中部の地形發達史', 地質學雜誌, 第53卷616-621號, 28-32(권혁재, 2005에서 재인용) https://doi.org/10.5575/geosoc.53.28
  37. Brierley, G. J. and Fryirs, K. A., 2005, Geomorphology and River Management, Blackwell
  38. Chorley, R. J. and Beckinsale, R.P., 1968, Base-Level, in Fairbridge, R.W.(ed.), The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58-60, Reinhold
  39. Conacher, A. J. and Dalrymple, J. B., 1977, The nine-unit landsurface model: an approach to pedogeomorphic research, Geoderma, 18, 1-154 https://doi.org/10.1016/0016-7061(77)90078-7
  40. Haines-Young, R. H. and Petch, J. R., 1983, Multiple working hypothesis: equilfinality and the study of landforms,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Transactions N.S., 8, 458-466 https://doi.org/10.2307/621962
  41. Inoue, D. and Choi, W. H., 2006, The Activity of Ulsan Fault System Based on Marine Terrace Age Study at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Central Research Institute of Electric Power Industry, Japan(CRIEPI): Report N05012, 6-15
  42. Knighton, D., 1998, Fluvial Forms and Processes: A New perspective, Arnold
  43. Migon, P., 2004, Planation surface, in Goudie, A.S.(ed.),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788-792
  44. Ollier, C. and Pain, C., 2000, The Origin of Mountains, Routeledge
  45. Phillips, J. D., 2002, Erosion, isostatic response, and the missing peneplains, Geomorphology, 45, 225-241 https://doi.org/10.1016/S0169-555X(01)00156-8
  46. Powell, J. W., 1875, Exploration of the Colorado River of the West, New York
  47. Schumm, S. A., 2005, River Variability and Complexity, Cambridge
  48. Zevenbergen, L. W. and Thorne, C. R., 1987, Quantitative analysis of land surface topography,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12, 47-56 https://doi.org/10.1002/esp.329012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