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신항의 항만경쟁력 결정요인 분석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of Port Competitiveness and Development Strategy of Saemangeum New Port

  • 김정수 (동아대학교 경영대학 국제무역학과) ;
  • 신계선 (동아대학교 경영대학 국제무역학과)
  • 발행 : 2009.03.31

초록

새만금 신항의 항만경쟁력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유럽항로의 해상거리가 포함된 Model I의 경우 유럽항로 해상거리, 취항 선사 수, 수심 11m 선석 수 및 경제성장률 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항로의 해상거리가 포함된 Model II의 경우, 북미항로 해상거리, 취항 선사 수, 수심 11m 이상의 선석 수 및 경제성장률 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항로와 북미항로의 해상거리가 포함되지 않은 Model III의 경우는 취항 선사 수, 수심 11m 이상의 선석 수 및 경제성장률 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에 따른 새만금 신항의 합리적인 발전전략으로는 첫째,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섬장으로 중국 화물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과 근거리에 위치한 새만금 신항이 이들 화물을 유치하기 위해 조기에 착공되어야 한다. 아울러 수심 15m 이상의 선석 수를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취항 선사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둘째, 중국의 특정지역으로 화물을 운송하는 취항 선사유치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새만금 신항의 경우는 인천항과의 차별화를 위해 중국 요녕성과 하북성의 화물보다 강소성과 산등성, 안휘성 및 철강성 지역의 화물을 유치하기 위해 새만금 군산 경제자유구역청의 선사유치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서해안권 항만, 즉 인천항 평택항 군산항 및 장항항 등에서 취급하는 화물이 전환되고 있으므로 새만금 신항에서 취급할 화물을 고려하여 투자유치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넷째, 새만금 신항은 인접 기존 항만과의 화물유치를 위한 대립적 경쟁보다 상호 win-win할수 있는 Hub and Spoke 기항전략과 같은 연계 프로그램을 구축하여야 한다.

Development strategies of Saemangeum New Port are as follows : First, get port terminal areas to be larger. Second, establish the strategy of investment attra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argo to be handled in Saemangeum New Port. Third, attract regional cargo from such Chinese provinces as Gangso and Sandongseong so as to differentiate it from the existing ports. Finally, construct such connecting programmes as the strategy of the Hub-and-Spoke calling at ports that can make a mutual win-win competition rather than an opposing competition to attract the cargo from the existing por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수, "부산항의 항만경쟁력 비교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16집, 2000. 8, p.255.
  2. 김정수, "부산의 신항과 북항의 합리적인 특화전략 연구", 한국무역학회지, 제31권. 제4호, 2006. 8.
  3. 김정수.신계선, "부산.진해 신항의 항만배후단지 개발현황과 효율적인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0집, 제2호, 2004.
  4. 김정수.신계선, "부산.진해 신항과 광양항의 특성 비교분석 및 발전전략",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1집, 제4호, 2005.12.
  5. 김창범, "중국효과와 항만통상정책",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1집, 제3호, 2005.
  6. 박길영.오성동.박노경, "컨테이너항만의 경쟁력 측정방법:AHP와 DE접근",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1집, 제1호, 2005.
  7. 박노경, "국내항만의 행정서비스 경쟁력 측정:DEA접근",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0권, 제2호, 2004.
  8. 박영태.김이곤, "동북아 허브 항만을 위한 부산 신항의 경쟁력 강화방안", 물류학회지, 제16권, 제2호, 2006.
  9. 신계선, "항만경쟁력 결정요인 분석과 신항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1호, 2007. p.3.
  10. 여기태외 4인, "한국과 중국의 경쟁상황을 고려한 항만경쟁력 구성요소 및 평가구조 도출에 관한 연구", 경제학공동학술대회발표논문, 2004.
  11. 임종관.이주호, "양산항 개장이 동북아 항만 경쟁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5. 12.
  12. 임진수, "동북아 물류중심지화와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13. 오성동.박노경, "컨테이너항만의 국제경쟁력 분석방법:DEA접근",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17권, 제1호, 2002.
  14. 오용식.구경모, "최근 정기선사의 동아시아 지역기항 패턴의 변화에 관한 고찰", 물류학회지, 16-2, 2006.
  15.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한반도의 글로벌 물류중심화 방안 및 추진전략 연구, 2003.
  16.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세계 주요 항만현황, 2003-2006.
  17.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세계 주요 항만현황 및 분석, 2006.
  18.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컨테이너편람, 2003-2006.
  19.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백서, 2003-2005.
  20. Slack, B., "Containerization Inter-port Competition and Port Selection",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12, No.4, 1985, pp.293-303. https://doi.org/10.1080/03088838500000043
  21. Murphy, P. R., Daley, J. M. and Dalenberg, D. R., "Port Selection Criteria; An Application of a Transportation Research Framework", Logistics & Transportation Review, Vol.28, No.3, 1992.
  22. Robinson, R. Asian Hub/Feeder Nets : "The Dynamics of Restructuring",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25, No.1, 1999, pp.21-40. https://doi.org/10.1080/03088839800000043
  23. Willingale, M. C., "The Port Routing Behavior of Short Sea Ship Operator: Theory and Practices",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8, No.2, 1981, pp.109-120. https://doi.org/10.1080/03088838100000032
  24. Containerization International Yearbook, 2003-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