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Gisaeng Performance Costume for Folk Dance in Early Modern Korea

근대(近代) 기생(妓生)의 민속무(民俗舞) 공연복식에 관한 연구

  • Kim, Ji-Hye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 Cho, Woo-Hyun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Performance costumes are an important element in the stages which set the tones and embody characters in the performances. This study focuses on Gisaeng's costumes in folk dance performances when Korea experienced modernization from Joseon Dynasty, and aims to examine the features of the costumes as well as how the costumes both influenced, and got influenced by,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Gisaeng had been legal entertainment performers of the government in the Joseon Dynasty and, despite careful training and talents, had inferior social status in Joseon's social hierarchy system. In the modern society, a new system of Gisaeng emerged and the first public theater opened. The advent of theaters changed performance stages and the ways performances are conducted. This study investigated Gisaeng's performance costumes by the type of folk dances, such as monk dance, palace dance, Salfuri dance, Jangu dance, and Ip dance. The study brings light to three conclusions. First, as folk dances which had been performed by civil dancers were spread to Gisaeng, Gisaeng's costumes absorbed the costumes of civil dancers. Also, royal costumes appeared in folk dance performances. This can be viewed as mixture of royal and folk dance costumes, resulted from interactions between Gisaeng and civil art performers associated with the modernizing society and the weakening of the old hierarchical class system. Second, as performing arts on stages were modernizing, performance costumes changed accordingly. Thirdly, Giseang's costumes in folk dances also adapted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culture, which largely influenced the fashion trends of people in the early modern society in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금혜정 (1992). 朝鮮時代의 妓生服飾에 關한 硏究.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정미 (1992). 우리나라 기생 복식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현주 (1993). 朝鮮時代 판소리계 小說속에 나타난 女性服飾硏究.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금나형 (1998). 朝鮮後期 妓生服飾이 一般婦女子 服飾에 미친 影響.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희정 (2002). 朝鮮時代 妓生 服飾을 應用한 現代Fashion design 硏究.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장민정 (2004). 조선시대 기생복식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강선 (2005). 조선시대후기 기생복식이 일반복식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풍속화를 중심으로.. 성신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공승연 (2006). 근대 기생복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순양 (2009). 한국 기생(妓生)과 일본 게이샤(げいしゃ)의 예술 활동 비교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최윤영 (2009). 1910년대 기생들의 춤 교육과 공연양상연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손유주 (2005). 개화기 기생들의 예술 활동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윤주 (2002). 근대 교방춤에서 공연무용으로의 전개양상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노동은 (1995). 한국근대음악사. 한길사, p. 37
  14. 오현화 (2004). 예단일백인을 통해 본 1910년대 기생집단의 성격. 연극과 인간, p. 118
  15. 신현규 (2005). 꽃을 잡고. 경덕출판사, pp. 67-68
  16. 최윤영 (2009). 1910년대 기생들의 춤 교육과 공연양상연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5
  17. 손태룡 (2002). 대구기생의 음악사적 고찰. 대구향토문화연구소 향토문화 제17집, p. 61
  18. 김천홍 (2002). 궁중무-그 주역들 기녀사회 궁중무의지도자 춤.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1
  19. 성경린 (1995). 한국전통무용. 무용한국통권, 51, p. 33
  20. 정청자 (1997). 춤 이야기. 강원대학교 출판부, p. 73
  21. 김승길 (1998). 기방무용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9-33
  22. 김현수 (1986). 승무의 춤사위에 관한 연구 -한영숙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4-21
  23. 신현규 (2005). 꽃을 잡고. 경덕출판사, pp. 129
  24. 중앙대학교 디지털 컨턴츠 리소스 센터 DCRC (Digital Contents Resource Center).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자료검색일 2006. 7. 21
  25. 김영희 (2006). 개화기 대중예술의 꽃 기생. 민속원, p. 12
  26. 가와무라 미나토 (2002). 말하는 꽃 기생. 소담출판사, p. 122
  27. 고복남 (1986). 韓國傳統服飾史硏究. 일조각, pp. 115-136
  28.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연희학과 사이버 자료실. 자료검색일 2006. 5. 19
  29. 국립민속박물관 (2003). 사진자료로 보는 민속의 어제와 오늘 I. 국립민속박물관, p. 111
  30. 신현규 (2005). 꽃을 잡고. 경덕출판사, pp. 139
  31. 김영희 (2006). 개화기 대중예술의 꽃 기생. 민속원, p. 12-29
  32.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p. 43
  33. 연구공간 수유+너머 근대매체연구팀 (2005). 신여성, 한겨레 신문사, p. 87
  34. 한국종합예술학교 연극원 근대사진자료실. 자료검색일 2006. 5. 19
  35. 이경민 (2005). 기생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근대기생의 탄생과 표상공간. 사진아카이브연구소, p. 109
  36. 김윤희 (1996). 복식의 근대성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생활과학회지, p. 11
  37. 김영희 (2006). 개화기 대중예술의 꽃 기생. 민속원, p. 182
  38. 국립민속박물관 (2003). 사진자료로 보는 민속의 어제와 오늘 I. 국립민속박물관, p. 127
  39. 신현규 (2005). 꽃을 잡고. 경덕출판사, pp. 175
  40. 권현주 (1993). 조선시대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기생복식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12
  41. 이경민 (2005). 기생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근대기생의 탄생과 표상공간. 사진아카이브연구소, p. 62
  42. 권혁희 (2005).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 민음사, pp. 8-15
  43. 이화형 (2005). 한국현대여성의 일상문화. 국학자료원, pp. 26-31
  44. 김혜영 (1997). 기녀복식을 중심으로 본 조선후기 여성복식의 연구. 배제대학교 의류학부, p. 18
  45. 김승길 (1998). 기방무용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7
  46. 김영희 (1999). 일제시대 기생조합의 춤에 대한 연구. 무용예술학 연구, 3, pp. 43
  47. 조우현 조현진 김현숙 (2009). 무대의상 디자인. 시월 p.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