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Bookstart for Infants and Toddlers: Focusing on the Bookstart of Public Library in Cheonan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연구 - 천안시 문헌정보관을 중심으로 -

  • 구수연 (군산대학교 생활과학부 아동가족학) ;
  • 최예린 (백석문화대학교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e bookstart program for infants and toddlers is still in experimental progress. From this qualitative research that contains the both administration and utilization of the bookstart program at the Cheonan public library, some necessities for improvement were found to be the more effective program. The administration staffs of program consist of the supporting team and the instructional team. This program gives the meaningful experience to staffs such as the satisfaction as supporters of caring infants and toddlers, extension of social participation, and developing professionalism. The characteristic (purpose) of bookstart program for infants and toddlers could be categorized as three: offering a place to plays with other infants and toddlers, opportunities to exchange practical information, and chances to have educational support. To be more effective program, the difficulties and administrative problems of the program should be solved.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은 실험적인 시행과정에 있다. 본 연구는 천안시의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이용과 운영 실태를 질적으로 연구하여, 성공적인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을 위한 필요조건들과 개선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영아 대상 북스타트 참여 인력은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인력과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강사로 구성되며, 이들에게 영아 대상 북스타트는 육아 지원자 역할에 대한 만족감, 사회적 참여 기회의 확대, 전문적 능력의 개발의 장이 된다.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은 주마다 각각의 강사가 구성하는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특성은 영아들과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의 제공처, 육아정보교류의 장, 교육의 장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하여 프로그램 자체에 관해서는 프로그램의 취지에 대한 영아 보호자와 의사 결정자들의 북스타트에 대한 이해 필요, 놀이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의 제공, 북스타트의 정체성의 문제 등이 있으며, 운영에 있어서 참여 대상자의 제한, 참여 기간, 참여 인원, 인력과 예산의 문제의 측면에서 지적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보경. 학부모가 지각한 유아의 어린이도서관 이용실태와 부모의 요구도 조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3.
  2. 구수연. "1-2세 영아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발달단계에 따른 영유아프로그램.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춘계 학술대회(2005), pp.43-78.
  3. 김진숙. 부모의 어린이 도서관 이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7.
  4. 김현주, 손은경, 신헤영. 현장중심 부모교육 이론과 실제. 서울 : 양서원, 2000.
  5. 박영애, 원효종. "어머니의 사회 관계망, 자녀에 대한 기대와 아동의 자아 존중감 및 정서 지능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2권, 제5호(2003. 11), pp.713-735.
  6. 송은경. 학령전 아동을 위한 어린이도서관의 독서지도 활성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6.
  7. 윤정옥.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독서진흥활동: 다른 나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2호(2007. 7), pp.393-414.
  8. 이수진. 한국 북스타트 운동에 관한 연구: 부산 북스타트 운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4.
  9. 임형연. "아동교육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미국보스턴부면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관찰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2호(2004. 6), pp.393-414.
  10. 전창호. "지역사회를 위한 대학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 도서관 제58권 제3호(2003. 가을호), pp. 27-52.
  11. 정혜경. "한국과 미국 공공도서관의 취학 전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 들려주기' 프로그램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13권, 제1호(2005. 3), pp.295-320.
  12. Alanna Rochelle Kin, Dail. An investigation of mother-child visits to the public library. Nashville: Vanderbilit university. 2004.
  13. Albrecht, K. & Miller, L. G. Infnat & toddler development. Loisville : Gryphon House Inc., 2001.
  14. Hall, Elaine. "Babies, books and 'impact': problems and possibilieties in the evaluation of a bookstart project." Educational Review, Vol.53, No.1(2001), pp.57-64. https://doi.org/10.1080/00131910120033655
  15. Heath, S. B. Ways with words.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6. Himmel, Ethel & wilson, William James. Planning for Results: A Public Library Transformational Process. Chicago : ALA, 1998.
  17. Laurice, J. Reading-Encouraging Positive Attitudes: Strategies for Parents and Teacher. Bethesda :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Psychologists, 2004.
  18. Wade, B & Moore, M. "An early start with books: Literacy and mathematical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udy." Educational Review, Vol.50, No.2(1998), pp.130-145.
  19. Weinberger, J. "Longitudinal study of literacy."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Vol.19, No.1(1996), pp.14-25. https://doi.org/10.1111/j.1467-9817.1996.tb00083.x
  20. Wittmer, D. S. & Petersen, S. H.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responsive program planning. NewYork : Pearson,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