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Feasibility Analysis of Apartment House Development Project

공동주택 개발사업 타당성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 홍주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남양주택산업(주)) ;
  • 고성석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When planning and promoting apartment house development project, it is very important to carry on profitability in planning stage through realistic evaluation and analysis about distributability. Especially, the analysis about project feasibility through forecasting the early distribute rate is crucial stage because it could evaluate overall expecting benefit and feasibility of the project. However, researches and studies related with forecasting profitability and distributabilty of construction development project are insufficient. Also there is a big gap of the standard for evaluating early distribute rate between government and individual corporations. So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the evaluating early distribute rate. In this point, this study aims to present effective evaluating standard(criteria) which is for forecasting profitability and distribute rate through analyzing various factors and weight of apartment house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examples of the real initial rate of private apartment sale based on the government estimated standard. Among estimated index, omitted items and factors to be additionally considered are combined as 33 detail appraisal contents of 4 parts 9 items by allotting them based on the data about priority of all considered factors.

공동주택 개발사업의 기획 추진시 사업의 성공적인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기획단계에서의 수익성과 분양성에 대한 현실적인 평가와 분석을 통한 정량적 예측과 이에 대한 보완 개선적인 과정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개발사업 수행 중에서 기획단계에서의 초기 분양율 예측을 통한 사업타당성 분석 및 검증은 전체사업의 기대수익과 성공가능여부 예측면에서 중점 고려요소들을 분석하고 미흡한 요소에 대한 투자와 개선을 유도함으로써 개발사업의 리스크 인자를 감소시키고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확대시킴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개발사업 타당성 검토요소 및 항목간 중요도 산정지표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민간 공동주택 사례별 실제 초기분양율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산정지표 중 누락된 항목 및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항목을 중요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배점화하여 4분야 9항목의 33세부 평가내용으로 조합하여 공동주택의 수익성과 분양성 예측을 위한 효율적인 평가항목과 기준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미(1997), 건축기획단계의 Feasibility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구선모 외 1인(2007), '사업타당성 검토의 현황 및 문제점 파악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 박국규(2004), "주택사업의 시행과 사업성검토", 어드북스
  4. 박종배외 3인(2008), '확률론적 비정형 리스크분석을 통한 부동산 개발의 사업타당성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5. 신우식 외 1인(2005), 공동주택 개발사업 타당성 분석대상 항목의 평가기준 설정,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6. 이성수 외 1인(2006), '건축개발사업의 사업타당성 분석 적용 실태 분석 및 대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7. 이상엽, '한국 부동산 개발사업의 현황과 과제', 건설관리 기술과 동향 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