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이상향의 성격과 공간적 특징 -청학동을 사례로-

Spatial Characters of Korean Cheonghak-dong Utopia

  • 최원석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인문한국)
  • Choi, Won-Suk (Gyeongnam Cultural Research Institut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9.12.31

초록

한국에서 청학동은 전통시대 이상향의 원형이었다. 청학동을 통시적으로 개관해 보면 공간적인 변이와 장소성의 쇄신 현상이 나타난다. 청학동은 늦어도 고려 후기에 지리산 화개동 인근에 최초로 비정되었고, 조선 초기에는 한양의 남산에도 청학동이 나타나며, 조선 중 후기에는 최초 비정지의 인근 지역 및 지방 명승지로의 분포 양상이 보인다. 근대에 이르러 청학동 지명의 전국적인 분포 현상이 나타나고, 현대에는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 청학동으로 고착되었다. 청학동 이상향의 장소정체성은 선경지에서 주거촌과 관광지로 쇄신 전개되었다.

Cheonghak-dong is a prototype of Korean traditional utopia. Cheonghak-dong Utopia assumed at Jiri Mountain in the late of Goryeo period, and the place name of Cheonghak-dong could be found at the Royal capital(Hanyang) in early Joseon Dynasty, and then it diffused to the outskirts of the original place and local area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eventually it diffused to the nationwide in the modern times. Now, Cheonghak-don was fixed at Mukgea village in Hadong-county officially. The placeness of Cheonghak-dong was changed from the fairyland to the human habitation and a sightseeing place.

키워드

참고문헌

  1. 東國山水錄, 李重煥, 서울대 규장각
  2. 頭流記行錄, 金馹孫, 濯纓文集
  3. 頭流山記, 宋秉璿, 淵齋集 권21, 국립중앙도서관
  4. 頭流山遊錄, 金澤述, 後滄集卷17
  5. 方丈山遊行記, 鄭德永, 韋堂遺稿卷4
  6. 別乾坤23, 1929년 09월 27일, 한국역사정보종합시스템
  7. 承政院日記., 서울대 규장각
  8. 練藜室記述, 李肯翊, 朝鮮光文會(1912)
  9. 五洲衍文長箋散稿, 李圭景, 古典刊行會(1959)
  10. 與猶堂全書, 丁若鏞, 한국문집총간, 민족문화추진회(2005)
  11. 遊頭流錄, 南冥先生集卷之二, 경상대학교 문천각
  12. 遊頭流錄, 金宗直, 續東文選第21卷錄, 한국고전번역원
  13. 遊頭流錄, 鄭鐘燁, 修堂集권4, 국립중앙도서관(1968)
  14. 遊方丈山記, 鄭琦, 栗溪集 권14, 국립중앙도서관 22권 13책
  15. 朝鮮王朝實錄, 서울대 규장각
  16. 智異山靑鶴洞記, 記言卷28 原集下篇, 山川, 한국고전번역원
  17. 破閑集, 李仁老, 朝鮮古書刊行會(1911)
  18. 大東地志, 金正浩, 한양대학교부설 국학연구원 대제각 (1974)
  19. 左海地圖, 서울대 규장각, 圭12229
  20. 東輿圖, 金正浩, 서울대 규장각
  21. 八道地圖, 서울대 규장각, 古4709-14
  22. 八道地圖, 서울대 규장각, 古軸4709-48
  23. 海東地圖, 서울대 규장각 영인본
  24. 조선후기 지방지도(1872년 군현지도), 서울대 규장각 영인본
  25. 강정화.황의열.구경아 편저, 2008, 지리산 유산기 선집,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지리산권문화연구단 자료총서 02, 브레인, 창원
  26. 남영우 편저, 구한말한반도지형도, 성지문화사영인본 (1996)
  27. 손진태, 1954, 한국민족설화의 연구, 을유문화사
  28. 신정엽, 1993,' 유토피아의 지리학-그 가능성의 탐색,' 지리교육논집, 30(1), 92-114
  29. 안동준, 2007, '지리산의 민간도교 사상,' 경남문화연구, 28, 135-148
  30. 오세창, 1984, '풍기읍의 정감록촌 형성과 이식산업에 관한 연구,' 지리학과 지리교육, 9(1), 166-185
  31. 이성규(역), 1990, 중국의 유토피아 사상, 지식산업사, 서울(陳正炎.林其錟)
  32. 이익성(역), 1993, 택리지, 을유문화사, 서울(이중환, 1751, 擇里志)
  33. 이종은.윤석산.정민.정재서.박영호.김응환, 1996, '한국문학에 나타난 유토피아 의식 연구,' 한국학논집, 28(1), 7-226
  34. 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한국평화문제연구소 공편, 2003, 조선향토대백과, 서울
  35. 진종헌, 2005, '지리산 읽기: 유토피아적 도피처에서 근대적 국립공원으로의 변형,' 대한지리학회지, 40(2), 172-186
  36. 정치영, 2005, '조선시대 유토피아의 양상과 그 지리적 특성,' 문화역사지리, 17(1), 66-83
  37. 정치영, 2006, 지리산지 농업과 촌락 연구, 고대민족문화연구원 민족문화연구총서, 서울
  38. 최병두, 2000, '유토피아 공간의 변증법 -사회주의와 신자유주의를 넘어서-,' 문예미학, 7(1), 733-58
  39. 최영준, 1997, 국토와 민족생활사, 한길사, 서울
  40. 최원석, 2004,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서울
  41. 최창조, 1990, 좋은 땅이란 어디를 말함인가, 서해문집, 서울
  42.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1966-1986, 보진재, 서울
  43. 화개면지편찬위원회, 2002, 화개면지, 화개면
  44. 황원구, 1982,' 한국에서의 유토피아의 한 시도-板尾洞故事의 연구-,' 동방학지, 32, 59-96
  45. Frazer, J. G., 1971, The Golden Bough, A Study in Magic and Religion, Macmillan
  46. Porter, P. W. and Lukermann, F. E., 1976, The Geography of Utopia, Geographies of the Mind, Oxford University Press, 197-224
  47. http://www.itkc.or.kr
  48. http://www.atlaskorea.org/historymap/IdxRoot.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