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ognitive Conflicts before Confronting Anomalous Phenomena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s in Physics

불일치 현상 대면 전의 인지갈등이 중학생들의 물리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One of useful strategies to change students' misconceptions into scientific conceptions in physics is the cognitive conflict strategy, the main point of which is to arouse cognitive conflicts by presenting anomalous phenomena to students.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students experienced cognitive conflicts while expecting or reasoning results of an experiment before confronting an anomalous phenomenon. Therefore, we have examined how much students' cognitive conflicts were aroused before presenting an anomalous phenomenon. The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cognitive conflicts aroused prior to the students' confrontation with an anomalous phenomenon, both on the cognitive conflicts occurring after the students' confrontation with it, and on the students' conceptual changes. This study was performed during regular classes about light-source and weightlessness concepts. Subjects from two different middle schools in Pusan took part in the study. Preconceptions, degrees of cognitive conflicts before and after confronting anomalies, and postconceptions were checked during the classes. Then, delayed postconceptions were also checked in 3 weeks. As a result, the degree of cognitive conflicts before confronting an anomaly was as much as the degree of cognitive conflicts after i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oth conflicts. Also the degree of cognitive conflicts before confronting an anomaly was a main factor in predicting the conceptual changes, while both conflicts had been related separately to the conceptual changes.

학생들의 물리 오개념을 과학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학습전략 중 하나는 학생들에게 인지갈등을 유발시키는 것이다. 인지갈등전략의 핵심적 방법은 학생에게 불일치 상황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런데 학생들이 불일치 현상을 대면하기 전에 자신의 개념을 탐색하고 진술하는 단계에서도 인지갈등을 경험한다는 사례가 보고된 바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불일치 현상을 대면하기 전에 유발되는 인지갈등정도를 조사하고 그 인지갈등이 불일치 현상 대면 후에 유발되는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광원과 무중력 개념을 소재로 한 교실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소재 중학교 2개교의 학생들이었다. 수업과정에서 사전개념, 대면 전과 후 갈등정도 및 사후개념을 조사하였다. 수업 3주후에는 지연사후개념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불일치 현상 대면 전의 인지갈등 평균은 대면 후의 인지갈등 평균과 차이가 없었으며 두 인지갈등 사이에는 정적상관이 있었다. 불일치 현상 대면 전과 후의 인지갈등정도가 모두 개념변화정도와 정적상관이 있었는데, 두 인지갈등 중 개념변화를 주도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불일치 현상 대면 전의 인지갈등정도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난주 (2000). 인지갈등에 의한 중학생의 과학개념변화에서 학습자특성의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권난주, 권재술 (2004). 인지갈등 전략을 이용한 과학 개념변화에서 학습자 특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216-225
  3. 권미랑, 김지나, 최혁준, 김중복, 권재술 (2005). 그네타기 체험을 통한 인지갈등 전략이 학생들의 단진자에 작용하는 힘 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583-594
  4. 권재술 (1989). 과학 개념 형성의 한 인지적 모형. 물리교육, 7(1), 1-9
  5. 김정환 (1999). 과학학습에서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중학생의 인지갈등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지나 (1997). 갈등 상황 제시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물리 개념변화.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지나, 최혁준, 권재술 (2002). 정량적 현상제시와 정성적 현상제시에 의한 학생들의 인지갈등 정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2-21
  8. 박종원 (1992a). 상대론 기초 개념변화에 있어서 초인지의 역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박종원 (1992b). 인지적 갈등의 이론적 모형. 전남대학교 과학교육연구지, 16(1), 17-35
  10. 박종원 (2003). 학생 개념의 연속적 세련화와 정교화를 통한 변화 과정-대학생 반응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76-285
  11. 이경호, 권재술 (1999). 관성개념에 대하여 자기의 생각과 불일치하는 상황의 유형에 따른 학생의 반응.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516-527
  12. 이영직 (1998). 인지갈등에 의한 고등학생의 물리개념변화.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이채은, 이경호, 김지나, 권재술 (2001). 인지갈등 상황 제시유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역학 개념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97-709
  14. 정대연 (2004). 사회통계학. 제주대학교 출판부
  15. 최진만 (2003). 인지갈등 유발수업이 중학생의 빛의 직진성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최혁준 (2003). 무중력 상태에 대한 예상의 확인결과가 대학생의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황명수 (2007). 전구의 연결에서 현상제시 순서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Berlyne, D. E. (1960). Conflict, arousal, and curiosity. New York: McGraw-Hill
  19. Chinn, C. A., & Brewer, W. F. (1998). A empirical test of a taxonomy of responses to anomalous data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23-65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8)35:6<623::AID-TEA3>3.0.CO;2-O
  20. Dreyfus, A., Jungwirth, E., & Eliovitch, R. (1990). Applying the "cognitive conflict"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Some implication, difficulties, and problems. Science Education, 74(5), 555-569 https://doi.org/10.1002/sce.3730740506
  21. Druyan, S. (1997). Effect of the kinesthetic conflict on promoting scientific reasoning. Journal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34(10), 1083-10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12)34:10<1083::AID-TEA7>3.0.CO;2-N
  22. Duit, R. (1999). Conceptual change approaches in science education. In W. Schnotz, S. Vosniadou, & M. Carretero (Eds.), New perspectives on conceptual change (pp.263-282). New York: Pergamon
  23. Festinger, L. (1957).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24. Gredler, M. E. (1992). Learning and instruction: Theory into practice (2nd). New York: Macmillan
  25. Hashweh, M. Z. (1986). Toward an explanation of conceptual change.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3), 229-249 https://doi.org/10.1080/0140528860080301
  26. Hynd, C. R., McWhorter, J. Y., Phares, V. L., & Suttles, C. W. (1994). The role of instructional variables in conceptual change in high school physics top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933-946 https://doi.org/10.1002/tea.3660310908
  27. Lee, G., Kwon, J., Park, S. S., Kim, J. W., Kwon, H. G., & Park, H. K. (2003).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cognitive conflict in secondary-level science clas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6), 585-603 https://doi.org/10.1002/tea.10099
  28. Niaz, M. (1995). Cognitive conflict as a teaching strategy in solving chemistry problems: A dialectic-constructivist perspective. Journal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32(9), 959-970 https://doi.org/10.1002/tea.3660320907
  29. Piaget, J. (1985). The Equilibration of cognitive structur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Posner, G., Strike, K., Hewson, P., & Gertzog, W. (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2), 211-227 https://doi.org/10.1002/sce.3730660207
  31. Redish, E. F. (2003). Teaching physics: With the physics suite. Hoboken, NJ: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