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Green Manure Crop and Cattle Slurry as Fertilizer Sources on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Sorghum X Sudangrass hybrid, and Soil Properties in Kimje, Chunlabukdo

김제지역에서 비료원으로써 녹비작물과 액상우분이 수수 X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토양성질에 미치는 영향

  • 최기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나상필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 조남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정민웅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종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박형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윤창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부) ;
  • 임영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육완방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cropping system applied with cattle slurry on productivity of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SSH)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paddy land. cropping systems used in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two designs, such as double-cropping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followed by whole crop barley applied with cattle slurry (DSSCS) and mono-cropping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followed by hairy vetch used as green manure (MSSGM). Th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clay loam at Backsanmyun, Kimje, Chunlabukdo province in Korea for three years (May 2006 to Apr. 2009). This study was arranged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The yield of dry matter (DM) of SSH in DSSCS in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at of MSSGM (P<0.05).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CP),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of SSH were not influenced by cattle slurry and green manure. The pH, and contents of OM, T-N and $P_2O_5$ in soil samples collected from DSSCS after the end of experiment were higher than those of MSSGM. The pH, and contents of OM in DSSCS treatment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p<0.05). However, The pH, and contents of OM in MSSGM treatment were hardly influenced, as compared with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The contents of T-N in soil samples collected both from DSSCS snd MSSGM treatments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p<0.05).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s of CEC in soil samples collec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p<0.05). The concentrations of $NO_3$-N, $NH_3$-N and $PO_4$-P in leaching water were hardly influenced by the cropping system and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본 연구에서는 논에서의 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형태별 우분액비의 시용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총체보리+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이모작구 그리고 헤어리베치를 녹비작물로 이용한후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일모작구로 하여 논에서의 다양한 조사료 작부 형태를 배치하고,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처리구별 토양의 지력증진 효과를 분석함과 동시에 우분액비의 시용과 경작형태에 따른 용탈수중 $NO_3$-N, $NH_4$-N 및 $PO_4$-P 등을 분석하여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수수$\times$수단 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2006년 5월부터 2009년 4월 까지 3년 동안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시험포장에서 완전임의배치 3반복으로 수행되었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은 총체보리와 이모작의 경우가 헤어리베치를 이용한 일모작에 비해 수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조단백질, NDF, ADF 및 TDN 함량은 처리구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체보리와 이모작구에서의 OM, T-N 및 $P_2O_5$ 함량은 녹비작물로 이용된 일모작구에 비해 높았다. 그리고 우분액비시용에 따른 토양 내 pH와 OM 농도는 시험전에 비해 시험종료 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이모작구와 일모작구에서 T-N 함량은 시험전에 비해 시험종료 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경작형태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토양내 양이온치환용량 ($Ca^{2+}$, K, Mg 및 Na) 농도는 시험 전에 비해 시험종료 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또한 경작형태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용탈수중 $NO_3$-N, $NH_4$-N 및 $PO_3$-P의 농도는 경작형태에 따른 확실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두, 정길영, 류영우, 김두환, 김재황. 1991. 파종시기와 파종방법이 답리작 Italian ryegrass의 월동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 회지. 11(1):30-37
  2. 김원호, 서 성, 임영철, 신재순, 성병렬, 지희정, 이상진, 박태일. 2007. 호남지역 답리작에서 사료 용 총체보리 우량품종 선발.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27(3):161-166 https://doi.org/10.5333/KGFS.2007.27.3.161
  3. 김종덕, 권찬호, 김종근, 김창현, 노환국, 윤영만,이종경. 2009. 조사료생산이용. pp 93-96
  4. 농촌진흥청, 1989. 토양분석법
  5. 서종호, 이호진, 김시주. 2000a. 헤어리베치의 추 파시기에 따른 녹비의 수량 및 질소량 변화. 한국작물학회지. 45(6):400-404
  6. 서종호, 이호진, 허일봉, 김시주, 김충국, 조현숙. 2000b. 동계 사초호밀 및 녹비 헤어리베치 재배 에 따른 토양 질산태질소 및 옥수수 질소 흡수량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20(3):199-206
  7. 신동은. 1999. 축종별 액상분뇨와 질소시용량이 양질조사료의 수량, 사료가치 및 토양 특성에 미 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육완방, 최기춘, 안승현, 이종갑, 1999 액상발효 우분의 사용시기와 시용량이 호밀경작지토양의 NO3-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19(2)141-146
  9. 육완방. 1992a. 가축분뇨의 이용형태가 목초의 생산성, 지력증진 및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연구센터 중장기 연구과제 중간보고
  10. 육완방, 1992b. 초지에 대한 가축분뇨의 시용.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12:122-126
  11. 전원태, 성기영, 이종기, 김민태, 조현숙. 2007. 밭토양에서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혼파비율이 Biomass 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54(3):327-331
  12. 조익환, 윤용범, 박웅렬, 황보순, 이성훈, 이주삼. 2008. 답리작으로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단, 혼파 재배시 우분뇨 및 화학비료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 평가.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28(4):323-330 https://doi.org/10.5333/KGFS.2008.28.4.323
  13. 조현숙, 서종호, 김민태, 이종기, 엄순표, 이장용, 오택근. 2005. 녹비작물 투입에 따른 토양 내 인 산함량 변화.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0(1):300-301
  14. 진현주. 김정갑. 조영무. 곽정훈. 신재순. 이혁호. 1996. 답리작 호맥재배시 가축분시용이 후 작 벼의 생육 및 수량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16(4):338-342
  15. 채재석, 김영두, 박태일, 박호기, 장영선. 1995. 답리작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육도중 청예이용이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 회지. 15(2):124 -131
  16. 축산연구소. 2002. 권역별 답리작 조사료 생산체 계 확립. 농촌진흥청 2002년도 연구보고서
  17. 최기춘, 육완방, 윤창. 2008. 영년초지에서 돈분 뇨의 시용형태가 목초생산, 토양성분 및 용탈수 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28(4):331-340 https://doi.org/10.5333/KGFS.2008.28.4.331
  18.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5th ed.). Association of Offic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9. Campbell. C.M., Schnitzer M., Stewart W.B., Biederbeck J.V.O. and Selles F. 1986. Effect of manure and fertilizer on properties of a Black Chernozem in southern Saskatchewan. Can. J. Soil Sci. 66:601-613 https://doi.org/10.4141/cjss86-060
  20. Freeze. B.S. and Sommerfeldt T.G. 1985. Breakeven hauling distances for beef feedlot manure in southern Alberta. Can. J. Soil Sci. 65:687-693 https://doi.org/10.4141/cjss85-074
  21. Gilley, J.E., Eghball B., Blumenthal J.M. and Baltensperger D.D. 1999. Runoff and erosion from interrill areas as affected by the aoolication of manure. Transactions of the ASEA 42(4):975-980 https://doi.org/10.13031/2013.13278
  22. Hariston, J.E., J.O. Sanford, D.F. Pope, and D.A. Horneck. 1987. Soybean-wheat double cropping : Implications from strew management and supplemental nitrogen. Agron. J. 79:281-286 https://doi.org/10.2134/agronj1987.00021962007900020021x
  23. Jarvis, S.C., Sherwood, A.M. and Steenvoorden, J.H. 1987. Notrogen losses from animal manures from grazed pastures and from applied slurry. In: Van Der Meer, H.G., Unwin, R.J., Van Dijk, T.A. and Ennik G.C. (eds). Animal Manure on Grassland and Fodder Crops. Fertilizer or Waste pp. 195-212. Dordrecht, the Netherlands : Martinus Nijhoff
  24. Long, F.N.J. and Gracey, H.I. 1990. Herbage prodution and nitrogen recovery from slurry injection and fertilizer nitrogen application. Grass and Forage Science 45:77-82 https://doi.org/10.1111/j.1365-2494.1990.tb02184.x
  25. Seo, J.H., Lee, H.J., Hub, J.B. and Kim, S.J. 1998. Effect of hairy betch (Vicia villosa Roth) green manure on maize growth and nitrogen uptake. RDA. J. Agro-Envir. Sci. 40(1):62-68
  26. Sommerfeldt, T.G., Chang, C. and Entz, T. 1988. Long-term annual manure applications increase soil organic matter and nitrogen and decrease carbon to nitrogen ratio. Soil Sci. Soc. Am J. 52:1667-1672
  27. Sommerfeldt, T.G. and Chang, C. 1985. Changes in soil properties under annual applications of feedlot manure and different tillage practices. Soil Sci. Soc. Am J. 549:983-987
  28. Sommerfeldt, T.G. and Chang, C. 1987. Soil water properties as affected by twelve annual applications of cattle feedlot manure. Soil Sci. Soc. Am J. 51:7-9 https://doi.org/10.2136/sssaj1987.0361599500510001000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