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Mathematical Descriptive Tests and Their Practices

초등 교사들의 수학과 서술형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eachers' recognitions of the necessity of mathematical descriptive tests and their practices in the elementary schools. We then suggested several examples of improved formats of the mathematical descriptive evaluation. For analyzing teachers' recognitions and practices of mathematical descriptive assessment, we surveyed 104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We collected the test items from the schools and analyzed them to find how they are practiced in the sch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basically recognizing the direction and the purpose of mathematical descriptive assessment. Second, the ratio of the descriptive test items was very low compared with the teachers' recognition of necessity of including descriptive items in the tests. Third, the teachers usually made the descriptive items with their colleagues using textbooks, test manuals for teachers, and the references that the office of education provided. Fourth, to enha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descriptive assessment,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bout the descriptive assessment should be continued. Finally, the office of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s should provide various types of test items and more teacher training programs on descriptive assess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 서술형 평가에 대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초등학교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서술형 평가의 실시 현황을 알아보고,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현행 서술형 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서술형 평가 문항에 대한 인식과 학교 현장에서 서술형 평가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6개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담임 교사 10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6개 초등학교의 교육과정과 1학기 중간 학업성취도평가의 서술형 문항 비율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서술형 평가의 방향과 목적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으나 실제로 실시하고 있는 서술형 평가 문항 비율은 현저히 낮았고, 교과서 및 교육청 등 인증된 기관에서 제작 보급한 자료를 활용하여 동료 교사들과 함께 문항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시사점으로 교사들에 대한 서술형 평가 문항 제작과 실시에 대한 지속적인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관련 연구기관이나 시도교육청 등에서 채점기준과 함께 다양한 평가문항을 제작하고 보급하며 현장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