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the Reactivation for Art & Culture Content Space Centering to Local Area, Yeongwol

영월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 활성화 방안

  • 박기복 (강원대학교 영상문화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reactivation for Art & Culture Content Space in Gangwon province need new turning point according to new approach with internal and external change. That should be established in sustainable possibility model with preexisted natural advantage instead of economical depression and global warming of in these days. That is not a choice to get a successful construction of art & culture content space in Gangwon province. Throughout of reactivation of art & culture content space in Gangwon province, this proposal should go on with diversity of culture and concrete art & culture educational program absolutely to get a goal in regional economical success and social good influence. Already Yeongwol region had lots of art & cultural spaces and developmental strategy compared with other regions in decade. In these points, I choose this region and would like to research Yeongwol region in limit. Thus I would examine and study about art & culture content space in Yeongwol region. And I will concretely suggest that this proposal is composed with economical creating employment and incoming. The reactivation for Art &Culture Content Space in Yeongwol will build up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to this region to get a new modern cultural images and improvement of common life of regional people by and large. In the way of the process to globalization, this reactivation project for Art &Culture Content Space in Yeongwol should go on the base of regional culture background as a mean of glocalization paradigm strategically. Ahead of developing model for globalization in macroscopic view point, we have to research the demend of reginal situation of cultural content and build up its own strength points. Because Art & Culture Content Space in Yeongwol is the place of people in Yeongwol directly as itself. And managing plans of reactivation of art & culture content space in Yeongwol should build up with diversity of culture and environmental circumstances.

강원도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의 활성화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여야 하며 이는 대내외적 변화에 상응하는 새로운 전략적 접근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말한다. 기존의 천혜의 환경적 속성을 바탕으로 하여 전략과 더불어 지속 가능 모델로 자리매김을 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작금의 경제적 불황과 기후 변화의 영향은 성공적인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을 구축함에 있어서 더 이상의 선택적 요소가 아니다. 또한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의 활성화를 통하여 지역 경제와 사회문화적 파급력을 집성하려면 공간의 다양성과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도 절대적으로 병행하여야만 한다. 지리적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영월은 많은 문화예술콘텐츠 공간들을 이미 갖추었고 다른 지역과 다르게 발전적 전략구성을 집행하고 있다.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의 중요성을 산업적으로 활용하는 점에서 고무적으로 판단되어지며 본인은 연구의 범위를 영월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영월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을 진단하고 발전을 위한 모델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영월지역 뿐만 아니라 기타 지역의 경제적 고용창출과 소득증대, 사회 문화적 영향력을 창출할 것이며 나아가 지역 문화의 현대화와 이미지 개선,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 등을 형성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진다. 방법적으로 세계화를 지향함과 동시에 지역의 문화 예술적 토대를 근거로 하여 영월의 '지붕없는 박물관도시, 영월' 프로젝트 방향을 세방화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 즉 거시적인 세계화 지향의 발전 모델을 수립하기 이전에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특화한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구축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영월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은 도 시민에게 삶의 장소로서 직결되기 때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