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 Transplanting Time for Considering Rice Quality at Reclaimed Saline Land in Gyehwado

간척지 고품질 품종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이앙시기 구명

  • 김영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백만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이준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고종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최민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박홍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최원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김보경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김정곤 (식량과학원)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proper transplanting time at reclaimed saline land in the southwestern area of Korea from 2006 to 2007. The rice cultivars tested were Unkwangbyeo(Early maturing one), Gopumbyeo(Medium maturing one) and Samgwangbyeo, Sindongjinbyeo, Cheonghobyeo, Hopyeongbyeo(Mid-late maturing on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No. of spikelet per the unit area was lower at transplanting on May 20 and wasn't different in those of the other transplanting time. The ripened grain rate was high transplanted May 20 in Unkwangbyeo, but high transplanted from June 1 to June 20 in Mid-late maturing Cultivar. The yield of head rice was high transplanted June 10 and June 20 in Unkwangbyeo, Sindongjinbyeo, Hopyeongbyeo, but June 1 and June 20 in Samgwangbyeo, Cheonghobyeo. The protein content was high transplanted early in Unkwangbyeo, Samgwangbyeo, and late in Gopumbyeo, Sindongjinbyeo, Cheonghobyeo, but wasn't differ among transplanting time in Hopyeongbyeo. Considering the rice growth, the rice good quality, the yield of milled and head rice, the proper transplanting time was June 10 in Unkwangbyeo, Sindongjinbyeo, whereas was June 10 in Samgwangbyeo, Cheonghobyeo, Hopyeongbyeo.

서남부 간척지에서의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생태형별 적정 이앙시기를 구명하고자 2002년부터 2004년까지 호남농업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 문포통(세사양토, 토양 염농도 0.1%)에서 운광벼, 고품벼, 삼광벼, 신동진벼, 청호벼, 호평벼를 공시하여 이앙시기별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영화수는 생태형에 관계없이 5월 20일 이앙에서 가장 적고 그 이후 이앙에서는 일반적으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2. 중만생인 호평벼는 등숙비율이 5월 20일 이앙에서 높았으나, 기타 품종들은 6월 1일 이후 이앙에서 높았다. 3. 완전미 비율은 이앙시기간에 일반적으로 이앙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백질함량은 운광벼 및 삼광벼는 조기 이앙에서, 고품벼, 신동진벼 및 청호벼는 만기 이앙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나 호평벼는 이앙기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완전미 수량은 운광벼, 신동진벼, 호평벼는 6월 10일과 6월 20일 이앙에서 높고 삼광벼 및 청호벼는 6월 1일과 6월 20일 이앙에서 높았다. 5. 따라서 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미질 등을 고려한 이앙적기는 중만생종인 삼광벼, 청호벼, 호평벼는 6월 1일, 조생종인 운광벼와 중만생종인 신동진벼은 6월 10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imi, R. 1976. Cell-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aspects in the physiological of ripening. Intern. Rice Comm. Newsletter (special issue) : 106-111
  2. 백남현, 최원영, 고종철, 남정권, 박홍규, 정진일, 김상수, 박광근. 2005. 서남부 간척지에서의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적정이앙시기. 한작지 50(S) : 41-45
  3. 최현옥. 1966. 재배시기 이동에 의한 수도의 생태변이에 관한 연구. 농시연보 9(1) : 1-38
  4. 최민규, 이선용, 전병태, 박석홍. 1992. 수확시기 및 건조방법이 미질에 미치는 영향. 농시논문집(수도편) 34(1) : 56-63
  5. 최상진, 최현옥. 1980. 쌀 Alkali 붕괴성의 유전 및 변이성에 관한 연구. 한육지 25(2) : 15-22
  6. 허문회, 문헌팔. 1974. 수도고단백계통 육성을 위한 기초적연구 IV. 단일 및 고온처리가 쌀의 Amylose 및 고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14 : 129-133
  7. 허문회, 서학수, 김광호, 박순직, 문헌팔. 1976. 미립내 단백질과 아밀로스 함량 및 알카리 붕괴성의 환경에 따른 변이. 서울대농업연구 1(1) : 21-37
  8. 황흥구. 1992. 미질의 환경변이와 쌀의 이화학적 특성에 따른 벼 품종군 분류. 경북대학교박사학위논문 81pp
  9. Honjo, K. 1971. Studies on protein in rice grains. 2. Effects of fertilization on protein content and protein production in paddy rwains. Proc. Crop Sci. Soc. Japan 40 : 183-189 https://doi.org/10.1626/jcs.40.183
  10. Kataoka. K 1975. Studies on chemical quality of rice kernel. 6. Effects of temperature on protein content. Bull. Faculty Agri. Tamagawa Univ. 15 : 96-100
  11. Kido M., and S Yanatori. 1965. Histochemical studies of protein accumulation process in rice grains. Proc. Crop Sci. Soc Japan 34 : 204-209 https://doi.org/10.1626/jcs.34.204
  12. 김상수, 백남현, 석순종, 이선용, 조동삼. 1995. 남부평야지 벼무논골뿌림재배시 파종시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40(2) : 212-220
  13. 김상수, 이선용, 김종호, 배성호. 1986. 남부2모작 기계이앙 안전작기 구명에 관한 연구. 농시논문집(벼 기계이앙) 28(1) : 256-269
  14. 구자옥, 이도진, 허상만. 1998. 쌀의 품질과 맛. 전남쌀연구회
  15. 이석형. 1983. Growing degree days를 이용한 수도품종의 생육기간 측정방법과 이용. 한작지 28(2) : 173-183
  16. 이선용, 김상수, 최장수, 임무상. 1988. 남부평야지와 산간고냉지에 있어서 재배법 및 기상조건이 수도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농시논문집(수도편) 30(2) : 25-30
  17. 문헌팔, 허문회. 1975. 수도고단백계통 육성을 위한 기초적연구. V. 파종 및 수확시기가 쌀의 Amylose 고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19 : 14-20
  18. 농촌진흥청. 1981. 수도 냉해 실태분석과 종합기술 대책, 수도작황으로 본 생육과 수량의 특성 : 21-32
  19. 농촌진흥청. 2000. 토양 및 식물체분석법 110-112
  20. 농촌진흥청. 2003. 농사시험조사기준 838pp
  21. 윤성호. 1998. 지구 온난화 및 기상 이변에 대응한 농업기술 대책. 한국육종학회 공동 심포지움 자료-21세기 한반도 농업전망과 대책. pp. 313-335
  22. 오용비, 김정일, 박정화, 이숙재, 오윤진, 박래경. 1991. 미질에 관한 연구. 1. 심복백미의 식미특성과 재배환경요인에 따른 변이. 농시논문집(수도편) 33(3) : 91-98
  23. Yuji MATSUE, Kazue MIZUTA, Kumi FURUNO and Tomohiko YOSHIDA. 1991. Studies on palatability of Rice Grown in northern Kyushu 1. Effets of transplanting time and lodging time on palat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illed rice. Jpn. J. Crop Sci 60(4) : 490-496 https://doi.org/10.1626/jcs.60.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