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w Social Risks and Social Welfare for Gender in Blind Spot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사각지대의 여성복지

  • 서동희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
  • Published : 2009.03.28

Abstract

New social risks is likely to emerge from instability of family structure, flexible of labor market, movement of globalization which is related with the post-industrial society and so on. Especially, a lot of women are exposure to not only old social risks but also new social risks. A breakdown of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flexible of labor market which is be followed by globalization, women's poverty and limited approaches at social security services are the representation risk which is confront to women. In this study, therefore, the social risk is recognized by breakdown of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risk which comes from the social change, aging of population, the decrease of labor population and New Right ideolog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rrange the new welfare state at gender equality level by anglicizing about women's new social risks.

"후기산업사회로의 이행과 연관된 경제, 사회변동의 결과 사람들의 생애기간에 직면하는 위험들"로 규정되는 새로운 사회적 위험은 가족구조의 불안정, 노동시장의 유연화, 세계화의 움직임 등으로 가시화되고 있다. 특히 구사회적 위험뿐 아니라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대상으로 여성이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전통적 가족구조의 붕괴, 세계화에 따른 노동시장의 유연화, 여성의 빈곤화, 사회보장제도의 제한된 접근성 등은 여성들이 직면한 변화의 위험을 대표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대에 따른 사회적 위험의 변화를 전통가족의 붕괴로 인한 사회적 위험, 인구의 노령화와 노동인구의 감소로 인한 사회적 위험 그리고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로 인한 사회적 위험 등으로 규명하고, 여성들이 당면한 새로운 사회적 위험의 내용을 분석하여 젠더중립적 관점에서 새로운 복지국가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노력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연명, "'사회적 위험'과 한국의 사회보험체계", 문화/과학, 제35집, pp.135-149, 2003.
  2. 김영란, "여성의 빈곤과 복지국가의 재구조화", 한국사회학, 제33권, 제3호, pp.551-583, 1999.
  3. 김영란,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여성빈곤 그리고 탈빈곤 정책", 한국사회학, 제40권, 제2호, pp.189-226, 1999.
  4. 김철주, 박보영, "새로운 사회적 위험의 도래와 복지국가의 현대화", 사회복지정책, 제24집, pp.317-336, 2006.
  5. 류정순, "빈곤의 여성화 추이", 한국여성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005.
  6. 서동희, "여성의 일-가정양립을 위한 육아문화와 기업의 사회적 공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2호, pp.174-181,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2.173
  7. 서동희, "정책대상으로서의 '여성' 개념과 연금정책의 방향", 한국정책학회보, pp.37-54, 2006.
  8. 서동희, "영국, 스웨덴, 한국의 여성과 연금정책", 영국 버밍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9. 신기석, 박영인, "복지국가의 여성정책 과제", 대학원논문집, 제26권, pp.217-237, 2001.
  10. 여성부, 여성가족통계연보, 제3호, 2007.
  11. 윤도현, "신자유주의와 대안적 복지정책의 모색", 한국사회학, 제37집, 제1호, pp.51-66. 2003.
  12. 윤홍식,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한국사회복지의 과제: 사적(가족)영역으로부터의 접근", 한국사회 복지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pp.103-137, 2006.
  13. 이진숙, "가족복지정책의 발전과정 속에 나타난 쟁점들과 대응", 사회복지연구, 제30호, pp.5-38, 2001.
  14. 장지연, 부가청, "숨겨진 선택: 기혼여성노동자의 일과 자녀양육", 여성연구, 통권 제65권, pp.149-179, 2003.
  15. U. Beck and E. Beck-Gernsheim, "Nicht Autonomie, sondern Bastelbiographie," Zeitschrift fuer Soziologie, 22. pp.178-187, 1993.
  16. G. Esping-Andersen,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c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17. J. Lewis, Women and Social Policy in Europe, Edward Elgar, 1992.
  18. I. Persson, Generating equality in the welfare state: the Swedish experience, Norwegian University Press, 1990.
  19. P. Taylor-Gooby, "New risks and Social Change," in New Risks, New Welfare, edited by P. Taylor-Goob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1-28, 2004.
  20. S. Walby, Theorizing Patriarchy, Blackwell,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