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Dap-ho(塔胡) in Joseon Dynasty - Until the Early $17^{th}$ Century -

조선시대 답호(塔胡) 연구 - 17세기 전기까지 -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study is about 'Dap-ho', a kind of men's coat in the early, and mid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study examined the kinds, color, and fabric of Dap-ho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t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 and the change of shape through excavated costume, and the period is limited until early 17th century.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is record of Dap-ho from King Sejong period to Gwang-hae-gun period. After 160 years, it appears again in King Young-jo period, and remains until King Soon-jong period. It was mentioned 168 times, from over 100 cases. There are 26 colors of Dap-ho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among them, green appears the most. Thin fabric, like Joo [紬], Sa[紗], and Cho[綃] was used often, and there are records of double layered, and cotton padded Dap-ho. The period when Dap-ho appears as excavated costume is almost the same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disappears after the decease of Dae-ho Kang(1541-1624), and Sun-un Yun(1580~1628). After in this period, Dan-ryung, and Jik-ryung changes into double layered clothes, and Jik-ryung functioned as the underclothes of Dan-ryung, instead of Dap-ho. The excavated costumes of Hwak Kim(1572~1633), and Eung-hae Lee(1547~1626) proofs this. But Dap-ho was called 'Jun-bok', 'Dugree', Que-ja', and 'Dap-ho' until the later period of Joseon Dynasty.

Keywords

References

  1. 國朝五禮儀 士庶人喪 '黑圓領, 褡複, 帖裏'의 기록과 조선왕조실록의 외국사신과 신하에게 답호를 하사할 때 圓領과 褡複 帖裏 등의 일습을 하사한 기록은 <표1>에 인용된 일자에서 찾아볼 수 있다
  2. 홍나영 (2008).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편복포의 시대구분. 服飾, 58(5), pp. 119-133
  3. 이봉숙 (1984). 답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주영 (1993). 朝鮮時代 無袖衣에 關한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오선 (2002).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변지연 (2006). 더그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조선시대 후기의 답호에 관한 논문은 위에서 언급한 변지연(2006)의 더그레에 관한 연구에 자세히 나와있다
  8. 서정원 (2002). '老乞大' 刊本을 통해본 14-18세기의 복식관련 용어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7-41
  9. 정광 (2004). 原本 노걸대. 서울: 김영사, p. 359
  10. 수덕사 근역성보관 (2004). 至心歸命禮.. 예산: 수덕사 근역성보관, p. 13
  11. 수덕사 근역성보관 (2004). 至心歸命禮.. 예산: 수덕사 근역성보관 73-83
  12. 세종실록 권143. 五禮 凶禮儀式 襲. '褡複一'
  13. 세종실록 권103, 세종26년(1444) 3월26일. '靑暗花褡 服' '靑暗花褡複' '靑素褡複'
  14. 노산군일기 권2, 단종 즉위년(1452) 8월26일, 윤9월17 일, 10월4일, 10월13일
  15. 노산군 일기 권14, 단종 3년 (1455) 4월28일
  16. 노산군 일기 권4, 단종 즉위년(1452) 10월 5일
  17. 노산군 일기 권11, 단종 2년(1454) 5월6일, 5월18일
  18. 세조실록 권15, 세조 5년(1459) 3월15일
  19. 세조실록 권19, 세조 6년(1460) 3월2일, 3월9일
  20. 세조실록 권33, 세조 10년(1464) 5월18일
  21. 세조실록 권43, 세조 13년(1467) 9월14일, 9월27일, 10월2일
  22. 세조실록 권46, 세조 14년(1468) 4월9일
  23. 세조실록 권16, 세조 5년(1459) 4월9일, 4월16일
  24. 세조실록 권20, 세조 6년(1460) 4월20일
  25. 세조실록 권43, 세조 13년(1467) 10월22일
  26. 성종실록 권1, 성종 즉위년(1469) 12월2일, 12월7일
  27. 성종실록 권5, 성종 1년(1470) 5월1일 외 수회가 기록되어 있다
  28. 성종실록 권152, 성종 14년(1483) 3월12일, 7월2일, 10월19일
  29. 성종실록 권186, 성종 16년(1485) 12월28일
  30. 성종실록 권187, 성종 17년(1486) 1월9일
  31. 성종실록 권115, 성종 11년(1480) 3월20일
  32. 성종실록 권210, 성종 18년(1487) 12월14일
  33. 성종실록 권230, 성종 20년(1489) 7월7일
  34. 연산군일기 권31, 연산군 4년(1498) 10월26일
  35. 연산군일기 권2, 연산군 1년(1495) 1월6일
  36. 연산군일기 권46, 연산군 8년(1502) 10월18일
  37. 연산군일기 권49, 9년(1503) 5월 20일
  38. 연산군일기 권5, 연산군11년(1505) 4월10일
  39. 연산군일기 권58,연산군 11년(1505) 6월25일
  40. 중종실록 권36, 중종 14년(1519) 6월13일
  41. 중종실록 권45, 중종 17년(1522) 8월12일
  42. 선조실록 권160, 선조 36년(1603) 3월18일
  43. 선조실록 권200, 선조 39년(1606) 6월6일
  44. 광해군일기 권52, 광해군 4년(1612) 4월21일, 4월24일
  45.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定陵博物館, 北京市文物工作附 (1990). 定陵 下. 北京: 文物出版社, p. 32
  46. 서울역사박물관,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편)(2006). 다시 태어난 우리옷 환생.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110
  47. 문화재청(편)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②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p. 136-141
  48. 박성실 (1993). 廣州郡 突馬面 朽栗里 出土 全州李氏義安大君 襄昭公派 遺物小考. 韓國服飾, 11, pp. 57-89
  49. 대전광역시,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편) (2006). 대전 목달동 출토 조선초.중기 여산송씨 출토복식. pp. 67-149, 대전: 대전광역시, pp. 232-235
  50. 최은수 (2003). 변수(1447-1524) 묘 출토복식 고찰. 생활문물연구 11, pp. 89-139
  51. 영주시 (1998), 判決事 金欽祖先生 合葬墓 發掘調査報告書. 영주: 영주시, pp. 229-326
  52. 광주민속박물관(편) (2000). 霞川 高雲 出土遺物. 광주: 광주민속박물관, pp. 35-118
  53. 박성실 (1998). 파주 금릉리 출토 경주정씨 유물 소고. 韓國服飾 16, pp. 31-39
  54. 박성실, 고부자 (1991), 高陽 陵谷 茂院 出土 羅州丁 氏 月軒公派 出土遺物 小考. 韓國服飾 9, pp. 45-83. pp. 135-157
  55. 박성실, 고부자 (1991), 高陽 陵谷 茂院 出土 羅州丁 氏 月軒公派 出土遺物 小考. 韓國服飾 9 159-228
  56. 고부자 (1999). 일영 출토 고령신씨 유물 소고. 韓國服飾 17, pp. 41-122
  57. 박성실 (2002). 서울시 중계동 출토 星州李氏 大司憲彦忠(1524-1528)墓 복식 고찰. 韓國服飾 20, pp.87-154
  58. 이순원, 유효선, 조우현, 서울대학교 한국복식연구실 (2000), 이석명(李碩明)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 서울大學校 博物館
  59. 경기도박물관(편) (2004). 심수륜묘 출토복식. 용인:경기도박물관, pp. 110-175
  60. 박성실, 고부자 (1989). 城南出土 東萊鄭氏 出土遺物에 관한 小考. 韓國服飾 7, pp. 123-154
  61. 서울역사박물관(편) (2003). 趙儆墓出土遺衣. 서울:서울역사박물관, pp. 38-126
  62. 고부자 (2005). 경기도 파주 출토 진주강씨(대호, 1541-1624) 유물. 韓國服飾 23, pp. 39-180
  63. 고부자 (2008). 海南尹氏 橘亭公派 廣州出土 遺物 硏究, 韓國服飾 27, pp. 33-84
  64. 동일한 형태의 깃모양을 이은주는 '예각반목판깃'이라고 하였고, 금종숙은 '이중모난칼깃'이라고 하였다. 이글에서는 '이중목판깃'이라고 하겠다
  65. 답호는 강대호의 답호의 깃에서 이러한 모양이 있고, 김확(1633)의 단령의 안감으로 사용된 직령의 깃이 깍은 당코깃이며, 의원군(1722)의 단령의 안감으로 사용된 직령, 그리고 중치막 등에서도 당코깃이 있다. 이외도 파계사의 영조(英祖) 도포의 깃도 당코깃이다
  66. 인천광역시립박물관(편) (2005). 인천 석남동 회곽묘출토복식. 인쳔: 인천광역시립박물관, p. 166
  67. 안동대학교박물관(편) (2000). 안동 정상동 일선 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 보고서, p. 217
  68. 1점은 한지가 심감으로 사용되었다
  69. 수습은 9점이었나, 실측도와 치수는 6점만 보고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