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Wedding Dress Design of Korea Images - Focused on Pear Blossoms Pattern and Dang-$\breve{u}$i(唐衣) Images -

한국적 이미지의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 이화문(梨花紋)과 당의(唐衣)이미지를 중심으로 -

  • Lee, Min-J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 Cho, Kyu-Hwa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이민정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 조규화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ign and to produce actual high value added wedding dress comprised of the pear blossoms pattern(梨花紋), which is one of the traditional patterns which was not researched to this day, and of the Dang-$\breve{u}$i(唐衣) image which reflects our concept of beauty as if as a means of conducting empirical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to the contemporary application. pear blossoms effectively signifie the image of beautiful bride thanks to the pure, graceful and clean image of white flower, both in the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The Dang-$\breve{u}$i of the Chosun Dynasty, which is another motif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lothing that expresses the beauty of the curve when it comes to the Korean culture as traditional wedding dress. Attempt was made to develop design for wedding dress that expresses the Korean style beauty that combined the tradition and the modern. Towards this end, the project was composed of the Korean-like Ewha, image of the Dang-$\breve{u}$i I, II and III to design three dresses. The Dress I presents the image of pure, elegant and beautiful bride, while Dress II represents the pure and city like trendiness of the Korean women today as bride. Dress III was made centered on the image of elegant, and chaste bride. As for the materials used, hand-woven silk and silk organza used for the traditional clothes. As for the ornaments, embroidery, quilted work, beads, corsage, burn-out and other techniques were used for expression.

Keywords

References

  1. 조규화. 이희승(2004), 패션미학, 수학사, p.42
  2. 하승연(1988),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전통 떡살문양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이남옥(2006), "전통혼례복을 응용한 한국적 웨딩드레스 개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현정(2007), "한국 전통 매듭기법을 응용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호(2001), 최신 배 재배, 오성출판사, p.28
  6. 오종철(2000), 고구려본기 신주해(하), 구미서관, pp.155-156
  7. 박상진(2001), 궁궐의 우리나무, 눌와, pp.71-72
  8. 손동수 外(2003), 우리 배 이야기, 전남: 내사랑 우리배, p.14
  9. 손동수 外(2003), 우리 배 이야기, 전남: 내사랑 우리배, pp.13-14
  10. 김정호(2001), 최신 배 재배, 오성출판사, p.28
  11. "이화사진", 네이버, 자료검색일 2007, 3, 15-17, 자료출처 http://www.hamservice.com
  12.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하), 향문사, p.784
  13. 홍석천 外(1987), 원색한국수목도감, 계명사, p.303
  14.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하), 향문사, pp.553-575
  15. 홍석천 外(1987), 원색한국수목도감, 계명사, pp.122,139
  16. 정상복 外(2001), 자두.매실, 농촌진흥청, pp. 165-167
  17. 이상희(2002), 매화, 넥서스Books, pp.56-57
  18. 우풍자(1992), 꽃새미 꽃말모음, 지성교육사, p.76
  19. 송홍성(2001), 꽃말사전, 풀꽃나무, p.32
  20. "이화교표의 상징성", 이화여자대학교 홈페이지, 자료검색일 2007, 2, 21, 자료출처 http://www.ewha.ac.kr 홈>이화소개>홍보관>이화정신>교표
  21. 손동수 外(2003), 우리 배 이야기, 전남: 내사랑 우리배, pp.167-168
  22. 조규화. 이희승(2004), 패션미학, 수학사, p.584
  23. 조규화. 이희승(2004), 패션미학, 수학사, pp592-595
  24. 정충량(1967), 이화80년사, 이대출판부, p.177
  25. 박상진(2001), 궁궐의 우리나무, 눌와, p.205
  26. 민족문화추친회(1999), 閒靜堂集(卷7), p.416
  27. 유희경(1975), 한국복식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457
  28. 유송옥(1998), 한국복식사, 수학사, pp.174-177
  29. 조규화. 이희승(2004), 패션미학, 수학사, p.611
  30. 유희경. 김문자(2002),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pp.285-286
  31. 권혜진(2001), "당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2-14
  32. 권혜진(2001), "당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7
  33. 이경자(1983), 한국복식사론, 일지사, p.28
  34. 강혜영(1998), "전통혼례복을 활용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p.28
  35. 김영숙(1988), 한국복식사사전, 민문고, pp.144-145
  36. 김영숙(1988), 한국복식사사전, 민문고, p.28
  37. 김용서. 안명숙(2001), 한국복식사, 예학사, p.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