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Wetlands Classification Mapping of Eulsukdo Area Using LiDAR Data

LiDAR 자료를 이용한 을숙도 지역 3차원 습지 구분도 제작

  • 이재원 (동아대학교 토목해양공학부) ;
  • 이기철 (동아대학교 도시조경학부) ;
  • 김용석 (동아대학교 토목공학부) ;
  • 위광재 (한진정보통신(주) GIS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In line with the rapid settlement of information society, the demand for geospatial information and its applications are dramatically increasing. The Project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NGIS) is actively on going to meet up-to-dateness and accuracy of geospatial data. It is fact that the public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is increasing than ever in accordance with the restoration of the four major rivers, core project of Green New Deal Policy, and the event of the Ramsar General Meeting. Because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a place of great importance in both aspects of wetland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a variety of researches related to this area are progressing. Although artificial developments and natural phenomena are rapidly changing the topography and ecosystem of this area, the effort to build topographic DB for change monitoring is very slow. This study describes a Lidar surveying project over the restored wetland Eulsukdo, the southermost part of the Nakdong River, to establish precise topographic DB throughout producing 3D topographical maps and wetland classification ma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make a large contribution to the systematic maintenance and management for the restored Eulsukdo wetland.

오늘날 신속한 정보화 사회의 정착에 따라 지형공간정보의 수요와 활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해마다 변화하는 지형공간자료의 최신성과 정확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 정부의 뉴딜녹색정책의 핵심인 4대강 살리기 사업, 국제 습지보전 협약인 람사르(Ramsar) 총회의 개최 등으로 어느 때보다 환경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낙동강 하구 지역은 습지는 물론 환경 분야에서의 보전가치가 매우 높아 관련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 지역은 인위적 개발과 자연 현상으로 인한 지형과 생태계의 변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변화 모니터링의 기본자료인 지형 DB 구축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낙동강 하구에 속하는 을숙도 복원습지를 대상으로 항공 LiDAR 측량을 수행하여 3차원 지형도와 식생분류를 통한 습지 구분도를 제작하여 정밀 지형 DB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정밀 지형 DB는 향후 을숙도 복원습지의 체계적인 유지관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수영, 윤성윤, 이기철, 김귀곤, 배덕효, 김형수 (2000),습지학원론, 은혜기획, pp. 17-35
  2. 윤성윤 (1999), 경상남도 내륙습지생태보전 방안, 경남개발연구원, pp. 1-94
  3. 이기철, 이원화, 윤해순, 남춘희, 김구연, 김승환, 서상현 (2004), GIS와 RS를 이용한 생태지도 작성기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논문집, 한국지리정보학회, 제 7권, 제 3호, pp. 57-69
  4. 이기철, 임병선, 우창호, 양효식 (1996), 지리정보체계와 원격탐사에 의한 연한습지 목록 개발에 관하여, 한국 지형공간정보학회 논문집,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제 4권, 제 2호, pp. 149-159
  5. 유목모, 토니쉥크 (2003), 현대 디지털사진측량학,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pp. 93-144
  6. 홍재상 (1999), 해양습지 생태계의 이해와 환경영향 평가,(사)한국습지보전연구회, 습지보전을 위한 환경영향평가, pp. 3-48
  7. Barbara, J. K. and Joy, N. M. (2005), Wetland change analysis of San Dieguito lagoon, California, USA:1928-1994, Wetlands, The Society of Wetland Scientists, Vol. 25, No.3, pp. 780-787 https://doi.org/10.1672/0277-5212(2005)025[0780:WCAOSD]2.0.CO;2
  8. National Wetlands Inventory(NWI). (2009), U.S. Fish & Wildlife Service, http://www.fws.gov /wetlands
  9. Ramsar(2008), The 10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Contracting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Wetlands, http://www.ramsar2008.go.kr/main/index.jsp
  10. Rebecca, L. P., Ofer, B. and Edward, S. D. (2005), Remote wetland assessment for Missouri Coteau prairie glacial basins, Wetlands, The Society of Wetland Scientists, Vol. 25, No. 2, pp. 335-349 https://doi.org/10.1672/10
  11.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UNDP/GEF). (2004), 환경부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http://www.koreawetland.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