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Phases of the Moon', Contents of 9th Grade Science Textbook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의 '달의 위상변화' 문제점 분석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llustrations, contents, and experiments in 6 kinds of science textbook from the 9th grade covering the phases of the Moon (on the phases of the Moon in six 9th grade science textbook) and to suggest coherent and effective contents and frame of the science textbook. Hence, the researcher decided the study problem. The study problems are as follows; 'Are the illustrations in the science textbook presented to help understand the phases of the Moon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observer?', 'Does the contents of the book clearly mention the phases of the Moon?', 'Can students understand the phases of the Moon through the experiments in the science textbook?', 'Do illustrations, contents, and experiment of the science textbook consistently explain the phases of the Moon?'. 10 persons (9graduate students including the researcher) took part in this study. All things unanimously agreed upon by all participants were reflected in the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universal observer's view point is mixed with the earth observer's view in the illustration of these science textbook regarding the phases of the Moon. Moreover, illustrations of some textbooks are presented with such words as 'sunrise', 'midnight' and consequently contain too much. Second, the contents of the science textbook concerning the phases of the Moon is not described clearly. In addition, they don't give clear and detailed explanations for the reason of these changes. Third, all of the textbooks, except one textbook, describe the experiment regarding the phases of the Moon with the earth observer's view point but don't specifically mention that the view point is that of the earth observer's view point. Fourth, illustrations, contents, and experiments in the science textbook don't coherently explain the phases of the Moon.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result analysis that the described contents in the science curriculum is not well constructed or logical.

본 연구의 목적은 달의 위상변화를 다룬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 6종의 삽화, 내용, 실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교과서 삽화, 내용, 실험의 일관성 있는 새로운 구성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교과서 삽화가 달의 위상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가?', '교과서 내용이 달의 위상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가?', '교과서 실험이 달의 위상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가?', '교과서 삽화, 내용, 실험이 일관성 있게 달의 위상변화를 설명하고 있는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를 포함해 교육대학원생 1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모두의 의견이 일치된 내용만을 연구결과에 반영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달의 위상변화와 관련된 교과서 삽화에 우주관찰자 관점, 지구관찰자 관점이 혼재되어 나타나 있었다. 또한 일부 교과서 삽화에서는 '일출', '일몰' 등의 단어를 함께 제시하고 있어 너무 많은 내용을 하나의 삽화에 제시하고 있다. 둘째, 달의 위상변화와 관련된 교과서 내용이 불명확하게 진술되어 있었다. 특히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명확하고 자세한 설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셋째, 한 교과서를 제외한 나머지 다섯 교과서에서 달의 위상변화와 관련된 실험을 지구관찰자 관점에서 다루고 있었지만, 지구관찰자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하고 있지 않았다. 넷째, 교과서 삽화, 내용, 실험이 일관성 있게 달의 위상변화를 설명하고 있지 못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식, 정창희, 이원식, 한인섭, 박은호, 이창진,김일회, 장병기, 정병훈, 윤용, 이태욱, 한천옥 (2002). 중학교 과학 3. 서울: 교학사
  2. 교육부 (1998).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 권재술, 김범기 (1993). 과학 오개념 편람(역학편). 한국교원대학교 물리교육연구실
  4. 김정률, 고현덕, 김재현, 김남일, 임용우, 동효관, 김선주, 남철주, 김영순, 이준용 (2002). 중학교 과학 3. 서울: 블랙박스
  5. 김찬종, 김희백, 박시진, 오차환, 양재철, 장홍식,정진문, 조현수, 최후남, 한송희, 현종오, 홍경희 (2003). 중학교 과학 3학년. 서울: 도서출판 디딤돌
  6. 김찬종, 이조옥 (1995). 달의 위상 변화와 빛에 대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사이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17, 8-21
  7. 성나해, 최승언(2008). 달의 위상 변화에 관한 교과서의 지식 통합 과정 및 학생 정신 모델의 비교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9(2), 163-174 https://doi.org/10.5467/JKESS.2008.29.2.163
  8. 이광만, 허동, 이경운, 정문호, 방태철, 이기성, 안태근, 정상윤, 복완근, 정익현 (2003). 중학교 과학 3.서울: 지학사
  9. 이면우 (2000).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이해-교대 4학년생과 보수교육생을 중 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 24, 55-68
  10. 이성묵, 채광표, 김기대, 이문원, 권석민, 손영운, 노태희, 정지오, 서인호, 김영수 (2002). 중학교 과학 3. 서울: 금성출판사
  11. 정완호, 권재술, 김범기, 김성하, 백성혜, 우종옥, 이봉호, 이석형, 정진우, 최병순 (2002). 중학교 과학 3. 서울: 교학사
  12. 채동현 (1996). 학생들의 달 위상변화의 원인에 대한 개념 조사. 초등과학교육, 15(1), 45-55
  13. 채동현, 최영완 (2002). 달의 운동에 대한 역할놀이 학습이 초등예비교사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1(2), 253-262
  14. 채동현 (2008). 새로운 달 위상 모형의 개발과 그적용. 초등과학교육, 27(4), 385-398
  15. 최돈형, 김동영, 김봉래, 김재영, 노석구, 신영준, 이기영, 이대형, 이면우, 이명제, 이상인, 전영석 (2002). 중학교 과학 3. 서울: 대일도서
  16. 허성호 (2000).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논문
  17. Dai, M.F. and Capie, W. (1990). Misconceptions about the moon by preservice and teachers in Taiwa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ED 355-327
  18. Kuethe, L. J. (1963). Science concepts: A study of sophisticated errors. Science Education, 47(4), 361-364 https://doi.org/10.1002/sce.3730470410
  19. Saddler, P. M. (1987). Misconceptions in astronomy,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Seminar on Misconceptions and Educa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Volume Ⅲ,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422-425
  20. Schoon, K. J. (1989). Misconceptions in the earth science (Doctoral dissertation, Loyola University of Chicago, 1989),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0, 915-A
  21. Trundle, K. C., Atwood, R. K., and Christopher, J. E. (200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conceptions of moon phases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633-658 https://doi.org/10.1002/tea.10039
  22. Trundle, K. C., Atwood, R. K., and Christopher, J. E. (200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knowledge of observable moon phases and patterns of change in phase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7(2), 87-101 https://doi.org/10.1007/s10972-006-9006-7
  23. Trundle, K. C., Atwood, R. K., and Christopher, J. E. (2007a). A longitudinal study of conceptual chang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conceptions of moon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2), 303-326 https://doi.org/10.1002/tea.20121
  24. Trundle, K. C., Atwood, R. K., and Christopher, J. E. (2007b).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conceptions of standards-based lunar concep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5), 595-616 https://doi.org/10.1080/09500690600779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