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blem Analysis of the Experiments Illustrating pH Effects on Enzyme Activities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 Focus on Starch-Iodine Reaction -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pH가 효소의 작용에 미치는 영향" 실험의 문제점 분석 -녹말과 요오드 반응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In this study, analysis was carried out on science experiment in high school textbooks, illustrating 'the effect of pH on enzyme activity.' Five of the total 16 science textbooks introduced in this experiment, and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rein were analyzed. Textbook analysis revealed that pH of below 3 was used for 'acidic condition' and that of over 11 was used for 'basic' condition. Using the experimental conditions described in the textbooks, review experiments were performed. Buffering effect with the addition of saliva was found in the pH region around 7 when buffer solution was not used to control pH as was in the textbooks. The enzyme activity experiments were performed controlling pH from pH 2 to 13 with buffer. The color of the sample was blue from pH 2 to 4, and then disappeared from pH 5 to 8, reflecting that starch was digested owing to enzyme activity. In pH 9 light blue color appeared, indicating de-activation of enzyme under this basic condition. However, the blue color of the sample became lighter at pH 10 and disappeared from pH 11,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expected behavior anticipating dark blue color due to de-activation of enzyme under strong basic condition. These results can wrongly influence students to interpret that enzyme can be activated in this pH condition. So, we analyzed the reason for the color of the sample turning light blue in pH 10 and disappeared from pH 11. The analysis resulted that ${I_3}^-$ and/or ${I_5}^-$ subunits of polyiodides within the starch helix in starch-iodine complex, showing blue, decreases above pH 10 due to disproportionation to HOI, ${IO_3}^-$, and $I^-$ by the reaction with $OH^-$.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pH가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은 16종의 교과서 중 5개의 교과서에 소개되어 있으며, 실험 조건을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산성 조건은 pH 3 이하이고, 염기성 조건은 pH 11이상이었다. 우선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조건을 토대로 pH 조건을 다양하게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교과서에 제시된 것처럼 완충 용액을 사용하지 않고 pH 조건을 맞춰주었을 때, 침의 완충 작용으로 pH 범위로 pH가 맞춰지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pH 2에서 13인 완충 용액을 이용하여 효소 활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pH 2에서 4사이에서 시료는 파란색을 나타내었고 pH 5부터 pH 8 에서는 색이 없어졌다. 이는 효소활성으로 인해서 녹말이 소화된 것을 나타낸다. pH가 9에서는 옅은 파란색이 나타났는데 이는 효소활성이 감소한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pH가 10이상으로 더 증가했을 때 효소의 비활성으로 인해 파란색이 더 짙어질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pH 10일 때 파란색이 더 옅어졌고, pH 11이상에서는 색이 없어졌다. 이는 이렇게 강한 염기성 조건에서 효소가 활성화된다고 학생들이 잘못해석하도록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다. 분석 결과 ${I_3}^-$, ${I_5}^-$는 녹말-요오드 화합물에서 녹말 나선 안에 존재하는 폴리요오드화 이온의 기초가 되며 이들이 색을 띄게 되는데, 이들이 $OH^-$와 반응하여 $I^-$, HOI, ${IO_3}^-$로 분해되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신, 김세경, 이혜경 (2004). 초등학교 과학과 이산화탄소 발생실험의 개선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23(2), 152-158
  2. 김경희, 박성호, 양홍준, 송방호, 정화숙, 권덕기, 정원우, 권용주, 손종경 (1999). 고등학교 생물교과서에 침의 소화작용에 대한 실험방법의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1), 25-34
  3. 김범기, 곽영순, 김찬종, 손정우 , 송진웅, 이경호, 차희영, 허명 (2005). 초${\cdot}$중등 과학교육 혁신방안 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103-120
  4. 김용진, 박인근 (2007).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광합성 산물 실험의 적절성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5)(특별호), 595-604
  5. 김효진, 김위규, 박현주 (1999). 중학교 학생의 과학학습 방법 및 전략에 관한 연구. 대한화학회지, 43(5), 552-563
  6. 남현근 (1990). 생화학. 학문사. p187-190
  7. 류오현, 최문영, 송주현, 권중건, 백성혜, 박국태 (2001). 중학교 과학 교과서 분별 증류 실험의 비교분석 및 개선. 대한화학회지, 45(5), 481-490
  8. 문경원, 김영수 (2008). 광합성 실험과 호흡 실험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실험 과정 이해도 및 실험 수행 능력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4), 537-554
  9. 박동조, 백성혜, 강성주 (2001). 열역학적 관점에 근거한 구름발생 실험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547-557
  10. 방정아, 윤희숙, 최원호, 정대홍 (2006). 기체의 부피변화를 이용한 화학반응속도 측정 실험의 이해 및 개선 연구: HCl 수용액과 고체 Mg의 반응에 대하여.대한화학회지, 50(5), 404-414 https://doi.org/10.5012/jkcs.2006.50.5.404
  11. 양철학 (2009). 생명 과학의 기초 생화학. 자유아카데미. p182
  12. 윤교희, 양희태 (2004). 생화학. 도서출판 효일. p30-32
  13. 이진승, 한인옥, 김기명, 서인호, 이선희 (2006) 현장 과학 교사가 생각하는 초∙중고 과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과총 정책과제 보고서. 62-63
  14. 조희형, 박승재 (1995). 과학 교수-학습, 교육과학사, 219-241
  15. 정충덕, 박행신 (1995). 고등학교 생물과 실험 실습의 현안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3(2), 157-172
  16. Christine E. Jarvis and John R. L. Walker (1993). Simultaneous, Rapid,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Total Starch, Amylose and Amylopectin.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63, 53-57 https://doi.org/10.1002/jsfa.2740630109
  17. Daniel C. Harris (1999). Exploring Chemical Analysis (Ed.1). Freeman. 285-286
  18. Hofstein, A. & Lunetta, V.N. (2004). The laboratory in science education: Foundation for the twenty-first century. Science Education, 88, 28-54 https://doi.org/10.1002/sce.10106
  19. Hugh J. Cornell and Collin J. Rix (2006). The Influence of Thiocyanate Ions on the Formation of the Starch-Iodine Complex. Starch/Starke, 58, 100-108 https://doi.org/10.1002/star.200500414
  20. Lazarowitz, R., & Tamir, R. (1994). Research on using laboratory instruction in science. In D.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New York: MacMillan, 94-128
  21. R. E. Rundle, Dexter French (1943). The Configuration of Starch and the Starch-Iodine Complex. Ⅱ. Optical Properties of Crystalline Starch Frac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65(4), 558-561 https://doi.org/10.1021/ja01244a018
  22. R. E. Rundle & R. R. Baldwin (1943). The Configuration of Starch and the Starch-Iodine Complex. Ⅰ. The Dichroism of Flow of StarchIodine Solu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65(4), 554-558 https://doi.org/10.1021/ja01244a017
  23. Robert C. Teitelbaum, Stanley L. Ruby, Tobin J. Marks (1980). A Resonance Raman/Iodine Mo··ssbauer Investigation of the Starch-Iodine Structure. Aqueous Solution and Iodine Vapor Prepar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02, 3322-3328 https://doi.org/10.1021/ja00530a003
  24. Robert C. Teitelbaum, Stanliy L. Ruby, Tobin J. Marks (1978). On the Sturcture of StarchIodine.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02, 3215-3217 https://doi.org/10.1021/ja00478a045
  25. Scott J. McGrance and Hugh J. Cornell and Colin J. Rix (1998). A Simple and Rapid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mylose in Starch Products. Starch/Starke, 50, 158-163 https://doi.org/10.1002/(SICI)1521-379X(199804)50:4<158::AID-STAR158>3.0.CO;2-7
  26. Xiaochun Yu, Carl Houtman, Rajai H. Atalla (1996). The Complex of Amylose and Iodine. Carbohydrate Research, 292, 129-141 https://doi.org/10.1016/S0008-6215(96)9103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