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umer Confidence, Identification, and a Br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On-line Brand Community Type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유형에 따른 소비자신뢰, 동일시 및 브랜드 태도

  • Published : 2009.03.28

Abstract

With the recent growth of the Internet, the on-line brand community has been a major vehicle for building a corporate brand asse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ive relationship between confidence, identification, and a br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on-line brand community type. As a result of an empirical analysis, first, the customer-driven community showed higher confidence and identification than those of the corporate-held community. Also, the customer-driven community was assessed more favorable also in the brand attitude. Second,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the community type and community activiti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confidence of the community confidence, and it was also the same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community.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for companies to prepar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level of confide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consumers in consideration of the community type for effective brand management on-line.

최근 인터넷의 성장으로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가 기업의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커뮤니티유형에 따라 신뢰도, 동일시 및 브랜드 태도와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고객자발형 커뮤니티가 기업개설형 보다 신뢰도와 동일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브랜드 태도에 대해서도 더 호의적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커뮤니티 신뢰도에 대한 커뮤니티 유형과 커뮤니티 활동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뮤니티 동일시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업은 온라인상에서 효과적인 브랜드 관리를 위하여 커뮤니티 유형을 고려한 소비자의 신뢰도와 동일시 정도를 향상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2007.
  2. 중국인터넷네트워크정보센터 (CINIC), 중국의 인터넷 발전상황보고서, 2006.
  3. 서구원, 이철영, 백지희,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유형과 소비자의 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8권, 제5호, pp.91-104, 2007.
  4. 박유식, 윤은심,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유형별관계강도와 특성이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산업과 경영, 제19권, 제2호, pp.35-58,2007.
  5. A. Muniz and T. C. O'Guinn, "Brand commun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7, No.4, pp.412-432, 2003. https://doi.org/10.1086/319618
  6. W. S. Schouten and M. James, "Subcultures of Consumption: An Ethnography of the New Biker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2, pp.43-61, 1995. https://doi.org/10.1086/209434
  7. 성영신, 임성호, "브랜드 커뮤니티 활동, 왜 하는가", 광고학연구, 제13권, 제5호, pp.159-175, 2002.
  8. 강명수,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이 몰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경제적 거래 수행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2.
  9. 심재희, 김장용, "커뮤니티로 승부하는 브랜드 전략", (주) 위고넷 이브랜딩 전략연구소, 2004.
  10. 백승록,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구전활동에 대한 소비자 태도유형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05.
  11. 오영석, 김사혁,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브랜드 마케팅전략", 정보통신정책, 제16권, 제12호,통권 350호, pp.20-27, 2004.
  12. Keller and L. Kevin, Strategic Base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1998.
  13. McAlexander, H. James, W. S. John, and F. K. Harold, "Building Brand Community," Journal of Marketing, Vol.66, pp.38-54, 2002.
  14. McAlexander, H. James, and W. S. John, Brand fests: Servicescapes for the Cultivation of Brand Equity, in Servicescapes: The Concept of Place in Contemporary Makerts, John F. Sherry, Jr.(ed), Chicago, IL: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pp.377-402, 1998.
  15. 유창조, 정혜은, "브랜드 커뮤니티 형성과정에 따른 커뮤니티의 특징, 구성원의 행태와 참여경험 및 관계의 질에 대한 분석", 마케팅연구, 제19권, 제3호, pp.47-80, 2004.
  16. 이문규, 김태영, 김현경, "브랜드커뮤니티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 제19권, 제3호, pp.197-224, 2004.
  17. 한상린, 심재희, 김준수, 이재훈, "온라인 브랜드커뮤니티의 활동 및 유형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제11권, 제2호, pp.131-151, 2006.
  18. 이경렬, 정선교, "브랜드 커뮤니티 활용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커뮤니티 이용동기, 몰입, 그리고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15권, 제1호, pp.63-91, 2007.
  19. 김경훈, 여일구, 김동율, "온라인과 오프라인의신뢰의 영향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제13권, pp.159-178, 2004.
  20. 이두희, 이현정, 박상태,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서의 초기신뢰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5권, 제6호, pp.459-478, 2004.
  21. M. Smith, J. Bailey, and E. Brynjolfsson, Understanding digital market: review and assessment, Brynjolfsson, E., Kahin, B.(Eds.), Understanding the Digital Economy, MIT Press, Cambridge, MA, 2000.
  22. F. F. Reichheld and P. Schefter, E-loyalty: Your secret weapon on the Web. Harvard Business Review, Vol.78, No.4, pp.105-113, 2000.
  23. 문영주, 이종호, "온라인 커뮤니티의 신뢰가 커뮤니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자상거래학회지, 제7권 제1호, pp.3-22, 2006.
  24. C. B. H. Bhattacharya, and M. A. Glynn, "Understanding the bond of identification: An investigation of its correlates among art museum members," Journal of Marketing, Vol.59, pp.46-57, 1995(10). https://doi.org/10.2307/1252327
  25. 박성연, 유승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공동체의식이 웹사이트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23권, 제6호, pp.1695-1713, 2003.
  26. 김상욱, "온라인 커뮤니티와 고객충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온라인 커뮤니티의식의 매개변수적 역할을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제9권, 제1호, pp.161-188, 2004.
  27. 김수명, "온라인 커뮤니티 동일시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06.
  28. M. Fishbein and A. Icek, Belief, Attitude, Inte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 Wesley, 1975.
  29. Mitchell, A. Andrew, and C. O. Jerry, "Are Product Attribute Beliefs the Only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s on Brand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2, pp.318-332, 1981. https://doi.org/10.2307/3150973
  30. 정창모,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충성도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2.
  31. A. Chanudhuri and M. B. Holbrook,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Vol.65, N0.2, pp.81-93, 2001. https://doi.org/10.1509/jmkg.65.2.81.18255
  32. F. B. Mael and E. Ashfoth, "Alumni and their alma mater: A partial test of the reformulated model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3, pp.103-123, 1992. https://doi.org/10.1002/job.4030130202
  33. 김병재, 강명수, "동일시를 통한 브랜드 커뮤니티 생산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대회, pp.1-17, 2007.
  34. R. E. Goldsmith, B. A. Lafferty, and S. J. Newell, "The impact of corporate credibility and celebrity credibility on consumer reaction to dvertisements and brands," Journal of Advertising, Vol.26, No.3, pp.44-45, 2000.
  35. http://www.cbs.co.kr/nocut/email/news

Cited by

  1. Understanding Customer Value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Online Hotel Reviews vol.13, pp.1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533
  2. Prosumer Marketing for the Open Source Software(OSS) utilizing the Social Media Platform vol.14, pp.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