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Expansion of School Library Catalog Considering Educational Context

교육적 맥락을 고려한 학교도서관 목록 정보의 확장에 관한 연구

  • 이병기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is study suggested the expansion strategies of school library catalog considering educational context which should be us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this study derived educational context categor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eaching and learning related factors, information resource related factors. Also, this study analysed case system considering educational contex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esigned the catalog data elements as an element to be added to an existing school libraries system(DLS). The derived data element is end user(teacher, students), instructional situations (teaching method, instructional object, curriculum, evaluation type), resource type(feature, discipline, format), reading situation(contextual reading, literature topic), related materials(teacher representation, student representation).

본 연구는 교사와 학생들이 가르치고 배우는 상황 즉, 교육적 맥락을 고려하여 학교도서관의 목록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목록의 유용성을 높이고, 교수-학습 과정과 목록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다는 전제하에 교육적 맥락에 관한 정보를 목록 데이터 요소에 추가로 목록 정보를 확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학교도서관의 정보자료와 교육 즉, 교수-학습 과정에 관련된 맥락 요인을 분석하고, 실제로 교육적 맥락 요소를 제공하고 있는 정보 시스템의 사례를 분석하여 교육적 맥락을 고려한 목록 정보의 확장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목록(DLS)에 추가로 기술해야 할 교육적 맥락 요소를 이용자(학생, 교사), 수업상황(교수방법, 수업목표, 교육과정, 평가방법, 학습집단 편성, 준비물, 수업환경), 자료 내용 유형(성격, 학문분야, 형태), 독서 상황(상황별 독서, 문학 주제), 관련 자료(교사 표현물, 학생 표현물) 등 5개 요소로 추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평회. 2000. 최신 교육학. 서울: 수서원.
  2. 권성호. 1995. 교수매체의 활용. 수업기술의 이론과 실제.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
  3. 김억환, 박은혜 공역. 1998. 정신의 도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 노지현. 2009. 도서관목록의 이상과 현실. 경기(파주): 한울.
  5. 박성익. 2002.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6. 방선욱. 1999. 창의성의 사회적 맥락 요인 연구. 교육과학연구, 13: 25-37.
  7. 이병기. 2003. 인터넷 기반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의 독서관련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2): 157-176.
  8. 이병기. 2004. 학습객체 개념을 이용한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DLS)의 메타데이터 요소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4): 85-104.
  9. 이병기. 2006.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매체와 교수매체론. 경기(파주): 조은글터.
  10. 이수상. 2008. 디지털도서관 운영론.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1. 진선희. 2008. 문학 소통 “맥락”의 교육적 탐색. 문학교육학, 26: 219-253.
  1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DLS 이용 현황 및 만족도분석. 서울: KERIS.
  13. Adamich, Tom. 2006. CE-MARC: the Educator's Library ‘Receipt.' Knowledge Quest, 35(1): 64-68.
  14. ALCTS(Assn. for Library Collections and Technical Services). 2008. [cited 2009.8.15]. .
  15. Cruickshank, D. 1985. Profile of an Effective Teacher. Educational Horizons, Winter: 90-92.
  16. Florida Department of Education. 2009a. What is SUNLINK?. [cited 2009.8.20]. .
  17. Florida Department of Education. 2009b. Florida Comprehensive Assessment $Test^{(R)}$. [cited 2009.8.20]. .
  18. Gage, N., & Berliner, D. 1992. Educational Psychology, 5th ed. Princeton, New Jersey: Houghton Mifflin Company.
  19. GEM. 2009. Information about the GEM Gateway Including its Contents and Services. [cited 2009.8.25]. .
  20. Heinich, Molenda, Russell, Smaldino. 1999. Instructional Media and Technologies for Learning. [cited 2009.8.15]. .
  21. Huitt, W. 1995. A systems Model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Valdosta, GA: College of Education, Valdosta State University.
  22. Hymes, D. 1974. Foundations in Sociolinguistics: An ethnographic approach.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3. KERIS. 2009. DLS v2.0 활용 매뉴얼: 학교관리자용.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4. Learning A-Z. 2009. Reading A-Z. [cited 2009.8.20]. .
  25. Lexile. 2009. North Port High School Uses Lexile Measures as the Cornerstone of Its Pilot Intensive Reading Program to Increase Student Motivation, Reading Skills and State Test Scores. [cited 2009.7.20]. .
  26. MetaMetrics. 2009. The Lexile Framework for Reading. [cited 2009.8.20]. .
  27. Miller, P. 1996. Metadata for the Masses. [cited 2009.8.20]. .
  28. Proctor, C. P. 1984. Teacher Expectations: A model for school improv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4(4): 469-481. https://doi.org/10.1086/461377
  29. Reigeluth, C. M., Frick, T. W. 1999. Formative Research: A Methodology for creating and improving design theori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0. Sperber, D. and Wilson, D. 1986. Relevance: communication and cognition. Oxford: Blackwell.
  31. Verderber, Rudolph F. 2006. Challenge of Effective Speaking, Florence, KY: Wadsworth Publishing.
  32.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