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source characteristics of three earthquakes nearby the Gyeongju area of the South Korea in 1999

1999년 경주 인근에서 3차례 발생한 지진들의 지진원 특성 분석

  • Choi, Ho-Seon (Structural Systems & Site Evaluation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
  • Shim, Taek-Mo (Engineering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 최호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구조부지실) ;
  • 심택모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공학연구실)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ree earthquakes with local magnitude ($M_L$) greater than 3.0 occurred on April 24, June 2 and September 12 in 1999 nearby the Gyeongju area. Redetermined epicenters were located within the radius of 1 km. We carried out waveform inversion analysis to estimate focal mechanism of June 2 event, and P and S wave polarity and their amplitude ratio analysis to estimate focal mechanisms of April 24 and September 12 events. June 2 and September 12 events had similar fault plane solutions each other. The fault plane solution of April 24 event included those of other 2 events, but its distribution range was relatively broad. Focal mechanisms of those events had a strike slip faulting with a small normal component. P-axes of those events were ENE-WSW which were similar to previous studies on the P-axis of the Korean Peninsula. Considering distances between epicenters, similarities of seismic waves and sameness of polarities of seismic data recorded at common seismic stations, these events might occurred at the same fault. The seismic moment of June 2 event was estimated to be $3.9\;{\times}\;10^{14}\;N{\cdot}m$ and this value corresponded to the moment magnitude ($M_W$) 3.7. The moment magnitude estimated by spectral analysis was 3.8, which was similar to that estimated by waveform inversion analysis. The average stress drop was estimated to be 7.5 MPa. Moment magnitudes of April 24 and September 12 events were estimated to be 3.2 and 3.4 by comparing the spectrum of those events recorded at common single seismic station.

1999년 경상북도 경주 인근에서 지역규모($M_L$) 3.0 이상의 지진이 3차례(4월 24일, 6월 2일, 9월 12일)에 걸쳐 발생하였다. 진앙의 위치를 재결정한 결과 이 지진들의 진앙 사이 거리는 반경 1 km 내에 포함된다. 파형역산을 수행하여 6월 2일 지진의 발진기구를 분석하였으며, 나머지 지진들은 P파와 S파의 초동극성 및 진폭비를 이용하여 발진기구를 분석하였다. 6월 2일 및 9월 12일 지진은 단층면해가 서로 비슷하고, 4월 24일 지진은 상기 지진들의 단층면해를 포함하나 그 분포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다. 이 지진들의 발진기구는 공통적으로 약간의 정단층 성분을 포함한 주향이동단층의 특성을 보이며, P축의 방향은 동북동-서남서 방향으로 한반도 주응력 방향에 대한 이전 연구결과와 부합한다. 진앙 사이의 거리, 지진파형의 유사성, 지진들을 공통으로 기록한 지진관측소 지진자료 극성의 동일성, 발진기구의 유사성 등을 고려했을 때, 이 지진들은 동일한 단층에서 발생했을 것으로 1999년 경상북도 경주 인근에서 지역규모($M_L$) 3.0 이상의 지진이 3차례(4월 24일, 6월 2일, 9월 12일)에 걸쳐 발생하였다. 진앙의 위치를 재결정한 결과 이 지진들의 진앙 사이 거리는 반경 1 km 내에 포함된다. 파형역산을 수행하여 6월 2일 지진의 발진기구를 분석하였으며, 나머지 지진들은 P파와 S파의 초동극성 및 진폭비를 이용하여 발진기구를 분석하였다. 6월 2일 및 9월 12일 지진은 단층면해가 서로 비슷하고, 4월 24일 지진은 상기 지진들의 단층면해를 포함하나 그 분포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다. 이 지진들의 발진기구는 공통적으로 약간의 정단층 성분을 포함한 주향이동단층의 특성을 보이며, P축의 방향은 동북동-서남서 방향으로 한반도 주응력 방향에 대한 이전 연구결과와 부합한다. 진앙 사이의 거리, 지진파형의 유사성, 지진들을 공통으로 기록한 지진관측소 지진자료 극성의 동일성, 발진기구의 유사성 등을 고려했을 때, 이 지진들은 동일한 단층에서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형역산을 수행한 결과 6월 2일 지진의 지진모멘트는 $3.9\;{\times}\;10^{14}N{\cdot}m$로 계산되었으며, 이 값은 모멘트규모 3.7에 해당한다.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계산된 모멘트규모는 3.8로, 파형역산에 의한 모멘트규모와 비슷하다. 평균 응력강하는 7.5 MPa로 추정되었다. 3개 지진들을 공통으로 기록한 단일 지진관측소의 스펙트럼을 서로 비교한 결과 4월 24일 및 9월 12일 지진의 모멘트규모는 각각 3.2, 3.4로 추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균, 김수경, 지헌철, 2002, 한반도 남부에서의 주파수별 가속도 최대진폭의 감쇠, 지질학회지, 38, 237-250
  2. 김성균, 전명순, 전정수, 2006, 국내 지진활동 및 지각구조 연구동향, 자원환경지질, 39, 369-384
  3. 노명현, 이상국, 최강룡, 2000, 3성분 지진기록 합성에의한 퓨리에 진폭스펙트럼 분석, 지구물리, 6, 25-29
  4. 최호선, 노명현, 최강룡, 2003, 한반도 남부 지역의 지역규모와 모멘트규모의 관계, 지구물리, 7, 185-192
  5. Bouchon, M., 1981, A simple method to calculate Green's functions for elastic layered media,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71, 959-971
  6. Chang, S.-J. and Baag, C.-E., 2006, Crustal structure in southern Korea from joint analysis of regional broadband waveforms and travel time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6, 856-870 https://doi.org/10.1785/0120040165
  7. Kanamori, H., 1977, The energy release in great earthquak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2, 2981-2987 https://doi.org/10.1029/JB082i020p02981
  8. Klein, F. W., 2002, User's Guide to HYPOINVERSE-2000, a Fortran program to solve for earthquake locations and magnitudes, Open File Report 02-171, U.S. Geological Survey
  9. Kubo, A., Fukuyama, E., Kawai, H. and Nonomura, K., 2002, NIED seismic moment tensor catalogue for regional earthquakes around Japan: quality test and application, Tectonophysics, 356, 23-48 https://doi.org/10.1016/S0040-1951(02)00375-X
  10. Park, J.-C., Kim, W., Chung, T. W. and Baag, C.-E., 2007, Focal mechanisms of recent earthquakes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69, 1103-1114 https://doi.org/10.1111/j.1365-246X.2007.03321.x
  11. Ruff, L. J., 2002, State of stress within the Earth, International Handbook of Earthquake and Engineering Seismology, Academic Press, 548-551
  12. Snoke, J. A., 2003, FOCMEC: focal mechanism determinations, International Handbook of Earthquake Engineering Seismology, Academic Press, 1629-1630
  13. Sokos, E. N. and Zahradnik, J., 2008, ISOLA a Fortran code and a Matlab GUI to perform multiple-point source inversion of seismic data, Computers and Geosciences, 34, 967-977 https://doi.org/10.1016/j.cageo.2007.07.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