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의 한국지명 표기 실태 분석

Analysis on Romanization of Korean Geographical Names in Foreign Countries

  • 김선희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 박경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 이해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 Kim, Sun-Hee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Park, Kyeong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Lee, Hae-Mi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발행 : 2009.12.31

초록

본 연구는 해외에서의 한국지명 표기실태를 분석하여 오류시정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해외지명사전, 지명데이터베이스, 온라인 지도서비스 사이트 등에 수록된 한국지명을 분석한 결과 상당수 표기상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주요 표기상의 문제점으로는 이명표기, 종속병기, 중복표기, 철자문제, 행정단위오류, 위치오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오류형태와 방식은 보다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오류시정을 위한 대응방안으로 오류지명에 대한 적극적인 시정노력과 지속적인 모니터링, 민 관의 합의에 의한 한국지명의 영문표기 표준화 구축, 지명정보의 신속한 업데이트와 홍보, 미등재 또는 미표기 지명목록 작성 및 우선적 등재노력, 지명관리 주체의 단일화와 독립성 등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ways to correct and fix the errors in transcription by analyzing Romanization of Korean geographical names in foreign countries. The gazetteers from many countries, place name databases, and map-providing websites are the main source of research. Common error types found in this study are variant name posting, subordinated marking, double posting, spelling errors, and location errors. In fact, transcription of geographical names exhibits more diverse forms and types. The counter measures to fix these errors are as follows, firstly, consistent efforts with regular monitoring to fix errors are essential. Secondly, the one and only standardized Romanization principle is urgent. Thirdly, prompt update and publication in case of place name and/or boundary change is necessary. Fourthly, efforts to register unregistered geographical names are necessary. Lastly, the establishment of central agency solely for the management of geographical names is requir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지리정보원, 2006, 강원권 일본식 지명의 조사 및 정비 방안 연구
  2. 국토지리정보원, 2007a, 대한민국국가지도집
  3. 국토지리정보원, 2007b, Gazetteer of Korea(I.II.III)
  4. 국토지리정보원, 2008, 2007년 국제지명표준화 활동에 관한 연구용역 보고서
  5. 국립해양조사원, 2006, 동해 명칭의 국제적 확산을 위한 통용 기반 구축 연구용역보고서
  6. 김선희, 2008, '五萬分一地形圖'에 나타난 20세기 초 한반도의 지명 분포와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3(1), 87-103
  7. 김종혁, 2006, '한국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분석과 발전 방향,' 한국지도학회지, 6(1), 47-59
  8. 김지영, 2003, 개항기 지도에 표현된 울릉도.독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동북아역사재단, 2007, 동해.독도 온라인 표기 오류시정 연구용역보고서
  10. 동해연구회, 1995, '동해.지명에 관한 국제학술세미나 논문발표 I, II, III', (사) 동해연구회
  11. 동해연구회, 1997,' '동해.지명 표준화를 위한 국제세미나 논문발표 I, II, III', (사) 동해연구회
  12. 박경.장은미.김선희.이해미, 2009,' 인터넷 지도서비스의 특성분류-한국 관련 지명오류를 중심으로-,' 한국지도학회지, 9(1), 13-25
  13. 손용택.한관종, 2006, '한반도 주변 주요국 교과서의 한국 관련 지명 왜곡과 오류 실태 -일본, 중국, 러시아, 미국 지리 교과서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45(4), 83-106
  14. 양보경, 2004, '조선시대 고지도에 표현된 동해 지명,' 문화역사지리학회지, 16(1), 89-111
  15. 오일환.김기수, 2004, '18세기 서양고지도에 나타난 우리나라와 제주도: 형태와 명칭표기 변화를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학회지, 16(1), 113-122
  16. 이기석, 1998, '동해 지리명칭의 역사와 국제적 표준화를 위한 방안,' 대한지리학회지, 33(4), 549-550
  17. 이기석, 2004, '지리학 연구와 국제기구 -동해명칭의 국제 표준화와 관련하여-,' 대한지리학회지, 39(1), 1-12
  18. 이상태, 1995, '역사 문헌상의 동해 표기에 대하여,' 사학연구, 50, 473-485
  19. 이진호, 1989, 대한제국 지적 및 측량사, 토지
  20. 이찬, 1992, '한국의 고지도에서 본 동해,' 지리학, 27(3), 272-277
  21. 임덕순, 1992, '정치지리학적 시각에서 본 동해지명,' 지리학, 27(3), 268-271
  22. 주성재, 2007, '바다 이름의 국제적 표준화 사례와 동해 표기 정당화에의 시사점,' 대한지리학회지, 42(5), 745-760
  23. 최미선, 2008, 동해 지명의 온라인 표기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7, 지명의 지리학, 푸른길
  25. 해양수산부 해양지명위원회, 2004, 해양지명 표준화 편람
  26. コンサイス外國地名事典, 改訂版, 1985, 三省堂
  27. Alexander, B. M., 2005, The use of national names for international boders, The 11th International Seminar on the Naming of Seas, The Society for East Sea, 201-214
  28. Cohen, S. B.(ed.), 2008, The Columbia Gazetteer of the World, Columbia University press
  29. Park, K. and Chang, E., 2008, A study on Japanese and oreign place names in Google Earth satellite images and GNS database o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2), 188-201
  30. Satow, E., Aston, W. G., and Chamberlain, B. H., 1882, Manual of Korean Geographical and Other Proper Names Romanized
  31. UN, 2007, United Nations Group of Experts on Geographical Names: Technical Reference Manual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32. U.S. ARMY MAP SERVICE, 1943, Place Name Index for KOREA(CHOS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