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과 강수특성을 고려한 남한의 기후지역구분

Classification of Climate Zones in South Korea Considering both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 발행 : 2009.03.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온과 강수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남한의 기후지역을 구분하였다. 먼저 계절별 기온 및 강수량 분포를 살펴보았는데, 기온은 모든 계절에서 지형 및 위도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강수량은 여름철에 집중되고 지역적으로는 강원 영동, 남해안, 제주에서 많았고 경북 중부지역에서 적은 분포를 보였다. 기온 및 강수량의 경험적 직교함수(Empirical Orthogonal Function)분석을 통해서 산출된 주성분점수를 입력변수로 하여 평균연결법과 Ward법을 이용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Ward법은 지형, 위도, 해양의 효과와 기압계 이동 방향에 따른 특성을 잘 반영하였으며 행정구역에도 잘 맞게 구분되어 가장 좋은 군집결과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climate zones using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d clustering analyses considering both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features in South Korea. When examining climatic characteristics of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by seasons, the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is affected by topography and latitude for all seasons in South Korea. The distribution of rainfall demonstrated that the Yeongdong area, the southern coastal area and Jeju island have higher rainfall while the central area in Gyeongsangbuk-do is the least rainfall area. Clustering analyses of average linkage method and Ward's method was carried out using input variables derived from principal component scores calculated through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 for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Ward's method showed the best result of classification of climate zones. It was well reflected effects of topography, latitude, sea, the movement of surface pressure systems, and an administrative distric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병서.김계수, 2005, 사회과학 통계분석, SPSS아카데미, 555pp
  2. 고정웅.백희정.권원태, 2005,'한반도 우기의 강수 특성 과 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41(1), 101-114
  3. 고정웅.백희정.권원태.박종열, 2006, '한반도의 기온분포 특성과 지역 구분,' 기후연구, 1(1), 3-14
  4. 구자용.유명진.김신걸.심미희.小泉明, 2005,' 주성분 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장기 물수요예측과 활용,' 대한환경공학회지, 27(8), 870-876
  5. 기상청 기상연구소, 2004, 한국의 기후, 415pp
  6. 김광섭, 2007, 수문-기상자료 해석을 위한 통계 기법에 대한 고찰,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분과위원회 연구과업보고서, 370-400
  7. 김성렬.양진석, 1995,' 한국의 온대저기압성 강수지역 구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 45-60
  8. 김윤진, 2005, K-평균 군집분석 재현성 평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나정열.한상규.서장원.노의근.강인식, 1997, '한국 동해에서의 해면기압, 해수면온도와 해상풍의 경험적 직교함수 분석,' 한국수산학회, 30(2), 188-202
  10. 문영수, 1990, '클러스터분석에 의한 한국의 강수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26(4), 203-215
  11. 박민재.전성해.오경환, 2003, '붓스트랩 기법과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군집 수 결정,' 한국 퍼지 및 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13(1), 12-17
  12. 박정규.이승만, 1993, '연 강수량에 의한 남한의 강수지역구분,' 한국기상학회지, 29(2), 117-126
  13. 박창용.문자연.차은정.윤원태.최영은, 2008, '최근 한반도 여름철 강수특성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3(3), 324-336
  14. 박현욱, 1986, '남한의 강수량 연변화유형과 강수지역,' 지리학, 33, 26-36
  15. 박현욱, 1987, '기후요소의 주성분분석에 의한 한국의 기후구분,' 지리학, 36, 13-25
  16. 박현욱, 1991, '한국의 1월 강수량의 기후구분 해석,' 지리학, 26(1), 30-45
  17. 박현욱.문병채, 1998, 'GIS를 이용한 한국의 기후지역구분,' 대한지리학회지, 33(1), 17-40
  18. 이동규.박정균, 1999, '군집분석을 이용한 남한의 여름철강수 지역 구분,'한국기상학회지, 35(4), 511-518
  19. 이승호.천재호, 2003, '시베리아 고기압 확장시 호남 지방의 강설 분포 -노령 산맥 서사면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8(2), 173-183
  20. 이승호.허인혜.이경미.권원태, 2005, '우리나라 상세기후지역의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41(6), 983-995
  21. 전치혁, 2004, 데이터마이닝 기법: 군집분석, 테크노경영연구정보센터 뉴스레터, 8(2)
  22. 조정우, 2005, K-평균 군집화를 이용한 분류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허인혜, 2006, '한국의 지역별 이상기온의 분포 특성과 그 지역구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4), 461-474
  24. Ahmed, B. Y. M., 1997, Climatic classification of Saudi Arabia: an application of factor-cluster analysis, Geojournal, 41(1), 69-84 https://doi.org/10.1023/A:1006827322880
  25. Baeriswyl, P. A. and Rebetez, M., 1997, Regionalization of precipitation in Switzerland by mean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58, 31-41 https://doi.org/10.1007/BF00867430
  26. Bunkers, M. J., Miller, J. R., and DeGaetano, A. T., 1996, Definition of climate regions in the northern plains modification technique, Journal of Climate, 9, 130-146 https://doi.org/10.1175/1520-0442(1996)009<0130:DOCRIT>2.0.CO;2
  27. Choi, K. S. and Kim, B. J., 2007,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opical cyclones making landf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43(2), 97-109
  28. Coronato, F. and Bisigato, A., 1998, A temperature pattern classification in Patagoni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18, 765-773 https://doi.org/10.1002/(SICI)1097-0088(19980615)18:7<765::AID-JOC282>3.0.CO;2-H
  29. Gong, X. and Richman, M. B., 1995, On the application of cluster analysis to growing season precipitation data in north America east of the Rockies, Journal of Climate, 8, 897-931 https://doi.org/10.1175/1520-0442(1995)008<0897:OTAOCA>2.0.CO;2
  30. Kalkstein, L. S., Tan, G., and Skindlov, J. A., 1987, An evaluation of three clustering procedures for use in synoptic climatological classification, Journal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26(6), 717-730 https://doi.org/10.1175/1520-0450(1987)026<0717:AEOTCP>2.0.CO;2
  31. Puvaneswaran, K. M. and Smithson, P. A., 1993, An objective classification of homogeneous rainfall regimes in Sri Lanka,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48, 133-145 https://doi.org/10.1007/BF00864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