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Directions to Build on Nature-Friendly Park Facilities - Based on an Evaluation on the Nature-Friendliness of Park Facilities in National Parks -

자연친화적인 공원시설 설치를 위한 정책방향 - 국립공원 공원시설의 자연친화성 평가를 근거로 -

  • 박창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배민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김태진 (한경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pose policy directions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nature-friendly park facilities (PF) in national parks. In order to do that, nature-friendliness evaluation indicators(NEIs) used in green building rating systems and related articles were reviewed. After the initial literature review was complete, NEIs for park facilities based on location,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sectors were developed. Data was obtained through a questionnaire completed by 79 managers at 19 national parks in Korea in 2008. The answer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a t-test, a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a factor analysis. This research found that: 1) The results indicated that based on relative weight calculation, the location condition was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2) The evaluation results regarding the degree of nature-friendliness of park facilities showed that location condition was ranked higher than design and construction--in addition, the evaluated values of indicators related to energy efficiency were ranked the lowest; 3) the level of nature-friendliness of shelter was given the highest level, but resting facility was the lowest level; 4) Overall, park facilities at Mt. Seorak, Mt. Odae, and Taean Coast national parks showed high levels of nature-friendliness. But park facilities at Mt. Gyeongju and Mt. Songni national parks showed low levels of nature-friendline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a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ailor-made management policies, the development of detailed guidelines for increased energy efficiency and visitor satisfaction, and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s and natural resources in Korea's national park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공원 내에 자연친화적인 공원시설의 설계와 설치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내 외 친환경건물 인증제도와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입지, 설계와 설치, 운영과 관리부분별로 자연친화성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개 국립공원의 26개 공원사무소에서 실제 시설을 관리하고 있는 공원관리자 7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연친화성 평가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분석, 집단간 평균의 차이분석, 다차원척도법, 요인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1) 자연친화성 평가지표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한 결과, 시설의 입지 관련지표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공원시설의 자연친화성 수준에 대한 평가 결과, 입지 관련 지표들의 자연친화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시설의 설계 및 설치 관련 지표들의 수준이 낮게 평가되었다. 특히, 에너지 효율화와 관련된 지표들의 평가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시설별로 보면, 대피소의 자연친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휴게소의 자연친화성이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 전반적으로 볼 때, 설악산, 오대산,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공원시설에 대한 자연친화성 수준이 높게 나타난 반면, 경주와 속리산 국립공원의 자연친화성 수준은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원절약 및 자연생태계와 공원자원을 보존하고 탐방객의 편리한 이용을 위한 자연친화적인 공원시설 설치를 위한 권고기준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와 환경부(2004) 친환경 건축물 인증심사기준 개발 및 개정연구
  2. 국립공원관리공단(2008) 2007 국립공원기본통계
  3. 김현수, 이강희, 강재식, 양관섭, 채창우(1999) 주거단지의 환경친화성평가기법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보고서
  4. 박장근, 방환복(2000) 국립공원 등산객의 형태에 따른 시설만족도 조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3: 721-736
  5. 배민기(2003) 자연공원의 사회적 수용능력의 결정모형.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서지우와 조태동(2004) 국립공원에서의 장애인을 위한 시설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춘계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pp.187-190
  7. 송병화, 양병이, 이관규(2006) 기대-성과 불일치 분석을 통한 북한산 국립공원 탐방객의 시설물 이용 만족도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2): 44-56
  8. 양병이(2003) 참여정부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국립공원 관리방향, 국립공원 심포지움. pp.123-139
  9. 오규균, 권태호, 정승준(2000) 국립공원 시설의 친환경성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8(4): 44-53
  10. 왕진호, 이혁준, 조영호, 이문섭(2001) 환경친화적 주거 단지 적용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1): 59-62
  11. 유기준, 조우, 조근식(2008)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지역 탐방로 보행시설에 대한 탐방객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2): 145-151
  12. 유수훈, 조동우(2002) 업무용건축물의 친환경성 평가를 위한 평가분류체계 및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2): 777-780
  13. 이강희, 김현수, 김상호, 김석남(1999) 개별건물의 지속가능한 개발지표 작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보고서. pp. 27-32
  14. 이규인(2003) 주거단지계획의 환경적 지속성 평가를 위한 평가기준 설정방안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1): 191-199
  15. 이주희, 한상열, 심규원(2001)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이용한 국립공원 시설물에 관한 연구: 설악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산림휴양연구 5(2): 61-68
  16. 정유선, 윤정숙(2002) 환경친화형 주거단지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3(5): 21-30
  17. 정종대(2004) 친환경 건축의 평가지표와 인증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BREEAM 98 for Offices(1998) An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 for Office Buildings
  19. U.S. Green Building Council(2001)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20. U.S. Green Building Council(2002) LEED for Existing Buil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